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종료시간
가상화폐 거래시간은 주식과 다르게 24시간 내내 계속된다. 가상화폐의 거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은 따라서 거래소가 정지되는 중에도 해외의 다른 거래소는 거래가 진행되고 있어서 의미가 없지만 대다수는 일봉 마감시간이자 새로운 일봉의 시작시간인 9시를 기준으로 한다. 이 때 국내거래소의 잡코인들도 움직일 때가 많다.
가상화폐 거래 시간
차트를보다보면일봉마감시간이당연히자정일것이라생각하는데아 침 9 시에새로일봉을시작하는곳이많다.거래사이트의설정기준이표준 시 ( UTC + 0 ) 가 아닌 한국시 ( UTC + 9 ) 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표준시를 기준으로 차트를 그리는 곳도 많았다. 같은 시간, 같은 코인을보고있는데도거래소마다봉마감시간이달라매매할때마다해외 거래소의 봉 마감 시간을 확인해야 했는데, 요즘에는 기본 설정이 대부분 통 일돼 있어서 헷갈릴 일이 없다. 그렇다면 언제가 주로 중요한 시점일까?
일봉이 마무리되고 새로 봉을 그리는 시점이다. 장 난이도가 올라갈수록 일봉의 초반 흐름과 반대로 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아침 9 시 직후 일봉이 처음 그려질 때 상승이라고 무조건 좋게 볼 것이 아니라 하락 요소는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한 아침 9 시 직전에는 봉 마감을 위한 가격 변동이 종종 생기기도 한다. 전날 밤새 가격이 내렸다면 아래꼬리를 길게 만들면서 하락을 회복하기도 하 기 때문에 아침에 매매하는 자는 관심 있게 봐야 하는 시점이다.
아침이 일봉 시작 시점이라면 밤 9 시는 6 시간봉과 4 시간봉이 만나는 시점 으로 여러 차트에 변곡점이 오는 중요한 시점이다. 나는 지난 5 년간 투자하 면서개인적으로이때추가하락이나급상승을겪은적이꽤많다.이시간은 귀납적인 이유가 아닌 거래종료시간 여러 봉이 겹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격이 수렴하거나 상승 또는 하락하는 등 특정 방향으로 쏠려서 가격이 오르거나 내릴때이시점이오면직전흐름과다르게움직일수도있고,오르던코인 대신 다른 코인이 상승하기도 하고 심지어 비트코인이 급락한 적도 있었다.
짧게 매매하는 투자자에게 이 시기는 수면 전 코인의 홀딩 여부를 결정하 는 중요한 시점이다. 나도 보통 이 시기에 예약매수나 예약매도를 어느 가격 에 걸어둘지 결정한다.
마감시간과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우선 가상화폐의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는 아래 참고,
가상화폐에서도 주식시장처럼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가 있다. 골든크로스의 거래종료시간 뜻은 단기이동평균선(하양선, 검정선, 파랑선으로 보통 표기)이 장기이동평균선보다 높아지는 교차하는 시점을
일봉의 마감 전후로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에 관한 지표인 macd, stch mtm, 스토캐스틱 패스트/슬로우의 지표가 교차할 때가 많다.
내리기 직전이었으나 혹은 내리고 있으나 적당히 지지는 되었고, 지표는 꺾이기 직전인 경우에 일봉의 마감과 새로운 일봉이 시작되면서 지표가 식혀지는 경우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이런 의미를 놓치는 분들이 많다.
주식 거래 시간 이유. 공부하실 분만
주식 거래 시간 정확한 개념이 헷갈리시나요? 무슨 이유로 정규 장 시작시와 종료 즈음에 동시호가 거래를 하는지 무슨 이유로 오후 4시부터는 단일가 매매를 하는 것인지. 현재 주식 시장의 거래 시간과 시간대별로 다른 거래 방식으로 운영중인 이유에 대해 시원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그래서 제가 주식 거래 시간을 이해하는데 딱 필요한 거래종료시간 내용만 정리해서 개념을 정확히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긴 시간 글 써서 아까움에도 불구하고 굳이 몰라도 되는 군더더기 날리는 작업을 해서 다 뺐습니다.
1. 거래 시간표 일단 한번 같이 봅시다.
주식 거래 시간( 출처 : 네이버 )
네이버에 검색만 해도 나오는 내용입니다. 이걸 보러 블로그에 오신 건 아닐 겁니다. 하나하나 제대로 설명해드릴게요
2. 거래 방식은 딱 3가지입니다.
