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세지속패턴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까마귀형

봉패턴 (Candle Pattern) 의 유형정리

양봉의 몸통이 이전의 캔들에 비해 상당히 크고 위와 아래의 그림자의 크기보다 몸통의 길이가 큰 특징이 있다.

롱바디블랙
"Long Body Black
(CA_LongBodyB)"

음봉의 몸통이 이전의 캔들에 비해 상당히 크고 위와 아래의 그림자의 크기보다 몸통의 길이가 큰 특징이 있다.

숏바디화이트
"Short Body White
(CA_ShortBodyW)"

양봉의 몸통이 이전의 캔들에 비해 상당히 작거나 거의 없다.

숏바디블랙
"Short Body Black
(CA_ShortBodyB)"

음봉의 몸통이 이전의 캔들에 비해 상당히 작거나 거의 없다.

도지 "Doji (CA_Doji)"

시가와 종가가 동일하거나 거의 같은 형태로서 몸통이 없거나 거의 무시해도 좋을 만큼 작은 형태로서 시장에서 매수와 매도의 힘이 중립을 이루는 경우에 나타낸다. 이 패턴은 이후의 추세흐름에 중요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신호가 될 수 있으므로 다른 캔들과 동시에 해석해야한다.

묘지
"Grave Stone Doji
(CA_GravestoneDoji)"

시가이후에 상승세를 보이다가 종가에 저가인 시가수준으로 되밀려 마무리되는 패턴이다. 이전 추세가 상승이었다면 하락반전될 가능성이 높고 반대로 하락추세였다면 상승전환될 확률이 큰 특징이 있다.

드래곤플라이 도지
"Dragon Fly Doji
(CA_DragonFlyDoji)"

그래이브스톤도지형과 반대로 시가와 고가, 그리고 종가가 거의 비슷한 수준에서 결정되는 형태로서 이전의 추세가 하락국면이었다면 상승전환될 가능성이 크고, 반대로 이전의 추세가 상승국면이었다면 하락반전될 가능성이 있다.

포프라이스 도지
"Four Price Doji
(CA_FourPriceDoji)"

시가, 고가, 저가, 종가가 같거나 거의 비슷한 수준에서 형성되는 형태로서 거래량이 드물고 발생확률도 크지 않다. 주로 신규 상장이나 등록과 같은 상황이나 갑작스런 시장변동 사항이 발생할 경우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패턴은 독립적으로 해석하기보다는 이 다음 캔들과 동시에 해석해야한다.

오프닝화이트
"Opening White Marubozu
(CA_OpeningWhiteMarubozu)"

양봉으로 시가부근에 아래그림자는 없으며 종가 위로 윗그림자만 있는 패턴으로 강세국면의 연속을 의미한다.

오프닝블랙 마루보주
"Opening Black Marubozu
(CA_OpeningBlackMarubozu)"

음봉으로 시가부근에 윗그림자는 없으며 종가 아래로 아래그림자만 있는 패턴으로 강세국면의 연속을 의미한다.

클로징화이트 마루보주
"Closing White Marubozu
(CA_ClosingWhiteMarubozu)"

양봉으로 시가밑으로 아래그림자가 있으며 고가인 종가위로는 윗그림자가 없는 형태로 상승국면을 의미한다.

클로징블랙 마루보주
"Closing Black Marubozu
(CA_ClosingBlackMarubozu)"

음봉으로 시가위로 윗그림자가 있으며 저가인 종가 아래에는 아래그림자가 없는 형태로 하락국면을 의미한다.

블랙 마루보주
"Black Marubozu
(CA_BlackMarubozu)"

음봉으로 몸통의 위와 아래에 그림자가 없는, 즉 시가와 고가가 같고 종가가 저가와 같은 형태로 이전의 하락추세에서 나타나면 지속적으로 하락을 예상할 수 있다.

화이트 마루보주
"White Marubozu
(CA_WhiteMarubozu)"

양봉으로 몸통의 위와 아래에 그림자가 없는, 즉 시가와 저가가 같고 종가가 고가와 같은 형태로 이전의 상승추세에서 나타나면 지속적으로 상승을 예상할 수 있다.

주가 하락국면중 최저점에서 나타난 상승시도로서 종가가 거의 시초가 수준으로 마감하여 매우 짧은 몸통과 긴 윗그림자를 이루는 형태이다. 몸통의 색깔은 큰 의미가 없고 다만 추세지속패턴 다음에 나타날 캔들이 갭을 형성하고 긴 몸통을 형성하면 단기적으로 보다 확실한 추세 반전의 신호로서 의미가 있다.

주가 하락국면의 저점에서 주로 나타나며 작은 몸통과 긴 아랫그림자를 이루며 윗그림자가 전혀 없거나 거의 없는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몸통의 색깔과는 관계가 없지만 음봉일때보다는 양봉일수록, 몸통의 길이가 짧을수록, 그리고 그림자가 길수록 추세전환의 신호로서의 의미가 더 크다. 보다 확실한 추세전환 시기 판단을 위해서는 반드시 이후의 가격변화 추이를 확인해야 한다.

상승샅바형
"Bullish Belt Hold
(CA_BlBeltHold)"

주로 하락추세의 마지막 추세에서 나타나 이후 강세전환 가능성이 매우 높은 패턴이다. 시가가 당일의 저가이며 추세지속패턴 짧은 윗그림자를 보인다.

