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뉴스=김태일 기자]시총 100대기업 순위가 크게 바뀌며 주식시장 판도가 요동쳤다. 특히 20곳은 작년과 달리 올해 시총 TOP 100에서 탈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함께 시총 1조 클럽에 이름을 올린 곳은 작년 초 대비 올해 초 기준으로 50곳 이상 많아졌고, 올해 초 파악된 시총 1조 넘는 주식종목의 법인 소재지는 서울 강남구, 서울 중구, 경기도 성남시에 몰려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CXO연구소가 ‘2021년 대비 2022년 각 연초 시가총액 순위 및 금액 변동 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연초(1월 4일) 기준 국내 주식시장에 시총 규모가 1조 원 넘는 곳은 234곳이었는데, 올해 초에는 288곳으로 증가했다.
1년 새 시총 1조 클럽 숫자가 54곳 늘었다. 이중 작년과 올해 초 시총 상위 시가총액 100대 기업을 서로 비교하면 시총 규모는 200조 원 넘게 차이를 보였다. 작년 초 상위 100대 기업의 시가총액 규모는 1920조 원 수준이었는데, 올해 동기간에는 2188조 원 정도로 1년 사이에 205조 원(10.8%) 넘게 많아졌다.
시총 덩치는 최근 1년새 커졌지만 주식종목 간 희비는 교차했다. 특히 시총 상위 100곳 중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5곳을 제외한 95곳이나 순위 변동이 일어나 시총 판도는 크게 요동쳤다. 100곳 중 20곳은 올해 시총 TOP 100에서 탈락하는 아픔을 맛봤다. 이와 동시에 새로운 20곳이 새로운 시총 10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TOP 10 자리 다툼 치열
지난해 연초 대비 올해 초 시총 상위 10대 기업 중 6곳이나 순위가 변동됐다. 1위 삼성전자, 2위 SK하이닉스는 작년과 올해 초에 변함없이 같은 순위를 지켰다. 4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7위 삼성SDI도 작년과 올해 초 모두 시총 순위가 달라지지 않았다.
이와 달리 올해 초 시총 TOP 10에서 빠진 종목은 두 곳이나 나왔다. 지난해 1월초 시총 순위 6위를 유지했던 셀트리온은 올해 연초에는 11위로 뒷걸음질 쳤다. 현대모비스도 같은 기간 10위에서 13위로 후진했다. 1년만에 시총 상위 10대 기업 타이틀을 반납한 것이다. LG화학은 작년 초만해도 시총 3위였는데 올해는 8위로 5계단이나 내려앉았다.
TOP 10에 새롭게 진입한 주식종목도 한 곳 있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8월에 상장했는데 올초 기준으로 시총 TOP 10에 신규 가입했다. 네이버는 작년 초 기준 시총 5위에서 올해는 3위로 2계단 전진했다. 현대차도 같은 기간 8위에서 6위로 앞섰다. 카카오 역시 9위에서 5위로 4계단이나 전진하며 최근 시총 규모가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총 100대 기업으로 범위를 넓혀보면 카카오페이(14위), 크래프톤(18위), SK바이오사이언스(22위), SK아이이테크놀로지(35위) 등이 시총 10조 원을 넘으며 신규 TOP 100 클럽에 신고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제약·바이오 관련 주식종목 중 7곳이나 올해 초 조사된 시총 100대 기업에서 이름이 빠졌다. 대표적으로 제넥신은 작년 초 시총 99위였는데 올해는 206위로 뒤쳐졌다. 이외 시가총액 신풍제약(작년 초 45위→올해 초 184위), 대웅(98위→174위), 녹십자(51위→132위), 알테오젠(62위→111위), 씨젠(63위→107위), 한미약품(74위→101위)도 시총 100위 자리를 내줘야 했다.