표를 보시면 처음 보시는 분들이 괜히 헷갈릴만한 점이 있습니다. 동시호가와 단일가가 마치 개념적으로 다른 것처럼 느껴져서 '거래 방식이 뭐 이렇게 많아?' 하는 생각이 들 수가 있는데요. 둘은 같은 겁니다. 엄밀하게 말하면 단일가 매매라는 단어를 쓰는게 맞습니다만 관례적으로 쓰는대로 동시호가 거래라는 용어도 같이 사용하겠습니다.
그냥. 솔직히 거래 방식은 크게 딱 3가지밖에 없습니다.
(1) 실시간 변동가 거래 ( 정규 시간 )
첫 번째로 정규시간의 거래방식은 실시간 변동가 거래 방식입니다. 한마디로 실시간 선착순으로 거래를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삼성 전자 주식을 8만원에 사려는 거래종료시간 거래종료시간 사람이 1만 명이 줄을 서 있는 상태에서 제가 8만 원에 사려고 한다면 1만 명 다음에 줄을 서는 것입니다.
새로운 사람이 8만원에 사겠다고 줄을 서기도 전에 8만 원에 팔려는 사람들이 와서 다 팔아서 8만 원에 줄이 없어져버리면 8만 원 밑에 79900원에 사겠다는 사람한테 기회가 넘어가는 것이고요.
이런 식으로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가격이 실시간으로 오르락내리락하게 됩니다. 해당 종목의 시가총액에 비해 많은 거래가 이루어진다면 순식간에 천당과 지옥을 오갈 수도 있는 방식입니다. 주식을 하면 일반적으로 접하는 바로 그 거래 방식입니다.
(2) 동시 호가 거래
두 번째로 이야기할 거래방식은 동시호가 거래 방식인데요. 이 거래방식의 존재 이유를 알면 이 개념은 바로 와닿기 때문에 존재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동시호가 거래 방식은 거래가 너무 뜨거워지는 것을 조절하기 위한 거래 방식입니다. 무슨 말이냐 하면 앞에 언급했던 실시간 변동가 거래 방식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가격이 즉시 결정되어 바로 거래가 이루어지므로 순식간에 천당과 지옥을 오갈 수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흥분한 투자자들에 의해서 가격이 지나치게 실시간으로 요동치는 것을 막고 차분하게 거래하기 위한 방식인데요.
주식 거래가 가능한 시간 전체는 8:30 ~ 18:00인데 이 중 거래가 너무 뜨거울 것으로 우려되는 시간은 동시호가 거래방식으로 거래되는 것입니다.
24시간 운영되지 않는 주식 장 특성상 어떤 종목이 전 날 따끈한 호재가 있었다던지 악재가 있었다던지 하면 사람들은 장이 열리자 말자 폭탄 매수 또는 매도를 하려고 대기를 하고 있을 겁니다. 이런 상태에서 동시호가 거래 없이 바로 실시간 거래에 들어가 버리면 주가가 아마 난리가 날 것입니다.
그래서 8:30 ~ 9:00 사이에 동시 호가 방식을 쓰는데 사람들이 주문을 하면 즉시 거래시키지 않고 '주문만' 받아 놓는 것입니다. 네 30분 동안 고객님 ~ 주문하세요 하면서 거래종료시간 주문만 받습니다. 30분 동안 받은 주문 안에 다양한 가격의 매수 주문과 매도 주문이 있겠지요?
30분이 지나고 9시가 되는 순간에 매수 주문과 매도 주문이 합치되는 가격으로 거래를 일괄 체결시킵니다. (실시간으로 들어온 주문가로 거래 체결을 시키지 않고 누적된 주문을 토대로 같은 시간에 주문을 처리하므로 동시(同時) 호가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동시호가로 매수 시에는 본인이 주문한 매수 가격보다 오히려 싸게 구입될 수가 있고 매도 시에는 매도 주문 가격보다 비싸게 팔 수도 거래종료시간 있습니다.
