ETF운용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13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사진=자본연

[서울와이어 유호석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자회사인 캐나다 상장지수펀드(ETF) 운용사 ‘호라이즌스(Horizons) ETFs’의 운용규모가 20조원을 ETF운용 돌파했다고 4일 밝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종가 기준 호라이즌스 ETFs 운용규모는 181억4000만달러로, 한화로 약 22조2000억원 규모다. 2011년 인수 당시만 해도 3조6000억원 규모였으나, 11년만에 6배 이상 성장했다.

호라이즌스 ETFs는 시장 상황에 따라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에 활용할 수 있도록 액티브 ETF뿐만 아니라 패시브, 레버리지·인버스 ETF 등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운용규모가 작년 한해 5조4000억원, 올해 2조8000억원 증가하는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캐나다 시장은 금융상품에 대한 규제가 관대해 가상화폐 관련 상품처럼 ETF운용 타국가에서 인·허가가 어려운 상품을 출시하기에 적합하다. 호라이즌스 ETFs도 지난 해 4월 캐나다 토론토 거래소에 비트코인 선물에 투자하는 ‘BetaPro Bitcoin ETF(HBIT)’와 세계 최초 비트코인 인버스 상품인 ‘BetaPro Inverse Bitcoin ETF(BITI)’를 선보인 바 있다.

Horizons ETFs 대표상품은 캐나다 대표 우량주에 투자하는 ‘Horizons S&P/TSX Capped Composite Index ETF(HXCN)’다. 해당 ETF는 지난달 25일 종가 기준 순자산이 2조3000억원이다.

배당 및 이자에 대해 높은 세율을 부과하는 캐나다에서 절세에 초점을 맞춘 ‘Horizons Cash Maximizer ETF(HSAV)’도 인기다. 해당 ETF는 고금리 은행예금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분배금을 펀드에 재투자해 절세효과를 높여, 연초 이후 순자산이 6123억원 증가했다.

‘Horizons Seasonal Rotaion ETF(HAC)’도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 투자자 관심이 높다. 해당 ETF는 주식, 채권, 원자재 등 각 자산이 가진 계절별 특이성을 활용한 전술적 자산배분을 통해 안정적인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으로, 과거 10년간 연평균 7~8% 수준의 꾸준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스티브 호킨스(Steve Hawkins) 호라이즌스 ETFs CEO는 “호라이즌스 ETFs는 미래에셋과 다양한 글로벌 성공사례를 공유함으로써 동반 성장하고 있다”며 “전세계 최초 투자상품을 선보이고 캐나다에 차별화된 투자 솔루션을 제공하는 등 투자자들이 투자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래에셋 ETF 역사는 2006년 한국거래소에 ‘TIGER ETF’ 3종목을 상장하며 시작됐다. 2011년 국내 운용사 중 최초로 홍콩거래소 ETF 상장을 시작으로, 같은 해 캐나다 ‘Horizons ETFs’를 인수하며 글로벌 ETF 시장에 진출했다. 2018년에는 전세계 ETF 시장 약 70%를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서 라이징 스타로 주목받는 ETF 운용사 ‘Global X(글로벌엑스)’를 인수했다.

미래에셋 글로벌 ETF는 2021년말 운용규모 100조원을 돌파했으며, 올해 2월말 현재 한국, 미국, 캐나다, 홍콩 등 전세계에서 414개 ETF, 101조원 규모를 운용하고 있다.

한국투자신탁운용, `전기차·자율주행 액티브 ETF` 출시…美·中 기업 집중 투자

국내 최대 규모의 전기차 공모펀드를 운용하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이 미국과 중국의 전기차 및 자율주행 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한다.

국내에서 해외 전기차·자율주행 관련 테마에 액티브 방식으로 투자하는 ETF가 나오는 ETF운용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KINDEX G2전기차&자율주행 액티브 ETF`를 오는 15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라고 10일 발표했다.

미국과 중국의 ETF운용 전기차 및 수소차, 자율주행, 공유차 관련 종목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비교지수(BM)는 글로벌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이 산출하는 `FactSet US-China Electric&Autonomous Vehicle Index`다.