100대 기업도 큰폭 변동. 카카오 ⸱ 네이버 큰폭 상승
올해 초 시총 100대 기업에 이름을 올린 곳 중 최근 1년새 시총 순위가 시가총액 50계단이나 크게 전진한 곳은 4곳이나 됐다. 이중에서도 가장 먼저 이름을 올린 곳은 ‘메리츠금융지주’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주식종목은 작년 초 시총 순위 194위(1조 2972억 원)에서 올해 초 65위(6조 975억 원)로 128계단 점프했다. 이외에도 엘앤에프 79계단↑(135위→56위), 메리츠화재 76계단↑(161위→85위), 일진머티리얼즈 55계단↑(121위→66위) 순으로 시총 순위 상승폭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작년 초 대비 올해 동기간 대비 시총증가율이 100% 넘는 곳은 11곳으로 파악됐다. 시총 순위가 크게 앞선 메리츠금융지주는 작년 1월초 1조 2972억 원에서 올해 초 6조 975억 원으로 370%나 폭풍 증가했다. 엘앤에프도 같은 기간 2조 원대에서 7조 원대로 238.1%로 시총 규모가 성장했다. 이외 펄어비스(169.2%), 에코프로비엠(167.2%), 하이브(157.5%) 순으로 최근 1년새 시가총액 상승률 상위 5개 기업군에 포함됐다.
시가총액 증가액으로 볼 때 작년 초 대비 올해 동기간에 금액이 가장 높아진 곳은 카카오인 것으로 파악됐다. 카카오는 작년 초까지만 해도 시총 규모가 35조 원 수준이었는데 올해 초에는 51조 원으로 최근 1년 새 16조 원 이상 시가총액 덩치가 커졌다. 작년 대비 올해 초 기준으로만 보면 카카오의 시가총액이 가장 크게 높아졌지만 그렇다고 크게 웃을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작년 한때 75조 원 수준의 시가총액을 기록했던 시가총액 시가총액 시가총액 시가총액 것과 비하면 올해 초 시총 규모는 20조 원 넘게 사라져 버렸기 때문이다.
카카오 다음으로 네이버 13조 5532억 원↑(작년 초 48조 1291억 원→올해 초 61조 6824억 원), 하이브 8조 8658억 원↑(5조 6285억 원→14조 4943억 원), HMM 7조 9434억 원↑(5조 4073억 원→13조 3507억 원), 기아 7조 5397억 원↑(25조 9432억 원→33조 4830억 원) 순으로 시가총액 금액이 많이 증가한 상위 5개 기업군에 포함됐다.
반대로 작년 대비 올해 초 기준 시총 금액이 가장 크게 줄어든 곳은 시총 1위인 삼성전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1월 4일 기준 495조 원 수준에서 올해 1월 3일에는 469조 원 이상으로 26조 원 넘게 하락했다. 이외 셀트리온 19조 5292억 원↓(46조 9117억 원→27조 3825억 원), LG화학 19조 1305억 원↓(시가총액 62조 7565억 원→43조 6260억 원), 셀트리온헬스케어 10조 5355억 원↓(22조 9688억 원→12조 4332억 원) 순으로 최근 1년새 시총이 10조 원 넘게 감소했다. LG생활건강도 25조 1765억 원에서 17조 2424억 원으로 작년 대비 올해 초에 시총이 7조 9340억 원 넘게 쪼그라들었다.
올해 파악된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288 곳의 법인 주소지를 살펴보니 광역시·도별로는 서울이 153곳(53.1%)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서울 이외 지역 중에서는 경기도 66곳(22.9%), 충청북도 9곳(3.1%), 인천광역시 8곳(2.8%), 경상북도·대전광역시 각 7곳(각 2.4%), 경상남도·전락북도 각 6곳(각 2.1%), 충청남도·대구광역시 각 5곳(각 1.7%), 강원도·울산광역시 각 4곳(각 1.4%), 전라남도·제주도 각 2곳(각 0.7%), 광주광역시 1곳(0.3%) 순으로 시가총액 분포해 있었다.
이를 다시 시·군·구 중로 살펴보면 ‘서울 강남구’에만 31곳으로 가장 많이 몰린 것으로 조사됐다. 크래프톤(시총 18위)과 엔씨소프트(24위)가 강남에 본사를 두고 있다. 다음으로 ‘서울 중구(28곳)’, ‘경기도 성남시(25곳)’는 순으로 시총 1조 클럽이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 중구에는 신한지주(20위), 하나금융지주(31위)가 위치해있고, 경기도 성남시에는 네이버(3위), 카카뱅크(10위) 등이 포진해있다.