상승십자성형
"Bullish Doji Star
(CA_BlDojiStar)"

하락추세에 있던 주가가 매수와 매도가 거의 균형상태로 도지형이 형성되는 형태로서 조만간 추세가 반전될 가능성이 높다. 전일의 긴 음봉에이어 갭하락한 다음 시가 수준에서 종가가 형성되어 하락추세를 마감한 후 반전될 가능성이 높은 패턴이다. 그러나 만약 다음날 상승반전되지 못하고 하락하는 경우 이전의 하락추세가 오히려 강화될 수도 있으므로 확인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하락추세에서 형성되는 이 패턴은 전일 음의 몸통을 다음날의 긴 양의 몸통이 감싸 안는 형태로 이전까지의 하락추세를 상승으로 반전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은 패턴이다.

상승잉태형
"Harami in Downtrend
(CA_HaramiDn)"

하락잉태형의 반대패턴으로 짧은 양봉이 전일의 긴음봉에 의해 감싸이는 패턴이다. 주가의 하락추세가 진행된 이후 이 패턴이 나타나면 일반적으로 상승추세로 반전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 패턴이 출현한 이후 주가가 상승반전되지 않는다면 기존의 약세추세가 더욱 강화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상승십자 잉태형
"Harami Cross in Downtrend
(CA_HaramiCrossDn)"

짧은 양봉(또는 십자형)이 전일의 긴음봉에 의해 감싸이는 패턴이다. 주가의 하락추세가 진행된 이후 이 패턴이 나타나면 일반적으로 상승추세로 반전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 패턴이 출현한 이후 주가가 상승반전되지 않는다면 기존의 약세추세가 더욱 강화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상승반격형
"Bullish Counterattack Line
(CA_BlCounterAttack)"

상반된 두개의 캔들로 이뤄진 패턴으로 종가가 전일의 종가와 거의 비슷한 수준에서 형성된다. 전일에 긴 음봉이 나오고 당일에 양봉이 나오면 하락추세에서 상승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관통형과 비슷하지만 전일종가가 금일의 종가와 거의 비슷한 수준에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추세전환 강도가 관통형에 비해 다소 약한 면이 있다.

상승반격형과 같이 전일의 음봉에 이어 다음날 양봉이 나타나는 패턴으로 전일 긴 음봉을 형성하며 당일 시초가가 저점을 갱신한 이후 반등하여 종가가 전일 음봉의 중간지점 약간 위에서 형성되는 형태이며 이전의 하락추세 에너지가 거의 소멸되어 하락추세를 마감하고 상승전환될 가능성이 매우 큰 패턴이다. 일반적으로 상승반격형보다 더 큰 의미가 있는 패턴이라할 수 있다.

하락추세에 있던 주가가 이틀전의 긴 음봉에 이어 갭 하락한 후 전일 짧은 몸통을 형성한 다음 당일에 양봉이 형성되는 패턴인데 전일 갭하락한 몸통이 이틀전과 당일의 몸통안으로 진입하지 못한 경우 샛별형라고 한다. 이는 전일까지 장세전망이 불투명하기 때문으로 나타나는 현상인데 하락추세를 마감하고 이후 주가가 상승 전환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십자샛별형
"Morning Doji Star
(CA_MoringDojiStar)"

샛별형의 변형 패턴으로 전일 스타형이 아닌 십자형이 출현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이틀전 길다란 음봉이 나타나고 전일의 캔들이 갭하락한 십자형이며 당일에 양봉이 나타나는데 전일의 십자형이 이틀전과 당일의 몸통에 못미치는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십자형은 스타형보다 더 강력한 영향력이 있기 때문에 샛별형보다 더 강력한 추세전환 신호로 받아 들일 수 있다.

상승기아형
"Abandoned Baby
In Downtrend
(추세지속패턴 CA_AvandonedBabyDn)"

출현빈도는 낮지만 다른 패턴보다도 추세전환 강도가 높은 특징이 있는 중요한 패턴으로서 전일 도지형 패턴이 이틀전과 당일의 몸통과 갭을 이루며 하락하였다가 당일에 추세가 반전되는 패턴이다. 여기서 전일 출현한 십자형은 이틀전과 당일의 가격범위를 벗어난채 갭을 형성한다.

상승잉태 확인형
"Three Inside Up
(CA_3InsideUp)"

이전 두개의 캔들이 상승잉태형 패턴으로 나타나고 당일의 캔들이 강세전환을 확인시켜주는 패턴으로, 당일의 종가가 이틀전의 시가와 전일의 종가를 초과하는 상승세를 기록하며 마감되는 패턴이다. 일단 이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는 이전까지의 하락추세를 마감하고 강한 상승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상승장악 확인형
"Three Outside Up
(CA_3OutsideUp)"

이전 두개의 캔들이 상승장악형 패턴으로 나타나고 당일의 캔들이 강세전환을 확인시켜주는 패턴으로, 당일의 종가가 이틀전의 시가와 전일의 종가를 초과하는 상승세를 기록하며 마감되는 패턴이다. 일단 이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는 이전까지의 하락추세가 마감되고 강력한 상승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상승까마귀형
"Upside Gap Two Crows
In Downtrend
(CA_UpGap2CrowDn)"

하락추세에 있던 주가가 이틀전과 전일, 그리고 당일에 각각 갭을 형성하며 하락하던 주가가 당일에 형성된 양봉이 출현하며 하락을 마무리하여 반등에 성공하는 형태를 보인다. 여기서 당일에 발생한 양봉은 이틀전과 갭을 형성하고 동시에 이틀전의 가격범위에 포함되지 않으채 종가를 형성한다.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상당히 의미있는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하락추세에 있던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캔들이 더 이상 저점을 갱신하지 못하면서 저가를 이전 캔들과 일치시키는 형태를 보이는 패턴이다. 다른 패턴과 중복되어 출현할 가능성이 높으며 일반적으로 지지선의 역할을 하며 동일한 저점을 형성하는 캔들의 수가 많을수록 이후에 상승전환될 경우 상승추세가 더욱 강화되는 특성이 있다.