이 지수는 미국과 중국 소재 거래소에 상장된 전기차 및 수소차, 자율주행, 공유차 관련 기업 50여개로 구성된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관련 산업에서 핵심 기술력과 글로벌 최대 규모의 소비시장을 갖춘 미국과 중국에 집중해 투자 성과를 극대화하겠다고 밝혔다.

미국과 중국의 전기차 관련 대표주로는 테슬라, 비야디, 니오 등이 있고, 수소차 관련주는 블룸에너지, 퓨얼셀에너지, CIMIC엔릭 등이 대표적이다.

이 밖에 자율주행 테마에서는 엔비디아와 알파벳, 바이두 등이 있으며, 공유차 테마에서는 우버와 디디추싱, 리프트 등이 ETF운용 꼽힌다.

`KINDEX G2전기차&자율주행 액티브 ETF`은 환노출형으로 환율 변동이 ETF의 순자산가치에 반영된다. 연간 총보수는 0.29%로 국내 상장 해외주식형 액티브 ETF 중 가장 낮다.

ETF 운용은 1조 6,700억 원 규모의 국내 대표 전기차 펀드인 `한국투자 글로벌전기차&배터리펀드`를 운용하는 황우택 한국투자투자신탁운용 Multi전략본부 책임이 맡는다.

황 책임은 "국내 시장에서 전기차 관련 테마 투자가 활발해지기 이전인 2017년부터 모빌리티 산업을 주시하며 패러다임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는 기업들을 선제적으로 발굴해왔다"며 "관련 산업 대표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되 시장 성숙도에 따라 시기별로 주목받는 종목들에도 전략적으로 투자하면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액티브 ETF와 패시브 ETF의 브랜드를 `KINDEX`로 통일하기로 했다. 기존에 `네비게이터` 브랜드로 출시된 액티브 주식형 ETF 3종은 다음달 초 `KINDEX`로 브랜드명을 바꿀 예정이다.

ETF운용

“경쟁사 ETF 상품 노린다” 삼성∙미래도 나선 ETF 최저 운용보수 전략운용보수보다 매매수수료나 ETF 유동성이 수익률에 더 중요해“보여주기식 숫자경쟁의 최저 운용보수로 투자자 혼란 주고 있어”

자산운용사의 상장지수펀드(ETF) 보수율 인하 경쟁이 격화하고 있다. ETF 시장 규모가 폭발적으로 커지면서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운용사의 이런 최저 보수 경쟁이 투자자의 혼란을 야기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ETF 보수 인하보다 매매 수수료나 ETF의 유동성이 투자자의 수익률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까닭이다.

8월 말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ETF 시장 규모는 64조1870억원으로 성장했다. 작년 말 52조365억원보다 약 12조원 이상 커진 것이다.

운용업계에 따르면 올해 초 KB자산운용을 시작으로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차례로 ETF 운용보수를 낮추며 최저 보수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ETF 시장이 급격하게 커지면서 ETF 시장을 꿰차고자 너도나도 운용사마다 ETF 운용보수를 낮추고 있는 것이다.

KB자산운용은 지난 2월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일부 ETF의 운용보수를 0.001%로 파격적으로 낮췄다. 그 결과, 지난해 말 6.5%에 불과했던 ETF 시장점유율은 지난달 말 8.9%까지 늘어나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양강 구도’를 구축하던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도 일부 ETF의 보수 인하 행렬에 동참하고 있다.

삼성자산운용은 코덱스 차이나 A50 등 4종 총보수를 연 0.12%로 업계 최저수준으로 낮췄다. 이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중국 테마형 ETF를 염두에 둔 것으로 시장에서는 풀이한다. 28일 기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중국 테마형 ETF 10종의 순자산은 약 3조1200억원을 넘어선 반면 삼성자산운용의 중국 ETF 6종의 순자산은 약 4000억원에 그치고 있다.

반대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삼성자산운용이 선점하고 있는 레버리지∙인버스 ETF 보수를 기존의 0.09%에서 0.022%로 낮췄다. 28일 기준 삼성자산운용의 코덱스 200선물인버스2XETF와 레버리지 ETF 순자산총액은 각각 2조1148억원, 1조6636억원으로 레버리지와 인버스 종목 ETF에서 시장점유율이 90%로 압도적인 지위를 갖고 있다.