시총 1조 클럽의 법인 주소지와 관련해 올해 초 기준 시총 TOP 5에 이름을 올린 주식종목의 법인 등록지 중에서는 서울에 소재한 곳은 한 곳도 없어 눈길을 끌었다. 시총 1위 삼성전자는 경기도 수원시가 법인 소재지이고 시총 2위 SK하이닉스는 경기도 이천시에 법인을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3위 네이버는 경기도 성남시, 4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인천시 연수구에 본사가 있다. 5위 카카오는 제주도 제주시가 법인 주소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조사와 별도로 올해 초반 국내 주식시장은 주식종목에 따라 시총 증감 희비가 엇갈린 양상을 띠었다. 먼저 카카오는 올해 초 51조 원대에서 출발한 시가총액은 이달 11일에는 42조 원대로 크게 내려앉았다. 올해 거래일이 열흘도 지나지 않았는데 8조 원 넘는 시총이 증발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시총 순위도 이달 3일 기준 5위에서 11일에는 8위로 다시 후퇴했다.
이와 달리 LG화학은 8조 원 넘게 시총이 상승해 대조를 보였다. 시총 순위도 8위에서 5위로 바꿔졌다. 카카오와 LG화학이 시총 순위 자리바꿈을 한 셈이다. 같은 기간 네이버와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SDI도 1조 원 넘게 시총이 사라졌다. 이달 3일 대비 11일 기준 시총 상위 10개 기업에서 증발한 시총 금액만 11조 원이 넘은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2021년 지난해는 신규 상장된 주식종목 중 시총 상위권을 꿰찬 경우가 많았는데 올해도 이런 흐름을 이어갈 공산이 크다”면서도 “올해 초반 주식시장은 복합적인 요인 등으로 1분기에는 다소 약세 흐름을 보이다가 3월에 치러질 대통령선거를 기점으로 분위기가 반전될 수 있다”며 “특히 차기 대통령이 어떤 산업 등에 주력해 다양한 정책 등을 펼쳐나갈지 여부에 따라 업종 간 희비도 크게 교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잠깐! 현재 Internet 시가총액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윤정원 기자
- 승인 2022.05.26 17:49
- 댓글 0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출처: 연합뉴스 자료 사진]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정원 기자 = 세계적 석유기업 엑손모빌(NYS:XOM) 주가가 고공행진 하면서 S&P500 기업 중 시가총액 12위로 올라섰다고 미국 투자 전문매체 배런스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지난 24일 기준 엑손모빌 시가총액은 S&P500 기업 중 12위로 10위권 진입을 코앞에 뒀다.
올해 초 엑손모빌 시가총액 순위는 26위였다.
25일에는 주가가 2% 추가 상승해 96.30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엑손모빌 주가는 이날 52주 고점을 기록하면서 시가총액 4천억 달러를 넘어섰다.
매체는 2020년 10월과 비교하면 상황이 확연히 달라졌다고 말했다.
2020년 10월은 화이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임상실험 결과가 좋게 나왔다면서 미국 경제 리오프닝을 시사했던 시점이다.
KT, 올해 시가총액 순위 '껑충'…"구현모 대표 기업가치 제고 노력 결실"
시가총액 순위 지난해 말 53위에서 42위로 점프
올해 들어 시총 상위 100대 기업 중 상승률 Top 5
구현모 대표, "임직원 우리사주 취득 적극 지원"기사입력 : 2022-06-16 15:20
이미지 확대보기 구현모 KT 대표. 사진제공=KT
특히 구현모 대표 취임 이후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 제고 노력이 빛을 보고 있다는 해석이다.
구 대표는 여러 차례에 걸쳐 KT의 주가가 지나치게 저평가돼 있다며 주가 부양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다.
16일 글로벌이코노믹이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2년 1월2일부터 6월15일까지 주가등락률을 비교해 보니 KT는 18.46% 상승하면서 주가상승률 5위를 달리고 있다.