IQCent에서 삼각형 패턴 거래 가이드

IQCent에서 삼각형 패턴 거래 가이드

삼각형은 IQCent 플랫폼에서 거래할 때 연속 패턴에 속하는 기술 분석 도구입니다. 이 패턴은 일반적으로 추세를 따라 형성됩니다. 그려보지 않으면 알아보기 어렵습니다. 삼각형 패턴을 그리려면 추세를 따라 최소 2개의 고점과 2개의 저점을 식별해야 합니다. 2개의 고점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2개의 저점을 직선으로 연결합니다. 삼각형을 형성하여 연결될 때까지 두 선을 확장합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3개의 다른 삼각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것입니다. 또한 IQCent 플랫폼에서 거래에 사용하는 방법도 알려드립니다.

꼭 알아야 할 세 가지 삼각형 패턴

삼각형 패턴에는 오름차순 삼각형, 내림차순 삼각형 및 대칭 삼각형의 3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각 삼각형에는 삼각형 꼭짓점에서 교차하는 2개의 선으로 연결된 최소 2개의 최고점과 2개의 최저점이 있어야 합니다.

세 가지 삼각형 패턴을 모두 살펴보겠습니다.

대칭 삼각형 패턴

이 삼각형 패턴은 다양한 시장에서 형성됩니다. 황소와 곰은 시장이 어떤 방향으로 가야할지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고점과 저점을 연결하면 삼각형의 각도가 거의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브레이크 아웃이 발생하면 강력한 추세가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경우 기존 추세의 방향으로 브레이크 아웃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언제 포지션에 들어가나요? 브레이크 아웃이 발생하는 즉시 새로운 추세에 따라 거래하십시오.

IQCent 플랫폼의 EUR/USD에 대한 5분 간격 양초의 대칭 삼각형 패턴

IQCent에서 삼각형 패턴 거래 가이드

IQCent의 대칭 삼각형 패턴

이 이미지를 사용하면 15분 이상 지속되는 매도 포지션을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오름차순 삼각형 패턴

이것은 일반적으로 상승 추세에서 형성되는 강세 삼각형 패턴입니다. 저점은 추세선으로 연결됩니다. 그러나 고점은 고점에 닿는 수평선(저항)으로 연결됩니다. 아래 이미지에서 삼각형 형성을 보십시오. 이 패턴이 형성되면 상승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래서 가장 좋은 진입점은 무엇입니까? 저항 수준에서 이탈이 발생하는 바로 그 지점. 이 시점에서 15분 이상 지속되는 매수 포지션을 입력해야 합니다.

IQCent에서 삼각형 패턴 거래 가이드

IQCent의 오름차순 삼각형 패턴

IQCent의 내림차순 삼각형 패턴

하락 삼각형 패턴은 하락 추세를 따라 형성됩니다. 그것을 그리려면 가격의 최고점을 추세선과 연결하십시오. 저점도 연결되지만 이번에는 지지대를 형성하는 수평선과 연결됩니다.

최고의 거래 진입점은 가격이 지지선을 깨고 하락세를 재개하는 바로 그 지점입니다. 여기에서 15분 이상 지속되는 매도 포지션을 입력해야 합니다.

IQCent에서 삼각형 패턴 거래 가이드

IQCent의 내림차순 삼각형 패턴

IQCent에서 삼각형 패턴 거래를 위한 팁

삼각형 패턴은 추세 지속 패턴입니다. 이 패턴이 형성되면 추세가 같은 방향으로 계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요 목표는 가격이 돌파하고 추세를 형성하기 시작할 지점을 식별하는 것입니다.

삼각형 패턴은 더 긴 시간 간격으로 작업할 때 가장 잘 작동합니다. 즉, 5분 이상 지속되는 양초를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차트는 30분 이상의 더 긴 기간을 포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이러한 패턴을 쉽게 식별하고 더 긴 거래 포지션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삼각형 패턴은 MACD와 같은 지표와 잘 작동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브레이크 아웃이 발생하면 거래량이 증가하고 2개의 MACD 라인이 분리됩니다. 이것은 새로운 추세를 확인합니다. 아래 이미지를 살펴보십시오.

IQCent에서 삼각형 패턴 거래 가이드

MACD 지표와 함께 사용되는 내림차순 삼각형 패턴

세 가지 삼각형 패턴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웠으므로 이제 IQCent 연습 계정으로 이동하여 사용해 보십시오. 아래 댓글 섹션에서 결과를 공유하세요.