한국투자신탁운용(한투운용)도 지난 13일 KINDEX 코스피 ETF 등 ETF 상품 5종에 대한 총보수를 연 0.02%로 낮춘다고 밝혔다.

한투운용 관계자는 “연금 계좌를 통한 ETF 장기투자 수요가 높아지면서 ETF에 장기투자하는 사람도 늘어나는 추세”라며 “운용보수가 낮아지면 투자 기간이 길수록 투자비용 절감 효과가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금투자자를 중심으로 ETF 장기투자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저렴한 운용보수로 투자자의 이익도 늘리는 동시에 투자자를 유인해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으로 해석되고 있다.

문제는 운용사의 ETF 보수 인하 경쟁이 투자자의 실익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ETF 낮은 운용보수보다 ETF의 유동성이나 증권사의 매매수수료가 투자자의 실제 수익률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한 운용업계 관계자는 “운용보수 10bp(0.ETF운용 1%)의 상품을 1bp(0.01%)로 낮추면 9bp를 절약하는 것이지만 이는 사실 1년동안 보유할 경우 해당하는 금액”이라며 “ETF를 거래할 때 보이지 않는 비용이 훨씬 더 크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1만원의 ETF 상품이 유동성이 낮아 1만100원에 사게 된다면 100bp(1%)를 비싸게 사는 것이기 때문에 투자자는 운용보수 9bp를 절약하는 것보다 ETF운용 더 큰 손해를 보는 셈이다.

한 운용업계 관계자는 “최저보수로 낮춰도 운용사가 많이 손해를 보거나 이익이 줄어들지 않아 최근 두드러지는 운용보수 저하 경쟁은 보여주기식 출혈경쟁에 불과하다”며 “ETF 상품은 어느 상품이 더 적정한 가격에 매매할 수 있는지 유동성이 더 중요한데 투자자들에게 그런 부분이 드러나지 않고 보수인하 경쟁만 부각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어 “최저 운용보수보다 ETF 호가 환경이 어느 상품이 더 촘촘하게 되어 있고 적정가격에 매매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지가 수익률에 더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덧붙였다.

PDF 지면보기

위로가기 버튼

[아시아타임즈=김지호 기자] 테마형 상장지수펀드(ETF)가 운용보수는 상대적으로 높고 수익률은 이에 못 미친다는 지적이 나왔다.

테마형 ETF는 섹터(또는 업종) ETF와 유사한 특화(specialized) ETF의 한 종류로, 특정 주제(theme)나 트렌드(trend)와 연관된 자산으로 지수를 구성해 추종하는 ETF를 통칭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기차, 메타버스, 기후변화, ESG 등 장기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시장의 관심이 집중된 영역의 테마형 ETF가 출시되고 있으며, 해외의 경우 무역전쟁, 대마초(cannabis), 채식주의자(vegan), 코로나19 백신 등 더욱 세분화된 테마형 ETF도 등장하고 있다.

22일 자본시장연구원의 자본시장포커스에 실린 '테마형 ETF의 성장과 위험요인'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 테마형 ETF의 운용자산(AUM) 및 거래대금 규모가 주식형 ETF 내 2%에 불과했으나 2021년 말 그 비중이 약 25%로 급성장했다.

김민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테마형 ETF가 급성장한 데에는 운용사 간 경쟁과 상품 특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며 "ETF 공급 시장에 진입한 후발주자가 어느 정도 수익을 유지하면서 남들과 차별화된 요소를 갖추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상품을 개발하는 전략을 취하면서 투자자의 수요에 적시에 부응할 수 있는 상품이 바로 테마형 ETF"라고 설명했다.

보고서의 상장 이후 최소 1년 이상 지난 국내 ETF운용 주식형 테마 ETF의 상장 이후 평균 누적초과수익률을 산출한 결과에 따르면 테마형 ETF는 상장 이후 250거래일(약 1년) 동안 평균 누적초과수익률이 -5.7%로 동기간의 주식시장을 하회했다. 상위 25%의 누적초과수익률은 0.4%이며 하위 25%의 경우 -18.3%로 성과가 저조했다.

