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 거래 시간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주식 거래 시간

KDI 경제정보센터

주식은 주식회사의 사업 밑천에 해당하는 재산가치를 지닌 증서다. 주권(株券 stock, share)이라고도 한다. 주식회사는 사업을 벌여 돈을 벌 목적으로 여러 사람들이 밑천을 대 운영하는 회사다. 주식회사의 사업 밑천을 자본금, 자본금을 대는 사람을 주주(株主 stockholder, shareholder)라고 부른다.
주식회사는 상법에 따라 자본금을 일정 소액 단위로 잘게 나누고 나눈 수만큼 주식을 발행하게 되어 있다. 주식의 최소 발행단위는 1주. 2009년 7월 현재 상법상 새로 발행하는 주식의 1주당 가격은 주주총회 의결을 거쳐 최소한 100원 이상으로 하게 되어 있고 100원, 200원, 500원, 1000원, 2500원, 5000원 중 하나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본금이 5천만원인 주식회사라면 1주 5천원씩 1만주를 발행하는 식으로 주식을 발행한다. 주주들은 각자 자본금에 기여한 금액만큼 회사가 발행하는 주식을 나눠 갖는다.

새로 발행하는 주식의 1주당 가격은 ‘액면가’라고 한다. 액면가에 발행주식 수를 곱하면 발행주식총액이 된다. 주식은 자본금만큼 발행하므로 발행주식총액은 곧 그 주식을 발행한 주식회사의 자본금 액수와 같다. 액면가로 발행된 주식은 주식시장에서 매매되는 즉시 시장가격(시가, 시세)이 형성된다. 시세는 주식시장에 나오자마자 액면가를 훨씬 넘을 수도 있고 액면가 밑으로 떨어질 수도 있다. 주식시장에서 매매가 이뤄지는 동안 주식 시세는 끊임없이 움직인다.

주주의 권리와 책임은?
주주는 회사 재산의 실질적 주인이고, 주주 아닌 사람들에겐 없는 권리를 누린다.
첫째, 각자 지분에 비례하는 영향력과 책임을 갖고 회사 경영에 참여할 수 있다. 주식회사는 경영 관련 주요 사항을 주주총회에서 의결하게 되어 있다. 주주들은 주주총회에서 각자 보유한 지분만큼 의결권을 행사한다.
둘째, 배당을 받을 수 있다. 배당이란 주식회사가 사업을 해서 올린 이익의 일정 몫을 주주에게 주식이나 현금으로 나눠주는 것이다. 회사가 배당을 결정하면 주주들은 보유 지분에 비례해 이익을 분배받는다.
셋째, 주가가 올랐을 때 보유 주식을 팔면 매매차익을 벌 수 있다.
주식을 사면 회사의 주인이 되어 이처럼 여러 권리를 누릴 수 있다. 그 대신 경영책임도 나눠져야 한다. 회사가 망할 경우엔 보유 주식의 가치가 폭락해 휴지조각이 되는 것도 감수해야 한다. 다만, 회사의 손실에 따르는 변상 책임은 주주 각자가 보유 지분을 잃는 데서 그친다.