차트(캔들)로 주식 매매 타이밍 찾기(캔들의 의미 / 반전형 지속형 패턴)

일전에는 캔들의 의미에 대하여 같이 공유하였습니다. 물론 캔들 하나로 보는 주가 상승 혹은 하락 패턴도 같이 공유하였고 또 다르게 두 개의 캔들로 주가 반전 혹은 주가 행보에 대하여 공유하였습니다. 해서 오늘은 3개로 아니 3일에 걸쳐 만들어진 캔들 차트로 기술적 분석을 통하여 주가의 상승반전, 하락반전을 알아보고 미래의 주가 행보에 대하여 예측하는 것에 대하여 공유 토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분석은 단지 과거에 캔들의 형태에 따른 상승반전 확률이 많았다 든 지 혹은 하락반전이 많았다는 확률이지 이 또한 맹신을 가지지 말았으면 합니다. 확률에 대한 접근성임을 잊지 말고 주식 투자나 공부에 참고하였으면 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3일간 만들어진 패턴의 모양으로 크게 2가지(반전형 패턴, 지속형 패턴)로 구분이 되면 캔들의 이름과 의미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패턴 종류(형태) 의미
반전형 샛별형 / 석별형 / 까마귀형 / 삼병형 원래의 것에서 위치, 방향, 순서가 뒤바뀐 형태
지속형 타키스형 / 갭핑플레이형 / 나란이형 어떤 상태나 형태가 끊이지않고 오래 계속되거나 유지되는 것

[반전형 패턴]

샛별형

ⓑ 첫째 날 주가 절반 값보다 3일째 종가가 상승된 모양으로 나타 남

ⓒ 캔들의 색상 즉 양봉, 음봉의 의미는 크게 상관없음

ⓓ 두 번째 캔들이 십자양봉(별형)이 나타나면 더욱 신뢰도가 높음

ⓔ 주식 거래량이 적었다가 증가함이 신뢰도가 높음

석별형

ⓑ 첫째 날 주가 절반 값보다 3일째 종가가 하락된 모양으로 나타 남

ⓒ 캔들의 색상 즉 양봉, 음봉의 의미는 크게 없음

ⓓ 두 번째 캔들이 십자음봉(별형)이 나타나면 더욱 신뢰도가 높음

ⓔ 주식 거래량이 5일 평균 거래량보다 증가에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음

까마귀형

ⓑ 첫째 날 차트가 양봉이고 둘째 날 갭상승으로 짧은 음봉 이 나타나고

ⓒ 셋째 날 캔들이 두 번째 캔들을 감싸는 음봉 발생 시 추가 하락 확률이 높음

ⓓ 주로 상승추세의 마지막 구간에서 나타나면 신뢰성이 높음

ⓔ 위와 같은 사항에서 주식 거래량이 극감 할 때 미래 주가 하락 확률이 높음

추세지속패턴 흑삼병 / 적삼병

ⓐ 흑삼병 연속된 세 개의 음봉(하락 반전형)

ⓑ 적삼병 연속된 세 개의 양봉(상승 반전형)

ⓒ 이 세 개가 연속되는 캔들은 기존 추세에 대한 반전을 의미함

ⓓ 기존의 추세에 대한 반전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단기적 눌림목 형성

[지속형 패턴]

상승타스키형

상승타스키형

ⓑ 두 번째 캔들의 갭 상승으로 양봉 세 번째 캔들은 음봉 발생

ⓒ 갭 상승을 음봉이 메우지 못하는 상황으로 상승 추세는 지속됨

ⓓ 3일째 음봉 시가는 직전(두 번째) 캔들의 몸통 안에 있으며 종가는 몸통 아래

하락타스키형

하락타스키형

ⓑ 두 번째 캔들의 갭 하락으로 음봉 세 번째 캔들은 양봉 발생

ⓒ 갭 하락을 양봉이 메우지 못하는 상황으로 하락 추세는 지속됨

ⓓ 3일째 양봉 시가는 직전(두 번째) 캔들의 몸통 안에 있으며 종가는 몸통 위

고가갭핑플레이

고가갭핑플레이

ⓑ 장대 양봉 이후 그림과 같이 캔들 밀집구역 형성

ⓒ 등락폭이 작은 캔들의 밀집지역에서 갭 상승 출발

매물대를 갭 상승으로 돌파하는 추세로 나타 남

저가갭핑플레이

저가갭핑플레이

ⓑ 장대 음봉 이후 그림과 같이 캔들 밀집구역 형성

ⓒ 등락폭이 작은 캔들의 밀집지역에서 갭 하락 출발

ⓓ 매물대를 갭 하락으로 시작 하락 추세로 나타 남

★ 상승나란히형 / 하락나란히형

상승나란히형 / 하락나란히형

ⓐ 상승, 하락 나란히형은 시가가 비슷한 양봉이 나타 남 (상승 하락 지속형)

ⓑ 지속형 페턴 으로 상승세나 하락세가 숨 고르기 상황

ⓒ 나란히형은 캔들(봉) 길이보다는 갭 발생과 비슷한 시가가 핵심

ROA, ROE는 기업평가에 주요 잣대/효율적 경영성과 지표(총자산이익률, 자기자본이익률)

주식 용어 중 비슷한 단어들이 많아 조금씩 혼돈이 있기도 하고 혹 잘못 인식을 하여 본인의 투자가치에 대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에 헛갈리기 쉬운 두 단어를 모아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

차트분석에서 골든크로스란 무엇인가

오늘은 주식의 차트분석에서 나오는 용어인 골든크로스(golden cross)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주식 종목을 보다 보면 종목뉴스라는 창이 있습니다. 이것을 클릭하다보면 아래와 같이 뉴스를