동시호가의 결정 과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미리 말씀드리는데 동시호가 결정 과정은 혹 정확히 이해가 안 되시면 그냥 가볍게 넘어가십시오. 합치 가격은 직관적으로 거래종료시간 어느 정도 알 수가 있는데 굳이 과정을 정확하게 모르겠다해서 잡고 있을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 매도 주문량 ) ( 주문 가격 ) ( 매수 주문량 )
4,000 | 301,000 | |
8,200 | 300,500 | |
10,000 | 300,000 | 1,000 |
5,000 | 299,500 | 2,000 |
299,000 | 9,000 | |
298,500 | 8,000 |
동시 호가에 주문이 위와 같이 들어왔다고 해보겠습니다. 그러면 매도 주문 중 최저가인 299,500원에 5,000 건인 주문과 매수 거래종료시간 주문 중 최고가인 300,000원에 1,000건의 주문끼리 먼저 거래 성립입니다.(1번 거래) 얼마에 거래가 되는지는 아직 말씀 안 드렸습니다. 마지막에 결정되는 동시호가가 거래 가격이거든요 일단 계속 한번 보시죠.
그러면 299,500원에 주식을 매도하려던 5000건의 주문 중 1000건은 매도가 되고 4000건이 남습니다. 그러면 다음 순위인 299,500원에 매수 주문이 들어온 2000건과 거래가 성립됩니다.(2번 거래) 그러면 동시 호가는 마지막 거래인 2번 거래 가격으로 결정이 됩니다.
즉 1번 거래든 2번 거래든 9시에 동시에 체결이 되며 체결 가는 동시호가인 299,500원이 됩니다.
이제 동시호가 매매가 무엇인지 아셨는데요. 이러면 개념 정리 거의 끝난 것입니다. 왜냐면 16:00부터 18:00까지 진행하는 시간 외 단일가 매매라는 것도 결국은 이것하고 똑같은 원리거든요.
'시간 외 단일가 매매'거래종료시간 는 10분마다 동시호가 거래를 하는 것입니다.
장 시작할 때 8:30~9:00까지 30분 동안 주문만 받고 9:00에 동시에 체결한다고 했지요?
시간 외 단일가 매매는 16:00 시작해서 10분 동안 주문만 받고 16:10에 동시에 체결! 또 16:10부터 10분 동안 주문만 받고
16:20에 동시에 체결하는 방식을 18:00까지 반복하는 것입니다.
시간 외 단일가 매매를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하는 이유는 정규 장 이후 시장의 지나친 과열을 예방하면서 추가적인 매매 기회를 주기 위함입니다.
※ 이러한 동시호가의 개념은 주식이 뜨거워지는 걸 막는 모든 곳에 같은 원리로 쓰인다고 보면 됩니다. 변동성 완화장치(VI), 단기과열 종목, 투자위험종목, 상장폐지 전 정리매매 등.. 글 주제를 벗어나므로 이 글에서는 다루지 않겠습니다만 동시호가 거래를 이해하고 보시면 당연한 내용들일 것입니다.
(3) 고정가 거래
마지막 세 번째로 이야기할 거래방식은 너무 간단합니다. 일명 장전 시간 외, 장후 시간 외 거래라고 부르는 거래인데
딱 정해진 거래종료시간 하나의 가격으로 거래를 하는 것입니다. 장전 시간 외(08:30~08:40)에는 그 종목의 전날 종가로 거래를 하고
장후 시간 외(15:40~16:00)에는 당일 종가로 거래를 하는 것입니다.
7월 25일 현대차 종가가 225,500원 일 때 7월 26일 08:30~08:40에 장전 시간 외 거래 매수 주문을 하게 되면 금액을 설정할 수가 없고 그냥 정해진 가격인 225,500원에 거래를 하는 것입니다. 수량만 골라서 매수 주문을 넣으면 파는 사람이 있다면 거래가 됩니다. 장후 시간 외도 마찬가지로 당일 종가 고정가로 거래를 하는 것입니다.
3. 정리 + 적용
이제 모든 개념을 아셨기 때문에 정리를 하겠습니다. 정리를 하면서 실제로 증권 어플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도 이야기하겠습니다.
(1) 08:30~08:40 장전 시간외 거래
고정가(전날 종가)에 거래를 합니다. 주식 주문창에서 주문 종류 중에서 '장전 시간 외'를 선택해서 수량을 넣고 주문하면 됩니다.
장전 시간외 거래
(2) 08:30~09:00 장 시작 동시호가 거래
30분 동안 주문을 받고 09:00에 동시호가로 동시 체결되는 방식으로 거래합니다. 거래 방법은 정규시간에 거래하는 것과 똑같이 매수 종류 보통인 상태로 두고 그대로 주문하면 됩니다.