주식 거래는 어디서, 어떻게 하나?
주식 거래는 여러 경로로 이뤄진다. 투자자끼리 직접 매매하기도 하고, 거래 중개자를 사이에 두고 매매하기도 한다. 가장 흔한 경로는, 일정한 거래원칙에 따라 체계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적 시장에서 공인된 중개자를 두고 미리 정규 거래 시간 정한 원칙에 따라 공개리에 경쟁 매매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공개 경쟁 매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려면 시장이 잘 조직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는 비교적 조직성이 높은 정규 주식시장으로 유가증권시장(KOSPI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과 코스닥시장(KOSDAQ :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System)이 있다. 유가증권시장은 비교적 규모가 큰 기업의 주식을 거래하고, 코스닥시장은 주로 중소기업 주식을 거래한다.
기업이 주식을 발행해 정규 시장에서 거래되게 하고 싶으면 이들 시장을 관리하는 한국거래소(구 한국증권선물거래소)의 심사를 거쳐 자격을 인정받아야 한다. 그럼, 주식은 발행했지만 정규 증시에서 거래할 자격을 인정받지 못하면 어디서, 어떻게 유통시키나? 정규시장 바깥에서 유통시킬 수밖에 없다. 정규시장 바깥은 장외(場外), 곧 ‘장외시장’이라고 부른다. ‘장외시장’을 전제하고 정규시장을 부를 때는 정규시장은 ‘장내시장’이라고 한다.
장내시장에서 이뤄지는 거래는 ‘장내거래’, 장내시장에서 증권을 거래하는 기업은 ‘장내기업’, 장외시장에서 이뤄지는 거래는 ‘장외거래’, 장외시장에서 증권을 거래하는 기업은 ‘장외기업’이라고 부른다. 같은 이치로, 장외에서 거래하는 주식은 ‘장외주식’이라 한다.
장외주식은 주로 발행사나 주식 보유자가 증권회사나 사채업자에게 대가를 주고 주식을 넘겨서 투자자를 물색해 파는 일이 잦다. 증권회사나 사채업자는 기업이나 개인투자자에게서 떠맡은 주식을 다른 개인이나 기관, 다른 증권사 등에 아름아름 팔아넘긴다. 거래는 주로 증권사나 사채업자 사무실, 공증인 사무실 같은 곳에서 한다.

장외시장과 장내시장은 무엇이 다른가?
주식시장에서 장외와 장내는 뭐가 다른가? 장외는 한마디로 자유롭다. 장내시장에서 매매되든 되지 않든, 어떤 증권이든 정규 거래 시간 다 거래할 수 있다. 장내에는 공인된 시장관리자 내지 거래 중개자가 있어서 거래 시간이나 장소를 포함해 시시콜콜 거래를 규제하지만 장외에는 공인된 시장관리자가 없다. 매매 당사자끼리 어디서든 아무 때나 만나 자유롭게 거래한다. 중개자가 없으니 매매중개수수료 부담도 없다. 그 대신 단점이 있다. 거래상대를 제 손으로 찾아야 한다.
그런데 장외에서는 매물 정보나 거래 상대ㆍ사실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다. 장내주식 같으면 시장관리자가 발행사 실적 정보 등 이런저런 정보를 투자자에게 공개하도록 규제하고, 증권사나 언론이 종목분석 정보를 자주 내놓는다. 하지만 장외주식엔 정보 공개를 요구하는 규제도 없고 증권사의 기업분석 정보나 정규 거래 시간 언론보도를 통해 나오는 증시 정보도 별로 없다.
장외주식 거래 정보는 주로 거래가 이뤄지는 현장인 사채업자나 증권사 언저리를 자세히 살피면 얻을 수 있다. 장외주식 시세 등 장외거래 정보를 전문으로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도 유용하다. 그렇지만 장외주식 투자는 장내주식에 비해 유망 종목, 부실 종목을 가려내기가 어렵다. 장외주식이라 해도 신문이나 인터넷에 주요 종목 시세가 나오기도 하고, 주가정보 제공업체 사이에 통하는 호가도 있다. 하지만 같은 종목을 놓고 여기저기서 갖가지 값을 부르기 때문에 꼼꼼하게 시세 정보를 챙기지 않으면 손해를 보기 쉽다. 장내시장은 금융감독원이 감독을 하지만 장외거래는 금융감독원의 감독 권한 밖에 있기 때문에 거래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도, 사기 거래 피해를 당해도 대책이 없다.
장외거래에 문제가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장외거래 같은 것은 투자자와 증시 보호를 위해 아예 법으로 금하는 게 낫지 않을까 생각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장외시장은 성장 초기 유망 기업들이 장내시장에 들어가지 못하는 상태에서 주식을 발행해 사업자금을 마련하는 데 유용한 증권시장이다. 장외시장을 통해 장외기업이 성장하면 정규시장으로 옮아갈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장내시장도 활성화한다. 부작용이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시장을 통째로 닫아버리기엔 증시와 국민경제 전체를 생각할 때 손실이 크다. 투자자 입장에선 장외시장이 정규증시보다 위험하다는 걸 충분히 감안해 조심해서 투자하는 게 상책이다.

