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폴리오 전략 및 비즈니스 개발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오늘날 환경에서는 시기적절하게 데이터 기반의 포트폴리오를 계획하여 결정하는 일이 필요합니다. 클래리베이트의 업계 전문가, 데이터 과학자 및 역학자들은 방대한 양의 역학, 실제 환자 및 시장 데이터를 통해 상위 수준의 개요에서 가장 세분화된 환자군까지 글로벌 및 현지시장을 이해하도록 지원합니다. 광범위한 접근 방식이든 개인화된 의학 접근 방식이든 환자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칠 치료법을 식별해보십시오.
인수합병 활동, 까다로운 가격책정 및 구매 조건, 약물 파이프라인 및 고객 동인에 대한 통찰력에 접근할 수 있는 클래리베이트의 전문가들은 보다 정확한 예측과 상업화를 위한 투자계획에 확신을 가지고 결정할 수 있도록 질병 분포 및 관심 경쟁 구도를 이해하는 일을 지원합니다.
“Cortellis Competitive Intelligence를 통해 마케팅 및 비즈니스 개발 전략을 추진하는 기반이되는 가장 신뢰할 수 있고 업데이트된 약물 정보 소스를 갖게 되었습니다.”
“어떤 기업이 유사한 약물을 개발하고 거래 계획 및 전략 있는지 알아낼 수 있는 빠른 방법이 필요했습니다. 과거에는 경쟁구도에서의 위협이나 협력기회가 있는 곳을 쉽게 식별할 수 없었지만, Cotellis를 통해 이 모든 것을 식별하고 있습니다.”
“이제 산업 동향의 발전을 추적하고 다양한 성분 또는 준비의 변화에 대해 먼저 알 수 있습니다. 클래리베이트의 솔루션은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필수적인 전략적인 도구입니다. 클래리베이트의 제품이 우리의 모든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주기 때문에, 다른 분석 및 모니터링 도구를 더 이상 찾지 않습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하루일과 중 하나는 사무실에 들어가서 BioWorld를 여는 것입니다. 이것은 제가 가장 먼저하는 일입니다. BioWorld는 금융에서 임상개발에 이르기까지 미국 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가장 관련성이 높은 업계의 대표적인 정보를 보여줍니다.”
- Garrett Vygantas
- 벤처 그룹
- Burrill & Company
“Cortellis Deals Intelligence [CDI]로 전환하기 전에는 공개된 데이터에서 거래 구성 요소, 가치 평가 및 기타 거래정보를 검색하는데 수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CDI는 필요한 거래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게 해주는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지원 방법
시장 평가
핵심시장에 대한 종합적이며 정확한 최신 시각을 항시 확보
- 약물이 치료과정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 이해
- 미개척 비즈니스 기회를 찾을 수 있는 위치를 파악
- 시장에 출시될 신제품과 예상되는 영향을 예상
- 시장의 동인과 제약 조건을 이해
- 충족되지 않은 요구사항 식별
- 종양학, 희귀질환, 심혈관 등을 포함한 치료 분야의 180개 이상의 적응증 정보
시장 규모 및 예측
향상된 정확성 및 확신을 기반으로 시장 기회 및 투자를 평가
- 전체 잠재력 및 가망 시장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상치를 벤치마킹
- 상향식 거래 계획 및 전략 예측을 사용하여 투자검증
- 성장기회를 파악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구가 어떻게 변할지 이해
- 질병단계, 하위집단 및 치료 흐름 추적
- 치료 전문가 및 1차 시장조사에서 얻은 통찰력을 기반으로 약물 치료 인구 추정
치료 동인 및 임상 여정
치료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인 치료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기회를 식별
- 환자가 현재 어떻게 치료를 받고 있는지, 의사의 처방을 이끄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이해
- 환자의 여정에 따른 주요 임상, 재정, 태도 및 정보 측면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을 확보
- 청구, EHR, 1차 시장 조사 및 사회적 인텔리전스를 포함하여 질병진행 및 의사와의 상호작용을 전체적으로 개괄
- 환자 치료 경험의 여러 측면을 연결한 3억명이상의 환자(3년이상)정보
제품 및 출시 계획
- 미래시장에서 귀하의 제품이 포진해야 할 이상적인 위치 파악
- 제품의 가치와 개발 및 사업활동을 통해 최대의 성공을 이끌어 내는 방법을 결정
- 사업적 잠재력 및 위험요소와 관련하여 포트폴리오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방법을 이해
- 적응증 및 지리적 확장을 위한 데이터 기반 계획 활용
브랜드 추적 및 최적화
- 어떤 의사가 약물을 누구에게, 언제, 어디서 처방하는지 이해
경쟁 정보
- 새로운 경쟁자 식별 및 파이프라인 모니터링
- 치료영역, 대상 또는 기술의 경쟁 구도를 추적
- 경쟁 의약품의 잠재적 성공 및 승인 일정 예측
- 특정 치료 영역 또는 약물 클래스에서 매우 활발한 회사들이 누구인지 결정
- 귀사의 약물을 투여받는 환자와 경쟁사 약물간의 주요 차이점에 대한 통찰력 확보
파트너 식별 및 거래 성사
- 포괄적 실사 수행
- 귀하의 작용 메커니즘과 기술을 기반으로 약품의 평균 거래 규모를 확인
- 거래 구조 및 액세스 계약 이해