(3) 09:00~13:30 정규시간 거래
실시간 변동가 거래로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실시간 거래를 합니다. 전날 종가 기준으로 ±30% 까지 변동이 가능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13:20까지가 정규 거래이고 13:20부터 10분 동안은 동시호가 거래라고 볼 수 있습니다.
(4) 13:20~13:30 장 마감 동시호가 거래
주식을 하다가 13:20이 넘어가면 갑자기 거래 체결이 안 된 경험이 있으실 것입니다. 20분부터 10분간 주문을 받고 13:30에 동시 체결하는 동시호가 거래방식이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역시나 그냥 정규시간 거래하듯이 주문을 넣으면 자연스럽게 동시호가 주문이 거래종료시간 됩니다.
(5) 15:40~16:00 장 후 시간 외 거래
고정가(당일 종가)에 거래를 합니다. 주문 종류를 장후 시간 외로 바꿔줘야 합니다.
장후 시간외 거래
(6) 16:00~18:00 시간 외 단일가 거래
10분마다 동시호가 거래를 하는 시간외 단일가 거래입니다. 시간 외 단일가는 10% 범위 내에서 상한가 하한가를 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외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다음날 관심 대상이 되곤 합니다. 주로 정규 장이 끝나고 나서 호재 뉴스가 뜨는 경우 시간외에서 상한가를 치기 때문입니다.
거래하는 방법은 현재가에서 일반 호가 창말고 뒤로 넘어가면 단일 호가라고 나오는데 해당 탭을 선택해서 거래하면 됩니다. 영웅문 기준으로 사진을 첨부하는데 다른 증권사 어플도 비슷합니다.
시간 외 단일가 거래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정성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종합위탁 cma 차이 깔끔정리. 그냥 이 글만 읽어주세요
증권사에서 계좌를 만드는데 종합 위탁계좌라는 것이 있고 CMA 계좌라는 것이 있습니다. 저는 심지어 이미 이 두 계좌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이 두 계좌의 차이점을 몰랐습니다. 오래전에 계좌의
[주식] 신용거래 미수거래 뜻과 차이점 누구나 쉽게 이해하게 완벽정리
주식을 시작하셨다면 신용거래와 미수거래라는 말을 들으셨을 텐데요. 대략적인 의미는 알고 있으나 둘의 정확한 차이를 몰라서 헷갈리셨다면 오늘 부로 영원히 안 헷갈리시게 하겠습니다. 대
껄무새의 호주머니
미국주식 서머타임 종료 및 거래시간
썸머타임
여름 시즌 표준 시간을 1시간씩 앞당겨 시행하는 제도
썸머타임 시행과 종료
- 매 년 썸머타임은 3월 2째주 일요일~ 11월 첫째주 일요일까지 시행합니다.
- 2021년은 11/7(일)에 종료되네요.
- 11/8(월)부터 1시간씩 뒤로 밀려요!
썸머타임 종료에 따른
미국 주식 거래시간 변경
개장, 폐장이 1시간씩 밀려요.
한국 시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바뀝니다.
- 적용시점: 11월 8일(월) 부터
- 변경 전 : 22:30 ~ 05:00
- 변경 후 : 23:30 ~ 06:00
* 북미와 캐나다 기준이며, 유럽장은 11/1일(월)부터 적용됩니다. (써머타임 종료 후 17:00~01:30)
미국주식 거래시간 서머타임 기간, 표준시간
특히, 애프터마켓은 미국에서 4시간정도 더 운영하지만, 우리나라 증권사들은 7~8시까지만 제공하는 증권사들이 많답니다. 국내장 개시시간과의 영향도 때문이겠죠?
증권사별 미국주식 거래 시간
증권사별로 썸머타임 종료 후 표준 기간 거래 시간은 아래와 같아져요.
요즘 프리장, 정규장은 최대 시간으로 확대되었고, 특히 애프터마켓 거래를 두고 경쟁이 치열하네요. 국내 증권사 중 NH투자증권, 나무증권이 가장 오랜 시간 거래 가능한 상황입니다.
증권사별 미국주식 거래 시간 (프리마켓, 애프터마켓)
이제 애프터마켓까지 경쟁이 불붙었으니, 다른 증권사들도 최대치로 늘리겟죠?