알아두면 좋은 정보

지난 시간에 주식 계좌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봤었습니다. 이제 계좌를 만들고 투자를 시작하는 단계에 있을 것 같습니다. 먼저 우리나라는 주식 거래를 하기 위한 정규 시간이 정해져있습니다. 정규장이 열리는 시간 외에도 잠깐 매매가 가능한 시간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칠판에 캔들 차트를 그리고 있는 사람

주식 거래 시간

가상화폐 시장의 경우 24시간 내내 거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저도 몇 년 전에 잠깐 했던 경험이 있는데 당시에 첫 투자이다 보니 잠도 자지 않고 차트만 보고 있던 기억이 납니다. 사실 매매를 하고 차트를 보지 않아야 하는 부분인데 처음이라 그런지 저도 모르게 계속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그 이후로 더 이상은 안 되겠다 싶어서 모두 팔고 빠져나왔습니다. 주식 같은 경우에는 정규 거래 시간에만 매매를 할 수 있다보니 조금 더 마음이 편안한 것 같습니다.

국내 주식 거래 시간은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볼 수가 있겠습니다. 정규시간과 시간외 거래 시간, 동시호가 시간으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지금부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주식 거래 시간은?

국내 주식 같은 경우에는 언제든지 사고 팔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정해진 시간 내에서만 매매를 진행할 수가 있는 부분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각 시간별로 나열을 해보도록 할테니 참고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자명종 시계 앞에 쌓여있는 동전들

국내 주식 거래 시간

주식 투자를 시작했다면 언제 어떻게 거래를 할 수 있는지부터 파악을 해두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먼저, 국내주식 정규시간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보통 매매를 시작하게 되는 시간대는 오전 9시부터 15시 30분까지입니다. 이 시간대로 바로 정규장이 열리는 시간입니다. 주식 매매는 월요일부터 금요일에 장이 열리며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장이 열리지 않습니다. 흔히 9시부터 12시까지를 전장, 오후 1시부터 3시까지를 후장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정규장 시간 외에도 거래가 가능한 시간대가 몇 가지 존재하고 있습니다.

시간 외 거래 시간

주식시장에서는 투자자들의 매매 편익을 돕기 위해서 정규매매시간 외에도 매수와 매도를 할 수 있도록 한 제도를 시간외 매매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는 장 전 시간외 매매와 장 후 시간외 매매로 나뉘게 됩니다. 장전 시간외 거래의 경우 정규장이 시작되기 전인 8시 30분부터 40분까지 10분간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장후 시간외 정규 거래 시간 거래의 시간은 정규장 이후로 15시 40분부터 16시까지 20분간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시간 외 매매는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기 위해 허용된 제도로 종가로 거래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장전 시간외의 경우 전일 종가로 거래를 할 수 있고 장후 시간외 거래는 당일 종가로 매매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시간외 단일가 거래 시간

다음으로 시간외 단일가 매매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16시부터 18시까지 2시간 동안 진행되고 있습니다. 앞서 설명드린 장전, 장후 시간외 거래는 전일 종가와 당일 종가로 가격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시간외 단일가 매매는 당일 종가 기준으로 +, -10% 이내로 가격이 유동적으로 정규 거래 시간 변하게 됩니다. 단, 상한가에 도달한 종목의 경우 그 가격을 초과할 수는 없습니다. 시간외 단일가는 10분 단위로 거래가 체결되며 매도자와 매수자의 가격이 일치하면 즉시 체결되는 것과 다르게 동시호가처럼 10분 단위로 주문서를 모아 일괄 체결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동시 호가 주문 시간

마지막으로 동시 호가라는 것도 있습니다. 서로 주문 시간대가 다른 호가들 동일 시간에 낸 호가로 간주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동시호가 시간은 장전 8시 30분부터 9시까지, 장후 15시 20분부터 30분까지 진행되고 있습니다. 앞에서 본 장전 시간외 거래가 8시 30분에서 40분까지 진행되는 시간이기 때문에 장전 동시호가로 반영되는 정규 거래 시간 시간은 8시 40분부터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는 장전과 장후에 주문이 몰려 주가가 왜곡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나온 것이라고 합니다. 동시호가 시간대에는 실시간으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매수, 매도호가와 주문 수량을 계산하여 9시에 일괄적으로 체결을 시키고 있습니다. 이렇게 장전 동시호가 시간대에 체결된 최종 단일 가격이 바로 시가가 되는 것입니다. 반대로 장후 동시호가 시간대에 최종 체결된 단일 가격이 종가가 됩니다.