이와 같이 반전형 패턴( 샛별형 / 석별형 / 까마귀형 / 삼병형)과 지속형 패턴( 타키스형 / 갭핑플레이형 / 나란이형) 을 간단하게나마 정리하였습니다. 다시금 추세지속패턴 말씀드리자면 이러한 유형은 단지 과거의 데이터로 주가 상승이나 하락의 확률이 높았다는 기술적 분석임에 주식 투자에 기초로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짧은 글이나마 주식차트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즐겁고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캔들 유형 설명

*역망치형
주가 하락국면중 최저점에서 나타난 상승시도로서 종가가 거의 시초가 수준으로마감하여 매우 짧은 몸통과 긴 윗그림자를 이루는 형태입니다. 몸통의 색깔은 큰 의미가 없고 다만 다음에 나타날 캔들이 갭을 형성하고 긴 몸통을 형성하면 단기적으로 보다 확실한 추세 반전의 신호로서 의미가 있습니다.

*망치형
주가 하락국면의 저점에서 주로 나타나며 작은 몸통과 긴 아랫그림자를 이루며 윗그림자가 전혀 없거나 거의 없는 형태입니다. 일반적으로 몸통의 색깔과는 관계가 없지만 음봉일때보다는 양봉일수록, 몸통의 길이가 짧을수록, 그리고 그림자가 길수록 추세전환의 신호로서의 의미가 더 큽니다. 보다 확실한 추세전환 시기 판단을 위해서는 반드시 이후의 가격변화 추이를 확인해야 합니다.

*상승샅바형
주로 하락추세의 마지막 추세에서 나타나 이후 강세전환 가능성이 매우 높은 패턴입니다. 시가가 당일의 저가이며 짧은 윗그림자를 보입니다.

*상승십자성형
하락추세에 있던 주가가 매수와 매도가 거의 균형상태로 도지형이 형성되는 형태로서 조만간 추세가 반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일의 긴 음봉에이어 갭하락한 다음 시가 수준에서 종가가 형성되어 하락추세를 마감한 후 반전될 가능성이 높은 패턴입니다. 그러나 만약 다음날 상승반전되지 못하고 하락하는 경우 이전의 하락추세가 오히려 강화될 수도 있으므로 확인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상승장악형
하락추세에서 형성되는 이 패턴은 전일 음의 몸통을 다음날의 긴 양의 몸통이 감싸 안는 형태로 이전까지의 하락추세를 상승으로 반전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은 패턴입니다.

*상승잉태형
하락잉태형의 반대패턴으로 짧은 양봉이 전일의 긴음봉에 의해 감싸이는 패턴입니다. 주가의 하락추세가 진행된 이후 이 패턴이 나타나면 일반적으로 상승추세로 반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이 패턴이 출현한 이후 주가가 상승반전되지 않는다면 기존의 약세추세가 더욱 강화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상승십자잉태형
짧은 양봉(또는 십자형)이 전일의 긴음봉에 의해 감싸이는 패턴입니다. 주가의 하락추세가 진행된 이후 이 패턴이 나타나면 일반적으로 상승추세로 반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이 패턴이 출현한 이후 주가가 상승반전되지 않는다면 기존의 약세추세가 더욱 강화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상승반격형
상반된 두개의 캔들로 이뤄진 패턴으로 종가가 전일의 종가와 거의 비슷한 수준에서 형성됩니다. 전일에 긴 음봉이나오고 당일에 양봉이 나오면 하락추세에서 상승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관통형과 비슷하지만 전일종가가 금일의 종가와 거의 비슷한 수준에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추세전환 강도가 관통형에 비해 다소 약한 면이 있습니다.

*트위저바텀
하락추세에 있던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캔들이 더 이상 저점을 갱신하지 못하면서 저가를 이전 캔들과 일치시키는 형태를 보이는 패턴입니다. 다른 패턴과 중복되어 출현할 가능성이 높으며 일반적으로 지지선의 역할을 하며 동일한 저점을 형성하는 캔들의 수가 많을수록 이후에 상승전환될 경우 상승추세가 더욱 강화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상승까마귀형
하락추세에 있던 주가가 이틀전과 전일, 그리고 당일에 각각 갭을 형성하며 하락하던 주가가 당일에 형성된 양봉이 출현하며 하락을 마무리하여 반등에 성공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여기서 당일에 발생한 양봉은 이틀전과 갭을 형성하고 동시에 이틀전의 가격범위에 포함되지 않으채 종가를 형성합니다.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상당히 의미있는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상승장악확인형
이전 두개의 캔들이 상승장악형 패턴으로 나타나고 당일의 캔들이 강세전환을 확인시켜주는 패턴으로, 당일의 종가가 이틀전의 시가와 전일의 종가를 초과하는 상승세를 기록하며 마감되는 패턴입니다. 일단 이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는 추세지속패턴 이전까지의 하락추세가 마감되고 강력한 상승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상승잉태확인형
이전 두개의 캔들이 상승잉태형 패턴으로 나타나고 당일의 캔들이 강세전환을 확인시켜주는 패턴으로, 당일의 종가가 이틀전의 시가와 전일의 종가를 초과하는 상승세를 기록하며 마감되는 패턴입니다. 일단 이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는 이전까지의 하락추세를 마감하고 강한 상승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상승기아형
출현빈도는 낮지만 다른 패턴보다도 추세전환 강도가 높은 특징이 있는 중요한 패턴으로서 전일 도지형 패턴이 이틀전과 당일의 몸통과 갭을 이루며 하락하였다가 당일에 추세가 반전되는 패턴입니다. 여기서 전일 출현한 십자형은 이틀전과 당일의 가격범위를 벗어난채 갭을 형성합니다.