- 귀하의 치료분야에서 경험있는 잠재적인 파트너 목록 작성
- 개발 전단계에서 약물의 잠재적 거래규모 예측
제너릭 및 제조
- 제품 포트폴리오를 계획하고 새로운 포트폴리오 후보를 쉽게 타겟팅
- API의 숙련된 소스 식별 및 탄력적인 공급망 계획
-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새로운 파트너 및/또는 고객 식별
- 시장 점유율을 방어하고 경쟁사를 추적
- 독점권 상실 및 최초 출원을 위한 운영의 자유 이해
포트폴리오 전략 및 비즈니스 개발을 위한 솔루션
Disease Landscape and Forecast
Epidemiology
통합환자 여정
시장 규모 및 예측
Cortellis Competitive Intelligence
Cortellis Deals Intelligence
Real World Data
BioWorld
Disease Landscape and Forecast Research Reports
Cortellis Digital Health Intelligence
질병 현황 및 예측 연구 보고서
최근 발표된 보고서를 탐색하고, 치료 분야 및 지역별로 검색하여 최신 시장 인사이트를 확보하십시오.
리소스
포트폴리오 우선순위 및 외부 자산평가에 AI 및 경쟁 인텔리전스 활용하기
정밀의학 발전과 희귀병 치료를 위해 RWD활용하기
2021년 제약바이오 주요 거래 살펴보기
시작하기
전략적 포트폴리오 계획의 과제에 대해 말해주십시오
- Cookie 거래 계획 및 전략 preferences
- language Regional sites arrow_drop_down
Fraud Warning
Please be advised that recently there have been fraudulent job offers and interviews using the Clarivate name, logo and even names of our colleagues.
Please be aware that Clarivate will:
- Never ask for payment of any kind as part of our hiring or onboarding processes
- Never ask an applicant to email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Social Security Number, birthdate, credit card or bank account information
- Never issue pre-employment checks to purchase office supplies
- Never ask you to pay up for an external course and upskill
If you have any question about a position posted in our company name, please check our current open positions on the Clarivate website Careers pages or contact one of our recruiting team members directly.
If you have been the victim of a scam, please contact your local law enforcement agency.
Federal Transparency In Coverage Rule
This link leads to the machine-readable files that are made available in response to the federal Transparency in Coverage Rule and includes negotiated service rates and out-of-network allowed amounts between health plans and healthcare providers. The machine-readable files are formatted to allow researchers, regulators, and application developers to more easily access and analyze data.
M&A 전략
EY-파르테논 팀은 M&A 전략의 개발부터 평가, 엔드 투 엔드(end-to-end) 거래 계획 및 전략 실행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EY-파르테논 전문가들은 투자 및 포트폴리오 최적화 기회를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정해 목표를 파악한 뒤 고객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합니다.
EY 전문가들
EY-파르테논은 이렇게 도와드립니다
EY-파르테논 팀은 비즈니스 리더와 CEO가 풀어야 할 다음과 같은 질문에 해답을 제시합니다.
- 여러분의 성장과 포트폴리오 전략에 필요한 M&A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 여러분은 최상의 M&A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실사를 충분히 수행했습니까?
- 어떻게 하면 M&A를 진행할 때 가치는 최대로 달성하고,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을까요?
- 여러분은 합병 통합 시 발생하는 문제에 관해 대비하고 있습니까?
EY-파르테논의 M&A 전략 전문가들은 다음 부문과 관련해 다양한 경험이 있습니다:
운영 및 IT 실사
EY는 고객의 M&A 전략이 더 넓은 차원의 비즈니스 전략 및 목표와 부합하도록 지원합니다. 고객이 추진할 최적의 인수합병 구조를 결정하도록 도와드리며 고객의 전략적 목표에 따라 인수합병 대상을 발굴하고 평가합니다.
사업 실사(매수측)
EY-파르테논 전문가들은 1차 및 2차 연구 역량, 계량 분석학 등 데이터 중심 분석기법을 이용해 대상 산업의 매력도를 평가합니다. 또한 경쟁 구도 및 성장 기회를 평가할 때 고객의 실사 과정을 지원합니다.