노트북으로 주식 차트를 보고 있는 사람

주식 거래 시간

이렇게 국내 주식 거래 시간에 대해서 한 번 정리를 해봤습니다. 처음 투자를 하시는 분들의 경우 언제 거래를 해야하는지 모를 수도 있는 부분일 것 같습니다. 가상화폐를 먼저 접한 투자자라면 똑같이 휴일 없이 장이 열리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입니다. 하지만 주식 시장은 정해진 시간대 내에서만 매매를 진행하실 수가 있습니다. 정규장과 정규 거래 시간 정규장 외에 거래를 할 수 있는 시간대가 존재하기 때문에 미리 파악을 해두시면 좋겠습니다. 시간외 거래 같은 경우에 초보 투자자들의 경우 다소 어려움을 느낄 수도 있는 부분이니 처음에는 정규장 시간대에서만 매매를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식 개장 시간 총정리(+미국주식, 해외주식 개장시간 포함)

주식 개장 시간이 언제 인가요? 라고 물으면 대부분의 투자자들 9시~15시라고 말할 겁니다.이 시간은 주식 정규시장인데요. 주식 개장 시간정규시간 외 정전 시간외, 동시호가, 장후 시간 외 시간 외 단일가 예약주문 등 정규시간 말고도 주식을 사고팔 수 있는 시간이 존재합니다. 해외주식을 거래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아래 해외주식 개장지간도 정리하였으니 끝까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직장인이라면 꼭 알아야 하는 주식 장기투자 하는 방법 5가지 팁

주식 장기투자 하는 방법 주식 관련 글을 최근에 잘 쓰지 않았습니다. 주린이기도 하고 내 글을 보고 투자하는 분들이 있다는 것에 부담을 느껴서 인데요. 가장 큰 이유는 주식 공부를 게을리해

주식 개장 시간 분류

장전 시간외 거래, 동시호가 거래, 정규시장 거래, 장후 시간 외 거래, 시간 외 단일가 거래, 주식 예약주문 등 우리가 알고 있는 정규시간 외에도 거래가 가능한 시간이 있습니다.

주식 장전 시간외 거래

정규시장 전 전일종가 또는 기준가로 매매가 가능하고
8:30 ~ 8:40 거래가 가능합니다.

주식 동시호가 거래

용어 그대로 거래 형태가 동시에 접수된 호가를 기준으로
8:30 ~ 9:00 / 15:20 ~ 15:30를 거래 시간으로 하며
실제 체결은 9:00과 15:30분에 체결됩니다.

주식 정규시장 거래

9:00 ~ 15:30 사이에 거래가 가능한
일반 거래입니다.

주식 장후 시간 외 거래

당일 종가를 매매 가격으로
15:40 ~ 16:00 사이에 거래가 가능합니다.

주식 시간 외 단일가 거래

당일 종가 대지 +/- 10%를 매매 가격 기준으로
16:00 ~ 18:00 사이에 거래 가능합니다.

주식 예약주문

오후 4시부터 익일 7시까지 주문을 예약받아
오전 8시 20분 정규시장 주문으로 예약하는 거래 방법입니다.

주식 거래 시장별 매매시간

주식 거래 시장별 매매시간

주식 거래 시장별 매매시간

구분 코스피/코스닥 선물옵션
장전 시간외 08:30 ~ 08:40 -
동시호가 08:30 ~ 09:00
15:20 ~ 15:30
08:30 ~ 09:00
15:35 ~ 15:45
정규시장 09:00 ~ 15:30
호가접수 08:20 ~
09:00 ~ 15:45
최종거래일 정규 거래 시간 09:00 ~ 15:20
장후 시간외 15:40~16:00 -
시간외단일가 호가접수 15:30~ -
예약주문 16:00 ~ 18:00
10분 단위 총 12회 체결
16:00 ~ 익영업일 07:00

주식 매매 거래일 및 휴장일

매매거래일은 월요일부터 금 요리까지이며, 다음의 휴장일에는 매매거래 및 결제를 하지 않습니다.