*십자샛별형
샛별형의 변형 패턴으로 전일 스타형이 아닌 십자형이 출현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즉 이틀전 길다란 음봉이 나타나고 전일의 캔들이 갭하락한 십자형이며 당일에 양봉이 나타나는데 전일의 십자형이 이틀전과 당일의 몸통에 못미치는 형태입니다. 일반적으로 십자형은 스타형보다 더 강력한 영향력이 있기 때문에 샛별형보다 더 강력한 추세전환 신호로 받아 들일 수 있습니다.

*샛별형
하락추세에 있던 주가가 이틀전의 긴 음봉에 이어 갭 하락한 후 전일 짧은 몸통을 형성한 다음 당일에 양봉이 형성되는 패턴인데 전일 갭하락한 몸통이 이틀전과 당일의 몸통안으로 진입하지 못한 경우 샛별형라고 합니다. 이는 전일까지 장세전망이 불투명하기 때문으로 나타나는 현상인데 하락추세를 마감하고 이후 주가가 상승 전환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관통형
상승반격형과 같이 전일의 음봉에 이어 다음날 양봉이 나타나는 패턴으로 전일 긴 음봉을 형성하며 당일 시초가가 저점을 갱신한 이후 반등하여 종가가 전일 추세지속패턴 음봉의 중간지점 약간 위에서 형성되는 형태이며 이전의 하락추세 에너지가 거의 소멸되어 하락추세를 마감하고 상승전환될 가능성이 매우 큰 패턴입니다. 일반적으로 상승반격형보다 더 큰 의미가 있는 패턴이라할 수 있습니다.

*유성형
주가 상승국면중에 최고점에서 나타나며 시가가 갭을 이루며 상승 출발하였다가 긴 윗그림자를 형성하며 추가상승에 실패하며 되밀려서 시가부근에서 종가가 형성되며 짧은 몸통을 형성하는 패턴입니다. 역전된 망치형과 동일한 패턴으로 종가가 저가 부근이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이 패턴 이후에는 추세가 하락반전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교수형
주가 상승국면중 최고점에서 나타나며 짧은 몸통과 긴 아랫그림자를 형성하며 추가 상승에 실패하여 이후 하락반전될 확률이 높은 패턴입니다. 망치형과 동일한 형태이지만 망치형과는 반대로 하락반전을 암시합니다. 몸통의 색깔과는 관계없이 윗그림자가 전혀 없을 수도 있지만 거의 없는 경우도 이 패턴으로 분류합니다.

*하락샅바형
주로 상승추세의 마지막 국면에서 나타나며 이후 강세전환 가능성이 매우 높은 패턴입니다. 시가가 추세지속패턴 당일의 고가이며 짧은 윗그림자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락십자성형
상승추세에 있던 주가가 당일에 매수와 매도가 거의 균형상태를 이루는 십자형이 형성되는 패턴으로 전일의 긴 양봉에이어 당일에 갭상승한 다음 시가 수준에서 종가가 형성되어 상승추세를 마감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패턴이 나타난 후 주가의 흐름이 하락반전되지 않고 다음날 다시 상승하면 이전의 상승추세가 지속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확실한 반전이 있을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습니다.

*하락장악형
상승추세에서 형성되는 패턴으로 전일 양의 몸통을 다음날의 긴 음의 몸통이 감싸 안는 형태로 이전까지의 상승추세를 하락으로 반전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은 패턴입니다.

*하락잉태형
상승잉태형의 반대패턴으로 짧은 음봉이 전일의 긴 양봉에 의해 감싸이는 패턴입니다. 주가의 상승추세가 진행된 이후 이 패턴이 나타나면 일반적으로 하락추세로 반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이 패턴이 출현한 이후 주가가 하락반전되지 않는다면 기존의 상승추세가 더욱 강화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하락십자잉태형
짧은 추세지속패턴 음봉(또는 십자형)이 전일의 긴 양봉에 의해 감싸이는 패턴입니다. 주가의 상승추세가 진행된 이후 이 패턴이 나타나면 일반적으로 하락반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이 패턴이 출현한 이후 주가가 하락반전되지 않는다면 기존의 상승추세가 더욱 강화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흑운형
상승추세에 있던 주가가 전일에 비해 매수강도가 떨어짐에 따라 전일의 양봉에 이어 시가는 전일의 고가를 상회하여 출발하지만 종가가 전일 몸통의 중간이하로 되밀려 음봉형태를 보이는 패턴으로 관통형과 반대의 형태와 의미가 있으며 이전까지의 상승추세를 하락으로 반전시킬 가능성이 높은 매우 중요한 패턴입니다.