벤더 실사(판매 측)
EY-파르테논 전문가들은 포트폴리오 회사의 전략적 위치와 미래 성장 기회를 명확하게 확인해 투자 종료 단계에서 고객을 평가합니다.
통합 전략 계획 및 실행
EY-파르테논 전문가들은 통합 전략 개발, 시너지 및 가치 창출 기회 확인, 복합 상업 및 운영 모델 개발, 통합 마스터 플랜 개발 등으로 고객을 지원합니다. 또한 고객이 통합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시너지 실행 및 추적하며, 통합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커뮤니케이션과 변화를 관리하도록 돕습니다.
분할 전략 계획 및 실행(분할 조직 및 잔존 조직)
EY-파르테논 전문가들은 사용자 또는 계약, 법인, IT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 공급망, 재무 및 회계, 인력 등 현재 진행 중인 업무에 대한 혼란을 줄이고, 복잡한 영역을 분리하기 위한 분할 계획을 개발하고 실행하도록 지원합니다. EY-파르테논은 독자적인 업무 툴로 구성한 강력한 플랫폼을 제공해 고객이 해당 거래와 관련된 각 조직과 연계해서 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운영 및 IT 분리
EY-파르테논 전문가들은 고객이 사람, 프로세스, IT 시스템, 자산, 계약 및 법적 실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우리는 고객의 사업 부문, 부서 또는 전체 법인의 매각 또는 분사 과정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집중합니다.
How EY-Parthenon can help
전략 컨설팅
변혁의 시대를 맞이하여 CEO와 비즈니스 리더들은 조직 이해당사자 가치 극대화 방안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EY 전문가들은 기존 가설을 검증하고 전략 수립을 지원하여 수익성 및 장기적 가치를 향상합니다.
기업 및 성장 전략
EY-파르테논 팀은 조직 전체에 걸쳐 재무, 운영 및 구현의 관점을 통합해 심층적인 시장, 경쟁자 및 사용자를 분석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고객을 위한 전략적 기회를 개발하고 실행을 지원합니다.
구조조정 및 턴어라운드 전략
코로나 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많은 조직이 기존 전략을 대폭 수정해야 합니다. 전략적 변화의 다음 물결(next wave)은 재무 및 비즈니스 구조조정입니다. 또한 조직은 신속하고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턴어라운드 전략에 집중해야 합니다. 우리는 긴급하고 복잡하며 중요한 상황에서도 신뢰도가 높은 리더십을 제공해 조직에 필요한 가치를 변환, 생성 및 복구합니다.
풀포텐셜 패러다임(Full Potential Paradigm™)
여러분의 경영 전략은 매출과 수익의 극대화에 최적화되어 있습니까?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은 없습니다. 하지만 EY-파르테논은 독자 개발한 진단 프레임워크인 풀포텐셜 패러다임(Full Potential Paradigm™)으로 귀사가 최적의 전략을 수립하도록 안내할 수 있습니다.
기업 재무 서비스
EY는 기업, 사모펀드, 정부, 국부펀드, 개인 및 가족기업, 그리고 교육기관의 주요 재무적 이슈 해결을 돕습니다.
매각 및 분리
EY의 전략적 포트폴리오 관리에 대한 자문은 기업의 거래 계획 및 전략 매각 대상과 시기 결정에 도움을 드립니다.
기업 인수 및 통합
EY는 효과적으로 통합되고 체계화된 운영이 가능한 인수합병, 합작투자(JV) 및 제휴를 통해 기업들의 전략적인 성장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성과 혁신
EY는 고객사가 COVID-19로 인한 위기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복잡하고 긴급한 위기 상황에 대처하여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기업의 가치를 회복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EY 전문가들
EY-Parthenon
EY-파르테논이 제공하는 기업, 거래 및 구조 조정 기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EY의 솔루션과 기술에 대해 살펴보세요
최신 EY 인사이트
도움이 되셨나요? EY 전문가에 문의해 더 자세한 이야기를 확인하세요.
EY는 언스트앤영글로벌유한회사(Ernst & Young Global Limited) 조직, 또는 하나 이상의 멤버 법인을 지칭할 수 있으며, 각 멤버 법인은 서로 독립적인 법인입니다. 언스트앤영글로벌유한회사는 영국의 보증책임 유한회사로 고객사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EY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ey.com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EY-파르테논(EY-Parthenon)은 다수의 EY 글로벌 멤버 법인들의 전략 컨설팅 서비스를 아우르는 브랜드입니다.