이 기간 동안 KT의 시가총액 순위도 크게 점프했다.
지난해 말 KT 시가총액은 시가총액 7조9900억원으로 시총 순위 53위에 위치했으나, 올해 꾸준한 성장을 이어간 가운데 15일 기준 시가총액은 9조4653억원으로 시총순위는 42위로 점프했다.
특히 인플레이션과 연준의 금리인상 속에 성장주 들이 주가 하락에 신음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100대 기업 중에서 올해 KT보다 주가상승률이 높은 곳은 한국항공우주, S-Oil, 현대중공업, 팬오션 뿐이다.
주가 상승에 자신감이 붙은 KT는 최근 우리사주조합에 가입한 임직원에게 자사주 취득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난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KT는 우리사주조합원을 대상으로 우리사주 청약 신청을 받는다고 사내에 공지했다. 원하는 조합원은 누구나 신청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약은 100만원의 고정금액과 500만·1천만·1천500만·2천만원 중 선택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100만원 규모 청약은 KT가 사내근로복지기금에서 같은 금액을 무이자·무담보로 대출해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1년을 거치한 뒤 일시 상환하거나, 중도 상환을 하는 조건이다.
500만∼2천만원 시가총액 규모는 청약은 본인의 자금으로 신청을 하거나, 한국증권금융을 통한 우리사주취득자금 대출을 받아서 할 수 있다. 7년 거치 후 일시 상환이나 중도 상환을 하는 조건이 붙었다.
KT는 500만∼2천만원의 우리사주를 취득한 임직원에게 취득 주식 수의 15%를 무상으로 추가 지급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KT는 이번 우리사주 청약이 자사 주가 상승세에 힘입어 임직원에게 하나의 혜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T는 공지에서 "올해 우리사주 이사회 의결에 따라 조합원의 복지를 위해 우리사주 취득을 희망하는 임직원을 대상으로 혜택을 제공하려는 목적"이라고 취지를 설명했다.
앞서 노조 측은 디지털 플랫폼 사업 성장에 따른 과실을 공유하고 주인의식 고취, 조합원의 재산 증식 기여 등을 위해 우리사주 활성화 방안을 사측에 제안했다.
KT는 취지에 공감하고 우리사주를 취득하는 임직원에게 메리트를 제공하기로 했다.
개인이 취득한 우리사주 의무 예탁 기간은 1년이다. 다만 회사가 추가로 지급한 주식의 경우 4년이 적용된다.
우리사주제도를 활용하면 추후 주가 상승 후 매매 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배당 이익과 연말정산 시 소득 공제 및 배당소득세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개인연금과 별개로 400만원 한도로 연말 소득공제 신청이 가능하다. 인출 시점에는 과세되지만 예탁 기간에 따라 소득세 감면 혜택이 주어진다. 또 우리사주조합에 예탁하는 기간 동안 배당소득세(15.4%)도 비과세된다.시가총액
한편, KT가 우리사주 매입을 지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02년에도 우리사주 매입을 지원한 바 있다.
당시 9000억원이 넘는 우리사주 청약대금을 7년간 시가총액 전액 무이자로 빌려 청약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다만 이번에는 직원들이 먼저 우리사주 매입 유인책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의무 예탁 기간이 있어 주식 하락 리스크를 떠안더라도 중장기적으로 볼 때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KBS 뉴스
경제 삼성전자, 세계 기업 시가총액 순위 22위…1년 새 7계단 하락
입력 2022.06.12 (10:05)
수정 2022.06.12 (10:32)
올해 3월 기준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이 전 세계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 가운데 22위를 기록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최근 회계업체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가 공개한 '2022년 글로벌 시가총액 100대 기업'에서 22위에 올랐습니다.
100대 기업은 미국 블룸버그의 데이터를 활용해 올해 3월 말 시총 기준으로 상장기업의 순위를 매긴 것입니다.
삼성전자는 한국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100대 기업 명단에 포함됐습니다.
그러나 삼성전자의 시총은 3천420억 달러(약 437조 7천600억 원)로, 지난해 3월 말 4천310억 달러보다 890억 달러(-21%) 감소했고, 그 결과 순위도 지난해 15위에서 7계단 하락했습니다.