다른 유형의 주가지수 ETF의 경우 편차가 존재하나 평균적으로 누적초과수익률이 거의 0%에 근접해 벤치마크와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았으나, 유독 테마형 ETF의 상장 이후 수익률이 낮았다.

image

사진=자본연

김 연구위원은 "테마형 ETF가 추종하는 지수에 편입된 종목은 당시 많은 투자자의 수요가 받쳐주는 종목일 가능성이 높고 그러한 종목은 이미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테마형 ETF 상전 전 250거래일간 벤치마크 대비 기초지수 누적초과수익률 산출해보면 평균 16.2%로 같은 기간 주식시장을 훨씬 상회해 고평된 종목의 편입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테마형 ETF를 구성 종목은 상장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평균적으로 거래량은 약 80%, 검색빈도는 약 73% 증가해 상장 전에 이미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은 종목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며 "테마형 ETF의 운용보수는 기존 상품에 비해 높게 설정돼 상장 ETF운용 초기 테마형 ETF에 투자한 사람들은 높은 비용을 지불함에도 불구하고 만족할만한 성과를 시현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당대 유행하는 '테마'는 변화하고 차별화된 상품을 출시하려는 경쟁이 지속된다면 새로 상장될 테마형 ETF에서도 위와 같은 현상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며 "투자상품의 다양화와 혁신을 위한 경쟁은 때로는 예기치 않은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며 그로 인한 피해는 온전히 투자자가 감수해야 하는 몫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ETF운용

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제공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국내 운용사 중 최초로 전세계에서 운용하고 있는 ETF 규모가 100조원을 돌파했다고 14일 밝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전세계에서 운용 중인 ETF 규모는 ETF운용 지난해 말 기준 102조1,751억원이다.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ETF 시장 전체 자산총액(74조원)의 1.38배 수준이다. 2020년 말 65조7,083억원 대비 36조4,668억원 늘어났다. 글로벌 ETF 리서치 기관 ETFGI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전세계 ETF 운용 규모는 1경1,400조원 규모다. 미래에셋은 전세계 14위 ETF 공급자다.

미래에셋은 2011년 글로벌 ETF 시장에 진출했다. 현재 한국, 미국, 캐나다, 홍콩, 일본 등 10개국에서 ETF를 운용하고 있다. 미래에셋 ETF 역사는 2006년 한국거래소에 3개 ‘TIGER ETF’ 시리즈를 상장하며 시작됐다.

2011년 국내 운용사 중 최초로 홍콩거래소 ETF 상장을 시작으로 같은 해 캐나다 호라이즌스(Horizons) ETFs를 인수하며 한국 ETF의 글로벌 진출을 알렸다. 액티브 ETF 강자인 Horizons ETFs는 시장 상황에 따라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2018년에는 전세계 ETF 시장의 약 70%를 차지하는 미국 ETF 운용사 글로벌엑스(Global X)를 인수했다. Global X는 ‘Beyond Ordinary ETFs’란 캐치프레이즈로 차별화된 테마·인컴형 상품을 공급하고 있다. 특히 기술발전, 인프라, 인구구조 등 다양한 주제로 구분된 테마형 ETF가 장점이다.

가장 큰 규모로 ETF를 운용하는 법인은 ETF운용 ETF운용 미국 Global X다. 지난해 말 기준 90개 ETF, 51조9,000억원 규모를 운용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인수한 2018년, 8조원이었던 Global X ETF 운용 규모는 2021년 50조원을 돌파하며 6배 이상 증가했다. ETF.com에서 산출한 미국 ETF 시장 ETF운용 점유율은 2020년 말 15위에서 2021년 말 11위로 발돋움하는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두 번째로 큰 운용 규모는 한국 TIGER ETF다. 지난해 말 기준 134개 ETF, 26조2,000억원 규모를 운용하고 있다. TIGER ETF는 해외주식 테마형 ETF로 시장을 주도하며 작년 한국 ETF시장 점유율 25.2%에서 35.5%로 10%p 이상 증가하는 등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캐나다 Horizons ETFs가 세 번째로 큰 규모를 운용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106개 ETF, 19조4,000억원 규모다. 액티브·패시브 ETF 뿐만 아니라 레버리지와 인버스 ETF 등 다양한 상품 공급으로 2021년 한해 운용 규모가 5조3,000억원 증가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