EY | Assurance | Tax | Transactions | Advisory
About EY
EY is a global leader in assurance, tax, transaction and advisory services. The insights and quality services we deliver help build trust and confidence in the capital markets and in economies the world over. We develop outstanding leaders who team to deliver on our promises to all of our stakeholders. In so doing, we play a critical role in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for our people, for our clients and for our communities.
EY refers to the global organization, and may refer to one or more, of the member firms of Ernst & Young Global Limited, each of which is a separate legal entity. Ernst & Young Global Limited, a UK company limited by guarantee, does not provide services to clients. For more information about our organization, please visit ey.com.
© 2017 EYGM Limited.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has been prepared for general informational purpose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relied upon as accounting, tax, or other professional advice. Please refer to your advisors for specific advice.
Earticle
미술품 거래정보 온라인 제공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보전략계획
A Study on the Information Strategy Planing for the Construction of the Online Information System for the Transaction of Art
- 발행기관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디지털융복합연구 KCI 등재 바로가기
- 통권 제17권 제11호 (2019.11) 바로가기
- 페이지 pp.61-70
- 저자 서병민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365308 복사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영어 음성듣기 --> The The government has recently announced its mid- to long-term plans for promoting art.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temporary art contents that are integrated with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Virtual Reality (VR), and Big Data are being introduced, and social interest in humanities and creative convergence is rising. In addition,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art market is expanding amid the rising popularity of art among the general public and the growing interest of art as an investment replacement 거래 계획 및 전략 system, along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of our Education Minis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for transparency and revitalization of the art market by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such as search functions, analysis data, and criticism by writer and price. This paper has established an information system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an online supply system for art transaction information, providing auction transaction information for art market, providing report and news for art market, providing public relations platform, and providing art market analysis service and membership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To this end, the future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environmental analysis and focus analysis of the art market, and strategic tasks and implementation plans were established accordingly. 한국어 사회경제적 발전과 교육부의 창의인성교육의 강화와 함께 일반국민도 미술품에 대한 향유문화가 고조되고 있고, 미술품이 투자대체제로써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흐름 속에 미술품 시장의 산업화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 정부에서도 미술진흥 중장기 계획 수립을 발표하는 등 미술품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빅데이터 등 지능정보기술과 융·복합하는 현대미술 콘텐츠가 선보이고 있고, 인문학 및 창의융합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누구나 쉽게 미술시장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하고, 작가와 가격대별 검색기능과 분석자료, 비평 등 통합정보를 제공하는 등 미술시장의 투명화와 활성화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 본 거래 계획 및 전략 논문은 미술시장 경매거래정보 제공, 미술시장 보고서 및 뉴스 제공, 홍보 플랫폼 제공, 미술시장 분석서비스 및 회원관 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술품 거래정보 온라인 제공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보시스템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미 술시장에 대한 환경분석과 중점분석을 통해 미래모델을 수립하였으며, 이에 따른 전략과제와 이행계획도 수립하였다.
요약
Abstract
1. 서론
2. 환경 분석
2.1 외부환경분석
2.2 내부환경분석
2.3 해외선진사례 분석
2.4 정보기술환경 분석
2.5 환경분석을 통한 시스템 구축 방향성 정립
3. 중점 분석
3.1 내외부 이해관계자 면담
3.2 정보시스템 현황 분석
3.3 수요조사 분석
4. 미래 모델 수립
4.1 비전 및 전략 수립
4.2 목표 모델 수립
4.3 전략 과제 설계
5. 결론
REFERENCES
지난 호 DBR에서는 청정대기법이 제정된 1970년부터 1988년까지 진행된 산성비 문제 해결을 위한 청정대기법 입법 협상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1989년 청정대기법 수정안은 과연 의회를 통과할 수 있었을까. 대부분의 환경단체들은 버드-미첼 타협안과 비슷한 환경 법안의 제정만이 해결책이라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전국청정대기연대 멤버인 환경보호기금(EDF, Environmental Defense Fund)만이 시장 유인을 활용해야 효과적으로 환경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었다.
1988 년 12월 정권 인수팀의 보이든 그레이는 EDF 사무총장인 프레드 크럽을 백악관으로 초청, 새 정부를 위해 시장을 기반으로 한 산성비 감축 계획 제안을 요청했다. 연방환경청도 배출권거래의 시장 논리를 받아들이고 있었지만 1980년대에 시도된 배출권 거래시장, 즉 위스콘신 폭스 강의 수질오염 사례나 휘발유·납 성분 규제 사례의 운용 결과는 실망스러웠다. 당시에는 거래 계획 및 전략 아직도 환경 문제를 최우선시하는 분위기가 아니었다. 환경 규제 준수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경제 성장을 우선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강했다.