공휴일 :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의함)

12월 31일 (공휴일 또는 토요일인 경우에는 직전의 매매거래일)

기타 코스피 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날을 휴장일로 지정

해외 주식 개장 시간

국내 주식뿐만 아니라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분들도 많이 증가하였습니다. 미국, 홍콩, 중국, 일본, 유럽 싱가포르 주식 개장 시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주식 개장 시간

미국 주식 개장 시간은 서머타임 적용, 미적용에 따라 1시간가량 차이가 발생합니다.

정규 거래 시간
구분 섬머타임 적용시 정규 거래 시간
(3월 둘재주 일요일 ~ 11월 첫째주 일요일)
섬머타임 미적용시
거래시간(국내시간기준) 20:00 ~ 22:30 pre-market
22:30 ~ 05:00 정규시장
05:00 ~ 06:00 after-market
21:00 ~ 23:30 pre-market
23:30 ~ 06:00 정규시장
06:00 ~ 07:00 after-market
거래가능시장 NYSE, NASDAQ, OTC BB, PINKSHEETS NYSE, NASDAQ, OTC BB, PINKSHEETS

홍콩 주식 개장 시간

홍콩 주식 개장 시간은 오전장, 오후장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중간에 한시간 쉬는 시간이 존재하는데 우리나라의 주식 시강과는 차이점이 있네요.

구분 홍콩 주식 개장 시간
거래시간(국내시간기준) 동시호가 : 10:00 ~ 10:30
오전장 : 10:30 정규 거래 시간 ~ 13:00
오후장 : 14:00 ~ 17:00
장마감 동시호가 1 : 17:01 ~ 17:06
장마감 동시호가 2 : 17:06 ~ 17:08
동시호가 체결 및 장 종료 : 17:08 ~ 17:10

중국 주식 개장 시간

중국도 홍콩과 주식 개장 시간이 유사합니다. 오전장, 오후장으로 분류되어 있고, 시간은 동일하네요.

구분 상해A주(후강통) 중국B주(상해, 심천)
거래시간(국내시간 기준) 동시호가 : 10:10 ~ 10:30
- 10:10 ~ 10:15, 10:25 ~ 10: 30(신규/취소 접수)
- 10:20 ~ 10:25 (취소불가)
오전장 : 10:30 ~ 12:30
오후장 : 13:55 ~ 16:00
- 13:55 ~ 14:00 (신규/ 취소 접수)
동시호가 10:15 ~ 10:25
오전장 10:30 ~ 12:30
오후장 14:00 ~ 16:00

일본 주식 개장 시간

일본 주식 개장 시간도 오전장과 오후장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중국, 홍콩, 일본 모두 오전장 오후장으로 분류되어 있는 부분이 특히 합니다. 한국도 나중에는 분류될려나요?

구분 동경
거래시간(국내시간기준) 동시호가 : 8:00 ~ 9:00
오전장 : 9:00 ~ 11:30 정규 거래 시간
오후장 : 12:30 ~ 15:00

유럽(독일, 프랑스, 영국) 주식 개장 시간

구분 섬머타임 적용시 섬머타임 미적용시
거래시간(국내시간기준) 정규시장 : 16:00 ~ 0:30 정규시장 : 17:00 ~ 1:30

싱가포르 주식 개장 시간

구분 주식개장시간
거래시간(국내시간기준) 오전장 : 10:00 ~ 13:00
오후장 : 14:00 ~ 18:00

마치며

해외주식 개장시간을 포함하여 한국 주식 개장시간까지 모두 알아보았습니다. 한국 주식 거래 시간은 아마 대부분 잘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해외주식 같은 정규 거래 시간 경우에는 국가 별로 차이가 있으니 국가별로 확인이 필요 합니다.

같이 보면 도움 되는 글

키움증권 주식 배당금 확인 방법 2가지 및 배당금 세금을 알아보자!