*트위저탑
상승추세에 있던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캔들이 더 이상 고점을 갱신하지 못하면서 고가를 이전 캔들의 고가와 일치시키는 형태를 보이는 패턴입니다. 다른 패턴과 중복되어 출현할 가능성이 높으며 일반적으로 고점이 저항선의 역할을 하며 동일한 고점을 형성하는 캔들의 수가 많을수록 이후에 하락반전될 경우 하락추세가 더욱 강화되는 특성이 있습니다.추세지속패턴

*하락까마귀형
상승추세에 있던 주가가 이틀전과 전일, 그리고 당일에 각각 갭을 형성하며 상승하던 주가가 당일에 형성된 음봉이 나타나며 상승을 마무리하여 반락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여기서 당일에 발생한 음봉은 이틀전과 갭을 형성하고 동시에 이틀전의 가격범위에 포함되지 않으채 종가를 형성합니다.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매도세가 강화되어 주가상승에 부담으로 이어져 상당폭 하락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락장악확인형
이전 두개의 캔들이 하락장악형으로 나타나고 당일의 캔들이 약세전환을 확인시켜주는 패턴으로, 당일의 종가가 이틀전의 시가와 전일의 종가를 하회하는 수준에서 결정되어 상승추세가 마감되는 패턴입니다. 일단 이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는 이전까지의 상승추세를 마감하고 강력한 하락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락잉태확인형
이전 두개의 캔들이 하락잉태형으로 나타나고 당일의 캔들이 약세전환을 확인시켜주는 패턴으로, 당일의 종가는 이틀전의 시가와 전일의 종가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하락세를 기록하며 마감되는 패턴입니다. 일단 이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는 이전까지의 상승추세를 마감하고 강한 하락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락기아형
출현빈도는 매우 낮지만 다른 패턴보다도 추세전환 강도가 높은 특징이 있는 중요한 패턴으로서 전일 도지형 패턴이 이틀전과 당일의 몸통과 갭을 이루며 상승하였다가 당일에 추세가 반전되는 패턴입니다. 여기서 전일 출현한 도지는 이틀전과 당일의 가격범위를 벗어난채 갭을 형성합니다.

*십자석별형
석별형의 변형 패턴으로 전일에 스타형이 아닌 십자형이 출현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즉 이틀전 길다란 양봉이 나타나고 전일의 캔들이 갭상승한 십자형이며 당일에 음봉이 나타나는데 전일의 십자모양이 이틀전과 당일의 몸통에 못미치는 형태입니다. 일반적으로 십자형은 스타형보다 더 강력한 영향력이 있기 때문에 석별형보다 더 강력한 하락추세로의 전환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석별형
상승추세에 있던 주가가 하락추세로 반전될 가능성이 높은 패턴으로 샛별형과 반대의 모양과 의미를 갖습니다. 즉 전일의 패턴이 이틀전과 당일의 패턴을 갭을 형성하며 상승하였다가 색깔과는 크게 관계없습니다. 하지만 이전의 상승추세는 전일 음의 몸통이 짧을수록 향후 하락의 강도는 강화될 것으로 예상할 수있습니다.

*하락반격형
상반된 두개의 캔들로 이뤄진 패턴으로 종가가 전일의 종가와 거의 비슷한 수준에서 형성됩니다. 전일에 긴 양봉이 나오고 당일에 음봉이 나오면서 상승추세에서 하락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큽니다.흑운형과 비슷하지만 전일종가가 금일의 종가와 거의 비슷한 추세지속패턴 수준에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추세전환 강도가 흑운형에 비해 다소 약한 경우가 많습니다.

*블럭형
주가가 상승추세를 이어가다 매수탄력이 약화되어 추가상승이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나타나며 이틀전 캔들의 몸통에 비해 당일과 전일의 몸통이 짧고 윗 그림자는 길게 형성되는 패턴입니다. 강한 반전없이 단지 주가의 조정기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지연형
상승추세에서 나타나며 신고점돌파후 스타형과 유사한 패턴이 출현한후 작은 몸통의 양의 캔들이 나타나 조정국면에 접어든 경우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상승갭타스키형
출현빈도가 그리 크지않은 패턴으로 상승추세에 있던 중에 긴 양봉과 함께 갭상승한후 또 다시 양봉이 나타나 상승추세가 지속되다가 추세지속패턴 당일에 하락반전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여기서 당일의 음봉은 이전의 갭을 완전히 메우지 못하는 패턴입니다. 이 패턴은 이전 상승추세의 지속을 의미하므로 매수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상승갭삼법형
출현빈도가 그리 크지않은 패턴으로 상승추세에 있던 중에 긴 양봉과 함께 갭 상승한 후 또 다시 양봉이나타나 상승추세가 지속되다가 당일에 하락반전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여기서 당일의 음봉은 이전의 갭을완전히 메우는 패턴으로서 이전 상승추세의 지속을 의미하므로 매수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하락갭타스키형
출현빈도가 그리 크지않은 패턴으로 하락추세에 있던 중에 긴 음봉과 함께 갭하락한후 또 다시 음봉이 나타나 하락추세가 지속되다가 당일에 상승반전되는 형태를 보입니다. 여기서 당일의 양봉은 이전의 갭을 완전히 메우지 못하는 패턴으로서 이전의 하락추세의 지속을 의미하므로 매도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하락갭삼법형
출현빈도가 그리 크지않은 패턴으로 하락추세에 있던 중에 긴 음봉이 나타나 갭하락한 후 또 다시 음봉이 나타나 하락추세가 지속되다가 당일에 상승반전되는 형태로 여기서 당일의 양봉은 이전의 갭을 완전히 메우는 패턴으로서 이전의 하락추세 지속을 의미하므로 매도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패턴 분석1] 패턴과 추세선 작성하기(차트분석)


1.패턴이란?

차트상의 나타나는 특정한 형태을 말합니다.
차트상에 나타나는 특정한 형태을 분석하는것을 패턴분석기법이라 할수있습니다.