물론 시장의 힘을 사용해야 한다는 아이디어가 전혀 새로운 것은 아니었다. 경제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공해 감축을 위한 한계 비용이 발전소마다 다르다는 사실을 무시한 획일적인 규제가 경제적으로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미 1920년대에 프랑스 경제학자 피구는 부정적 외부효과(Negative Externalities)로 알려진 공해를 효과적으로 막으려면 공해 물질이 야기한 한계 환경파괴 손해와 동등한 세금을 부과하면 된다고 밝혔다. 이론적으로 공해 감축을 위한 한계 비용이 높은 발전소가 상대적으로 한계 비용이 낮은 발전소로부터 배출권을 살 수 있는 배출권 거래시장이 움직이면 감축 총량이 일정하더라도 전체 비용은 훨씬 감소한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다.
1988 년 11월 아버지 부시가 대통령 선거에서 이기자마자 공화당 정권 인수팀은 즉시 환경팀을 구성했다. 인수팀은 12월 하순에 존경받는 환경운동가 윌리엄 라일리를 연방환경청(EPA) 수장으로 뽑았다. 라일리는 중도적 환경단체인 자연보호재단(Conservation Foundation)의 이사장이었으며, 기업과의 관계도 좋은 편이었다.
라일리와 정권인수팀은 선거 캠페인 멤버인 전 미시간 전력위원회 위원 윌리엄 로젠버그를 연방환경청 대기국장으로 선택한다. 1989 년 2 월 1 일 연방환경청에 부임한 로젠버그 대기국장은 환경 전문 관료그룹을 리드하는 연방환경청 대기국 정책실장 로버트 브레너를 만난다. 브레너는 청정대기 문제와 산성비 문제를 해결해 나갈 대안에 대해 상세한 브리핑을 했다.
1989 년 2월 초 EDF는 배출권 거래계획안을 발표했다. 계획안의 골자는 연방 정부가 모든 석탄연소 화력발전소마다 아황산가스(SO2) 배출 한도를 부여하고 3년마다 단계별로 이를 축소해 10년 뒤에는 1200만 톤의 SO2 감축을 달성한다는 것이었다. 발전소들은 집진기(스크러버) 설치, 저유황석탄으로의 전환, 한계 비용이 낮은 발전소 SO2 감축 권리 구입 등 여러 대안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다. 다만 지역 대기의 청정도 기준을 초과하는 거래는 불가능했다.
그러나 EDF의 계획안에 대한 반응은 차가웠다. 연방환경청 대기국 산성비 과장인 브라이언 맥린은 오랫동안 규제 산업으로 존재해온 전력업계에 기업가 정신을 기대하긴 어렵다며 이 계획이 지나치게 복잡하다고 비판했다. 지난 10년간 가공 거래와 나쁜 거래의 경험을 한 대기국과 환경론자들 사이에도 부정적 시각이 강했다. 전국청정대기연대에서도 차가운 반응을 보였다. 배출권 거래의 경제학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편법이 통하지 않도록 만드는 구체적인 실행과 법적 강제 집행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많은 환경단체는 버드-미첼 타협안 같은 통제와 명령 시스템보다 오히려 EDF 스타일의 배출권 거래시장 계획에 대해 더욱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전국청정대기연대의 아이어즈 의장은 “아이디어가 없어서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니라 실행을 할 수 없어 문제”라고 비판했다.
EDF 가 시장 기반 산성비 감축계획을 발표한 것과 비슷한 시점인 1989 년 2 월 9 일 상·하원 합동 연설에서 부시 대통령은 “우리가 숨 쉬는 대기는 우리가 보호해야 한다. 산성비 문제에 관한 한 더 이상 연구만 하고 있을 수 없다. 이제 행동에 옮길 때가 됐다”며 새로운 청정대기법 수정안을 의회에 보내겠다고 약속했다.
다음날 부시 대통령은 로저 포터 경제 및 국내정책 수석보좌관을 불러 이 일을 맡아달라고 부탁했다. 행정부 내에서조차 연방환경청과 에너지청의 입장이 달랐기 때문에 중립 인물인 포터에게 일을 맡긴 것이다. 포터는 즉시 연방환경청장 라일리, 에너지청 제임즈 왓킨스 장관, 예산부(OMB), 백악관 경제자문위(CEA), 백악관 수석보좌관실, 백악관 정책개발실 등의 대표들이 참여하는 범정부 환경작업그룹을 가동시킨다.
포터는 환경작업그룹 가동 초기에 두 가지 중요한 전략적 의사 결정을 내렸다. 첫째, 백악관 내에서 만들어진 정책안으로 의회, 산업계, 환경그룹을 설득하는 대신 의회그룹, 환경단체, 전력회사 등 관련 이해관계자 모두를 포함시킨 공개적이고도 공격적인 캠페인을 펼치기로 했다. 둘째, 골수 환경보호론자이자 언론과 친분이 두텁고 행정부 내에서는 ‘싸움닭’으로 알려진 브레너 대기국 정책실장 및 그의 상사 로젠버그 대기국장을 정책개발 단계에 참여시켰다. 포터의 두 번째 결정에 대해 많은 사람이 “닭장 속에 여우를 끌어들인 꼴”이라고 했지만 그는 개의치 않았다.