삼성전자는 페이팔(-53%), 알리바바(-52%), 텐센트(-39%), 넷플릭스(-28%) 등과 함께 1년 새 시총 하락 폭이 가장 큰 10개 기업으로 분류됐습니다.
100대 기업 중 1위는 시총 2조 8천500억 달러인 애플이 차지했습니다. 2위는 마이크로소프트(MS), 3위는 사우디 아람코, 4위는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 5위는 아마존이었고 테슬라(6위), 버크셔해서웨이(7위), 엔비디아(8위), 메타(9위)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타이완의 TSMC는 시총 5천410억 달러(약 692조 4천800억 원)로 10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한편 세계 경제의 변동성에도 올해 100대 기업의 전체 시총은 35조 3천억 달러로 지난해 3월보다 1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hoto by Ivan Diaz on Unsplash
[팍스넷뉴스 심두보 차장] 일론 머스크는 2014년 "우주에 인터넷 통신 위성을 쏴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며 스타링크 사업을 시작했다. 이 스타링크는 테슬라와도 연계된다. 차량이 스스로 사람들을 태우고 내려주며 돈을 벌게 하려면 초고속 인터넷 환경이 필요하니까. 그런데 일론 머스크가 과거 테슬라-솔라시티-스타링크로 이어지는 거대한 그림을 제시했을 땐 호응보단 지적이 많았다.
그럼에도 일론 머스크는 새싹이 틔울 것 같지 않은 엄청나게 단단한 씨앗을 땅속 깊이 묻었고, 마침내 그 씨앗 중 몇 개가 발아하고 있다. 그리고 이제 누구도 일론 머스크의 꿈을 허황되다고 쉽게 이야기할 수 없게 됐다. 그는 이미 꿈의 일부를 이룩했다.
메타도 미래를 위한 진지를 구축하는 데에 여념이 없다. 2021년 페이스북은 메타를 사명을 변경했다. 당시 내부 고발자 폭로와 정치권 및 언론의 비판 공세가 페이스북을 향하고 있었는데, 사명 변경도 관심 돌리기라며 지적을 받았다. 그러나 메타는 사명에서도 알 수 있듯 '메타버스' 시대를 준비하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 메타는 2022년 메타버스 기술 개발에 약 10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2021년 AR과 VR 기기만을 개발하는 연구조직 리얼리티 랩스도 설립했다.
사용자 증자 추이가 둔화되며 메타의 주가는 최근 1년간 24% 하락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타는 적어도 앞으로 10년은 이익을 내기 힘든 메타버스에 깊게 투자하고 있다.
클라우드 3대장인 아마존과 구글,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는 엄청난 규모의 R&D 자금을 양자 컴퓨터에 쏟아붓고 있다. 실리콘 기반의 컴퓨터를 단숨에 구식으로 만들어버릴 수 있는 양자 컴퓨터이지만, 여전히 그 상용화 가능성은 미지수이다. 그러나 그 목표가 얼마나 어려운지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는 듯 이들 빅테크는 먼 미래를 내다보고 양자 컴퓨터 기술을 내재화하기 위해 글로벌 탑급의 인재를 모으는 데에 여념이 없다.
2100년 글로벌 시가총액 순위는 어떻게 바뀌어 있을까? 꽤나 바뀔 거다. 1900년 세계에서 가장 컸던 기업은 철도나 전신, 그리고 면방직 사업을 했었다. 2000년대에는 소프트웨어와 반도체 기업이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그러나 시가총액 수십 년 후 지금 상위권에 포진한 반도체 관련 기업의 주가가 양자 컴퓨터 기업에게 밀려있을지 모르고, 또 여러 SNS 기업은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에 압살되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지금의 소프트웨어 기업이 하드웨어 기업으로, 또 하드웨어 기업은 플랫폼 기업이 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십 년 전에 테슬라를 샀더라면. 이런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그러나 미래의 테슬라와 같은 기업들은 언제나 주위에 있다. 다만 그 기업이 어디인지 알기 위해선 끊임없는 관찰이 필요할 뿐이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