키움증권 주식 배당금 확인 방법 2가지 및 배당금 세금을 알아보자! 4월이면 배당금 시즌입니다. 작년에 투자한 종목에서 배당금이 들어 았는지 카카오톡 알람이 울립니다. 이번 포스팅에

정규 거래 시간

주식을 새로시작하시는분들이라면 가장먼저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시간을 정확하게 알아두는것이 좋겠죠. 주식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거래할 수 있으며 가끔 휴장일이 있으니 확인해두는것이 좋습니다.

주식에서 휴장일이 중요한 이유는 연휴가 긴 경우 해외증시의 영향을 급격하게 받아 큰 움직임이 일어날수 있기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 연휴 몇일정부터 주식시장이 미리 어떠한 준비를 하는 모습을 예측할수도 있습니다.

주식정규거래시간은 오전 9:00~ 15:30분까지입니다.

이러한 정규매매시간에는 계속적으로 실시간 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9시가되면 시초가가 결졍되며 시초가는 8시~8시59분59초까지 접수된 단일호가로 결정됩니다.

장전시간외 매매거래시간은 7:30~8:30분까지입니다.

만약 어떤한 이유로 전일종가로 내 주식을 모두 팔아버리고 싶은 정규 거래 시간 급한 마음이 있다면 7:30분~8:30분까지 장전외매매시간에 거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때 매수하고자 하는 세력이 있어야지만 거래가 되며 매수자가 없다면 주문은 미체결로 8:40분에 자동으로 취소가 됩니다.

장후시간외 종가매매시간은 15:40분~16:00분까지 입니다.

장이끝난후에 매매를 하고 싶다면 장호시간외 종가매매시간을 이용하면 됩니다. 역시나 매수자와 매도자가 모두 있어야 거래가 될 수 있습니다.

장후시간외 단일가매매시간은 16:00~18:00분까지 입니다.

이때는 당일종가가 아닌 상승하락 10%까지의 가격으로 10분단위로 매매가 이루어집니다. 당일 종가보다 조금 상승한 가격으로도 매도나 매수가 가능합니다. 단,, 이 가격이 다음날 시초가에 영향을 반드시 미치는것은 아닙니다.

장후 시간외 거래 시간 , 방법 쉽게 알아보기

장후 시간외 거래 시간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시간외 매매의 종류와 시간, 방법등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장후 시간 외 거래란?

장후 시간외 거래란 시간외 매매 중 하나로, 정규 매매시간인 평일 오전9시~오후 3시 30분이 지난 뒤에도 주식을 매매 할수 있는 방법입니다.

시간 외 거래 매매 제도시간외 종가매매와 시간외 단일가 매매 두가지로 나뉩니다.

시간 외 종가매매장전 시간외 08:30~08:40 사이에, 장 후 시간외는 15:40~16:00사이에 가능합니다.

  • 장전 시간외는 전일 종가의 금액으로, 장후시간외의 경우 당일 종가 금액으로 주문 접수가 가능합니다.
  • 장후 시간외 경우는 주문접수는 오후 3시 30분부터, 체결은 3시 40분 부터 가능합니다.

시간외 단일가 매매15:30~18:00까지 가능합니다.

  • 시간외 단일가 매매의 경우는 10분 단위로 매매 체결이 이루어지는 단일가 매매방식이 적용되어 하루에 총 12회의 매매가 이루어집니다.
  • 거래단위는 1주로 가능하며, 가격은 당일 종가 기준으로 상하 10% 한도로 허용이 되지만, 허수성 호가를 방지하기 위해 예상 체결 가격이 3% 이상 변됭되면 단일가 호가의 마감시간을 임의로 조정할수 있는 임의 종료 방식이 도입됩니다.

장 마감 후 좋은 호재가 생기거나, 이슈가 생기면 투자자들의 장 후 매수세가 생기면서 장 후 시간외 주가가 크게 오를 수가 있는데요.

이런 장후 시간외 거래를 하게 되면 그날 종가 그대로 거래를 해 다음날 오를경우 차익을 얻을수 있어서 유용하기도 합니다.

시간외 단일가(장후 시간외 거래) 매매방법

장후 시간외 거래는 증권회사 어플, 프로그램마다 화면은 다르지만 방식은 비슷합니다.

장후 시간외 거래 방법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