이들은 1989년 3월부터 5개월 동안 SO2 배출 감축이라는 대통령의 약속을 지키기 위한 방법과 과정을 설계했다. 작업은 만만치 않았다. 환경보호론자들은 계속해서 최소 1000만 톤, 최대 1200만 톤의 SO2 감축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브레너와 로젠버그 등 환경 전문 관료들은 대체로 700만 톤 이상 감축하려면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고 우려했다. 게다가 SO2의 심각성에 대한 광범위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그 피해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확실치 않으며, 고비용성 대규모 감축의 혜택조차 불확실하다고 생각하는 환경 전문 관료들도 있었다. 이들 사이에 복잡하게 얽혀 있는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정치적 및 환경적 이익과 새로운 규제에 필요한 비용 사이의 균형점을 찾아내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비용의 경우 1980년 기준으로 SO2 1000만 톤을 감축하려 할 때 700만 톤 감축 비용의 두 배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환경작업그룹에서는 700만 톤 감축안이 가장 경제적이라는 주장이 팽배했다.
그러나 라일리 연방환경청장은 대통령이 1000만 톤 감축을 제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론자들도 1000만 톤 이상을 주장했고 캐나다의 브라이언 멀로니 총리도 같은 입장이었다. 라일리 청장은 “환경론자들과 캐나다 국민의 지원도 받지 못하는 제안이라면 구태여 전력업계의 수많은 반대를 무릅쓰고 새로운 환경 법안을 의회에서 통과시킬 필요가 있을까”라고 말했다. 그러나 라일리의 반대자들은 “어차피 환경론자들은 공화당 출신 대통령을 좋아할 리 없다. 그렇게 비싼 감축안을 제안함으로써 강력한 이해관계자 집단을 적으로 만들 필요가 있느냐”고 맞섰다.
1986 년 당시 부시 부통령의 정책보좌관인 보이든 그레이는 EDF 사무총장 프레드 크럽이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쓴 특집 기사를 보고 크럽에게 어려운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장 기반 해결책에 대한 연구를 계속할 것을 요청했다. 우파의 괴짜 아이디어로 평가받을 수도 있는 시장 기반의 산성비 통제 정책을 EDF라는 전국 규모의 환경단체가 연구하고 제안하도록 만든 것이다.
1988 년 말 정권인수팀의 그레이는 정책적 이유에서나 정치적 이유에서나 프로젝트 88과 EDF의 시장 접근 방법만이 해결책이라고 확신했다. 정치적 교착 상태를 상대방과 직접 부딪치지 않고 살짝 얇게 베어내서 시장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정치인들은 자존심 싸움을 벌일 필요가 없다는 논리였다. 그는 거래의 초점을 ‘정치적 승리나 패배의 문제’에서 산성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O2를 얼마나 감축해야 하는가는 ’시장의 문제’로 완전히 바꿨다.
해답이 없는 문제에서 답을 찾아내는 일이 바로 창조적 딜메이커들이 할 일이다. 시장의 힘이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움직인다고 하지만 시장을 제대로 작동시키려면 창조적 딜메이커들의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다. 시장을 움직이도록 하려면 시간과 인내심이 필요하다. 절대 조급하게 움직여서는 안 된다. 특히 많은 변수 때문에 인지적, 동태적으로 모두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때 꼭 필요한 것이 창조적 딜메이커들의 준비와 지혜, 시장의 힘이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드는 작동 원리, 기다릴 줄 아는 인내심이다.
1990 년에 수정된 청정대기법 제4장은 대기 중 SO2 배출량을 목표 수준까지 2단계로 감축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1단계에서는 1995년부터 5년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1980년 기준 배출량 1890만 톤에서 1000만 톤을 감축한다는 것이 뼈대다. 2단계인 2000년부터는 배출량 890만 톤의 한도를 계속 유지할 것을 요구했다. 새로운 환경 규제에 직면한 전력업계가 어떻게 대응했으며, 배출권 시장은 어떻게 작동했을까.
1992 년 미국의 전력산업은 지역전력위원회(PU Cs)의 규제를 받는 지역별 독점사업으로 이뤄졌다. 독립전력회사(IPPs)들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 의사결정을 내려야 했다. 회사별로 SO2 배출 통제를 위한 운영전략(operating strategy)과 거래 가능 한도전략(tradeable pollution allowance st -rategy)을 어떻게 할 것인가였다.