삼각형 패턴

주가가 반복적인 등락을 하다가 그 등락 폭이 줄어 들어 삼각형 모양을 만드는 패턴으로서 고점을 이은 선이 저항선 역할을 , 저점을 이은 선은 지지선 역할을 합니다 .

기존 추세를 더욱 강화시켜는 패턴으로서 모양은 추세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만들어 집니다 .
즉 상승추세에서 하락쐐기형이 하락추세에서 상승 쐐기형이 만들어 집니다

깃발형과 패넌트형의 혼합형으로서 실제에서 거의 비슷한 꼴로 나오고 있어 구분하기가 여간 어렵지 않습니다 .

약간 차이가 난다면 윗선과 아랫선이 서루 평행하지 않고 한점을 향해 간다는 것입니다 .

좁은 주가 등락폭이 점차 확대되어 가는 모습을 하는 패턴으로서 장중에 변동성이 매우 강하여 일봉상으로

긴 장대 모양이 속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천정국면에서 종종 나타나며 지속패턴이라기 보다 오히려 전환패턴이다.후반부에 상승추세선이 하향 돌파된 시점에서 완성되며 하향 돌파시 거래량은 증가한다.

확산형 삼각형

이 패턴은 시장의 투자심리가 이상스러울 정도로 불안정한 상태일 때 나타나는 형태로 천정국면에서 주로 나타난다 .
따라서 이 패턴은 약세 패턴이다 . 3 번째 하향 돌파할 때 패턴이 완성된다 .
♣ 대단히 많은 투자자들의 참여를 알수있고 , 주로 상장장이 끝날 무렵에 자주 나타난다 .

매도와 매수 세력이 팽팽히 맞붙은 상황에서 잘 나오는 패턴으로 보통 패턴형성이 수일에서 수주 , 수년이 걸리는 횡보 패턴

이 두가지 패턴은 그래프로 자주 볼 수 있는 패턴으로 이중 천장형은 상승세 마무리에서 하락전환을 암시해 주고 이중 바닥형은 이와는 반대 현상을 암시해 줍니다 .


깃발형 패턴 과 패넌트형 패턴

급상승시 일부 차익세력들이 물량을 다른 세력에게 넘기는 단계로 모양이 깃발과 패넌트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


헤드앤 숄더형과 역헤드앤 숄더형

역헤드앤 숄더형은 헤드앤 숄더형을 뒤집어 놓은 꼴로 주로 하락추세의 마무리 단계에서 상승전환할 때 발견되는 패턴입니다 . 이것의 특징은 거래량이 헤드앤 숄더와는 반대로 이 패턴이 점점 완성되어 감에 따라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2.추세란?
추세 (Trend) 란 가장 단순한 의미로 시장의 진행방향 (Direction of market) 을 말하며 , 따라서 , " 추세 분석 " 이란 주가의 " 진행방향 " 을 분석하는 작업입니다

상승추세선 - 주가 저점을 연결하여 만들어선 ( 우상향-정배열 )
하락추세선 - 주가 고점을 연결하여 만들어선 ( 우하향-역배열 )
평행추세선 - 중요 가격의 저점이 일정하거나 고점의 가격이으로 박스권 이루어짐(횡보추세,박스권,비추세)
거래량추세선 - 상승 추세선과 거래량과 함께 보는것이 필요하다 . 추세선과 반대로 된다면 추세 반전을
경고하는 의미이고 추세선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거래량이 증가하면 추세를 확인한다 .

상승추세
연속하는 고점 (①-②) 들과 연속하는 저점 (③-④) 들이 높아진다
수급측면 - 매수세력이 강하다

하락추세
연속하는 고점 (①-②) 들과 연속하는 저점 (③-④) 들이 낮아진다 .
수급측면 - 매도세력이 강하다

횡보추세 ( 박스권 ) 비추세
연속하는 고점 (①-②-③) 간의 관계와 저점 (④-⑤-⑥) 간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으며 , 거의 수평등락 과정이 반복되거나 수렴과정이 진행된다 . 수급측면 - 매수 / 매도가 균형을 이룬다 .

상승하는 연속적인 두개의 저점 ( 場중 저가를 포함 ) 잇고 , 오른쪽으로 쭉 연장해서 , 다음 나오는 세번째

저점에서 지지를 받으면 " 상승추세선 " 으로 판단합니다

하락하는 연속적인 두개의 고점 ( 場중 고가를 포함 ) 을 잇고 , 오른쪽으로 쭉 연장해서 , 다음 나오는 세번째

고점에서 저항을 받으면 " 하락추세선 " 으로 판단합니다 .

♣추세선을 연결할때 종가 Or 고가 , 종가 Or 저가중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데 가장 신뢰도가 높은것은 추세선의 연결점이 많을수록 신뢰도가 높다. 즉 고가(저가) 와 종가의 구분은 무의미하다

추세이 전환 파악하기
아래의 그림은 종합주가지수 일간차트를 사용하였으며, 횡보국면을 일정기간 지속하다가 횡보국면을 상향 돌파하면서 상승추세로 전환되었으며 연속되는 고점,저점이 높아지는 상승추세가 진행되었다. 그뒤 직전 고점을 상향 돌파하지 못하는 국면이 발생하였고 직전 저점인 지지선에서 지지를 받는 듯하였으나, 이내 하향 돌파하여 하락추세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