NH투자증권 애프터마켓 거래시간 연장
미래에셋 증권 애프터마켓 거래 시간 안내
삼성증권 미국주식 거래 시간
키움증권 애프터마켓 연장
썸머타임 기간 동안 저녁 10시반에 시작할 때는 어느정도 시장 초반을 트래킹할 수 있었는데, 요즘 저는 11시면 잠이 들어서 .. ㅋㅋㅋㅋ 4Q 미국장은 관심이 좀 줄어들 것 같습니다. 본의아니게 장투하게 되는걸까요 ㅋㅋㅋ
거래종료시간
미국주식 서머타임 기간 확인해보았는데, 그 내용 공유해볼께요. 2022년 올 해 서머타임이 언제부터 적용되고, 언제 종료가 되는지 그리고 서머타임 적용이 되면 개장시간은 어떻게 변경되는지 확인해봅니다.
미국주식 서머타임 주식 거래시간
서머타임이 적용되고 나면 원래 거래시간보다 1시간 먼저 거래가 시작됩니다. 서머타임이 여름철에 해가 일찍 뜨고 낮시간이 길어지니 그걸 활용하기위해서 1시간씩 앞당겨 일과를 보내는 것인데요.
한국시간 기준으로 미국 주식 거래시간이 23:30 ~ 익일 06:00 까지이죠. 서머타임을 적용하면 22:30 ~ 익일 05:00 로 1시간씩 앞당겨지는 방식입니다. 거래시작 시간과 거래 마감시간 모두 1시간씩 빨라지는 것입니다.
- 미국주식 거래시간: 한국시간으로 밤 11시 30분 ~ 다음날 6시
- 미국주식 서머타임 적용 후 거래시간: 한국시간으로 밤 10시 30분 ~ 다음날 5시
프리마켓, 에프터마켓 모두 서머타임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한국 시간 기준 | 미국 주식 거래시간 |
기본 | 23:30 ~ 익일 06:00 |
서머타임 적용 기간 | 22:30 ~ 익일 05:00 |
프리마켓 (서머타임 적용) | 18:00 ~ 23:30 (17:00 ~ 22:30) |
애프터마켓 (서머타임 적용) | 06:00 ~ 07:00 (05:00 ~ 07:00) |
미국주식 서머타임 기간: 시작, 종료
매년 하루이틀씩 차이는 나지만 서머타임 적용 기간은 비슷합니다. 2022년은 3월 14일부터 11월 4일까지가 서머타임이 적용되는 거래일이라고 보면됩니다.
- 미국주식 서머타임 기간: 2022.03.14 ~ 11.04
한국에서 미국주식을 매매하는 경우 11시 반에 시작하느냐, 10시 반에 시작하느냐는 꽤 큰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1시간일 뿐이지만 장 초반에 움직임을 확인하고 잠에 들 수 있기때문에 직장인들에게는 더 좋죠. 물론 요즘에는 프리마켓이 폭넓게 적용되고 있어서 정규거래시간이 시작되기전에 프리장에서 매매를 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서머타임이 시작되면 프리장 역시 1시간 앞당겨지기때문에 국내 주식이 끝난 후, 바로 미국주식을 볼 수 있을 예정입니다. 여기에 코인까지 하면 하루종일, 24시간 틈이 없겠네요.
거래종료시간
주식시장 개장 2일부터, 종료 시간은 똑같아
주식시장이 오늘(2일) 열렸다. 지난해 12월 31일은 휴장일로, 한국거래소는 30일에 주식시장을 폐장한다고 밝히면서 2020년 주식시장일은 1월 2일이라고 말했다.
한국거래소는 주식과 외환 등 2019년 금융시장이 31일 휴장일로 30일에 거래를 마쳤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달 31일에는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 코넥스시장 등 증권시장과 파생상품시장 등이 운영되지 않았다. 이날은 결제일에도 제외됐다. 단, 장외파생상품 중앙청산소(CCP) 청산은 휴장일 상관없이 정상적으로 운영됐다.
오늘(2일) 한국거래소는 오전 9시 30분 연의도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2020년도 증권·파생상품시장 개장식을 개최했다. 이날 개장식에는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과 은성수 금융위원회 위원장 등 증권·파생상품 업계 및 관계 기관 임원 약 300명이 참석했다. 이에 따라 오늘 오전 10시부터 주식시장이 개장됐다. 원래 주식시장은 오전 9시에 열리지만, 2일인 오늘은 한 시간 늦어졌다.
다만 장 종료 시간은 기존과 동일하게 오후 3시 30분이다. 지수 및 국채·옵션 등 파생상품시장도 같은 시간으로 운영된다. 은행 간 외환시장, 한국외주식시장(K-OTC) 역시 마찬가지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