발전소 운영전략을 수립할 때는 1995년 또는 2000년 기준치에 맞추거나, 남는 한도를 팔 수 있다. 발전소 운영 전략의 세 가지 선택안은 다음과 같다. 집진기를 설치할 것인가, 클린 연료로 전환할 것인가, 집진기 설치나 연료 전환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권 거래를 위한 공개시장에서 한도를 구매할 것인가.
장기적으로는 발전소 운영전략과 연계해 다음의 선택안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장기적으로 혁신적 기술 개발에 투자한다. 이는 집진기처럼 일단 연소 후 SO2를 잡는 것이 아니라 연소 단계에서부터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SO2 배출량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가리킨다. 다만 아직 개발 단계에 있는 데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고, 기존 발전소의 구형 장비에는 적용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
둘째, 장기적으로는 석탄연료에서 아예 친환경 에너지인 천연가스로 전환하는 것이다. 셋째, 장기적으로는 에너지 소비패턴의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미국 서부에서 나타난 것처럼 국가의 에너지 효율화 프로그램에 따라 전력 수요가 변화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 게다가 청정대기법 제4장에서 전력산업이 환경적으로 우월한 전략을 선택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해 규정한 ‘보너스 한도’ 역시 변수에 포함시켜야 한다. 보너스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SO2 배출을 90% 이상 줄일 수 있는 기술에 투자하는 경우 1995년과 1996년에 한해 새로운 기술이 설치되는 동안 추가 한도를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350만 톤의 별도 풀에서 선착순으로 한도를 쓸 수 있다. 다른 하나는 태양, 바이오, 풍력 등의 재생에너지 기술에 투자하거나 소비자 에너지절약 프로그램에 투자할 경우 역시 선착순으로 30만 톤의 별도 풀에서 한도를 쓸 수 있다는 것이다.
거래 가능 한도전략을 짜는 데 있어 청정대기법 제4장은 두 종류의 현물(spot) 한도와 선물(forward) 한도를 규정하고 있었다. 현물 한도는 매년 기준에 따라 주어지는 한도로, 그 해에 사용할 수도 있고 저축도 했다 다음에 쓸 수도, 공개시장에서 팔 수도 있다. 선물 한도는 연방환경청 입찰을 통해 구입할 수 있는 한도를 말하며, 미래 설비 확장에 따른 용도로 7년 간 사용이 가능하다.
과연 청정대기법이 창출하려는 시장거래 체계는 현실이 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작동할 것인가. 발전소들이 규제 준수 기준을 채우기 위해 시장거래 체계를 통한 한도거래를 얼마나 많이 활용할 것인가. 발전소들이 자본투자 분석을 할 때 한도의 가격을 어떻게 매길 것인가. 이 모든 것의 실천이 매우 어려운 도전적 과제임은 틀림없었다.
1991 년 연방환경청은 거래 가능 한도 시장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우선 구매자와 판매자 간에 계약이 지켜질 것이라는 신뢰와 확신이 필요했고, 교환거래를 하고 가격을 공식적으로 등록하고 발표하며, 시장 참여자들의 재고와 교환거래에 대한 기록을 관리할 공식 교환소가 필요했다. 당시 시카고거래소(CBT)는 공해물질 한도 거래의 공식 거래소로 지정받기 위해 연방환경청에 강력한 메시지를 보내고 있었다.
1992 년 초 조지아, 앨라배마, 미시시피, 플로리다 주의 발전소들을 운영하는 지주회사인 서던 컴퍼니는 1990년 11월에 통과된 청정대기법의 규제 준수를 위한 운영전략을 수립해야 했다. 스크러버 장치를 위한 긴 시간을 고려하면 1995년 청정대기법 규제 발효 시점에 대비해 1992년 말까지는 자본투자 의사결정을 마무리해야 했다.
애틀랜타 북서쪽 테일러스빌 근처 에토와 강변에 위치한 서던 컴퍼니의 보언 석탄연소 발전소가 당면한 문제는 이에 관한 대표적인 사례였다. 1975년에 만들어진 이 발전소는 1990년 기준 시간당 952톤, 연간 833만 톤의 석탄을 연소시켜 215억 킬로와트(Kwh)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었다. 주거용, 산업용, 상업용 전력 단가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킬로와트당 평균 5.6센트의 매출을 올렸다.
1990 년 11월 부시 대통령이 서명한 청정대기법은 SO2 배출에 대해 1995년부터 1단계, 2000년부터 2단계 조치를 취하도록 규정했다. 1995년부터는 매년 25만 4580톤, 2000년부터 12만 2198톤의 한도가 주어졌다. 현재의 고유황 켄터키 석탄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집진기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 보언 발전소는 서던 컴퍼니 내 타 발전소의 한도를 사용하거나 공개시장에서 한도를 구매해야 했다.
1992 ∼ 1994 년에 집진기를 설치할 경우 남는 한도를 타 발전소에 팔 수도 있다. 그러나 집진기 설치를 1997 ∼ 1999 년으로 연기할 경우 2000년 이전에는 반드시 한도를 구입해야 했고, 그 이후에야 한도를 팔 수 있다. 켄터키 석탄에서 웨스트버지니아 석탄으로 전환할 경우 1단계 기간에는 한도를 밑돌지만 2단계 기간에는 한도를 구매해야 했다. 어떤 선택을 하건 보언 발전소는 2016년까지 1990년 수준의 전력을 생산하고 공장 문을 닫을 가능성이 높았다. 새로운 고효율 발전소가 등장하는 2016년 보언 발전소의 잔존가치는 거의 무시할 만했다. 이 상황에서 몇 가지 가정과 내부정보만 있으면 보언 발전소의 경제적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발전소가 문 닫을 시점까지 전력 가격이 일정하고, 전력 생산 단가가 Kwh당 0.000281달러를 유지하며, 자본투자 기회 평가를 위한 세후 할인율이 10%이고 연방 및 주 정부 소득세율이 37.7%라고 가정하자. 경제적 분석에 따라 총비용 현재가치가 선택안 중 가장 저렴한 1단계 저유황 석탄으로 전환하는 의사결정을 하게 되고 전력 산업 전체의 실제 배출 총량도 허용 한도보다 훨씬 더 줄어들었다. 결국 시장의 힘이 작동하게 된 것이다.
이 사례는 미국 컬럼비아 경영대학원 브루스 어셔 교수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금융기법’ 강의 및 사례 토의 내용을 참고했다. 하버드 케네디스쿨 행정대학원의 로저 포터 교수, 로버트 스타빈스 교수, 존 번틴이 작성한 하버드 케네디스쿨 케이스 프로그램의 산성비 문제 사례, 하버드 경영대학원 칼리스 볼드윈 교수와 수 홀이 작성한 오염권 거래 사례,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포레스트 라인하트 교수가 작성한 보언 발전소 사례도 참고해 작성했다.
박헌준 교수는 한국소셜벤처대회(SVCK) 집행대표이며 한국협상학회 회장,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지원부장을 역임했다.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과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 객원연구교수, 오하이오 주립대와 오하이오 볼링그린 주립대 경영대학 초빙교수도 지냈다.
편집자주 연세대 경영전문대학원과 동아일보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는 창조경영 시리즈의 일환으로 거래 계획 및 전략 코너를 연재합니다. 연세대 박헌준 교수가 창조적 발상법으로 큰 성과를 낸 협상 사례를 예시와 해설 형태로 소개합니다. 이 시리즈가 한국 비즈니스맨의 협상력 강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합니다.
바이낸스의 암호화폐 거래 전략 및 Augur 매수/매도
Coinrule 다양한 종류의 투자자와 거래자를 위한 완벽한 도구입니다. 당사 플랫폼에는 무한한 범위의 전문 지식이 제공됩니다. 자동 전략을 테스트하고 수행하여 고유한 거래 시스템을 설정하고 REP를 매수/매도할 수 있습니다. REP를 축적하고, 포트폴리오를 방어하고, 급격한 하락을 놓치지 않고 펌프를 가로채는 것은 매우 간단합니다.
기록 데이터에 대한 테스트 규칙 성능
전략 테스트
Binance에서 안전하게 관리
Coinrule 하나의 주요 임무가 있습니다. 우리는 민첩하면서 귀하의 암호화폐 거래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고자 합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연중무휴 24시간 열려 있으며, 자동화된 거래 봇만이 시장에 나타날 가능한 모든 기회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 주문을 디자인하는 방법 Coinrule? If-This-Then-That 방식을 사용하여 자동화된 전략을 관리하세요. 코딩 기술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거래 거래 계획 및 전략 방법을 만들고 REP를 축적하십시오.
At Coinrule 우리는 매일 새로운 구성 요소와 스마트 어시스턴트의 변경 사항을 제공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실, 우리는 피드백과 메모를 수집하기 위해 가장 활동적인 고객 및 최고의 거래소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습니다.
가장 유명한 지표를 기반으로 자동 전략 설계
거래에는 자세와 태도,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무엇이 거래를 그렇게 어렵게 만드는가? 인간의 본성과 감정은 거래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자동 거래 계획을 사용하면 모든 고객이 경험할 수 있는 걱정, 행복감 및 탐욕의 영향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초보자는 전문가처럼 거래할 수 있습니다. Coinrule!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