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을 선택하고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1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Attention 확인된 노드타입과 플랫폼은 관리자가 확인한 정보라는 의미의 필드값으로 현황&필터 > 변경관리 항목에서 관리자가 직접 확인처리하여 변경하거나 노드 상세정보 화면에서 관리자가 변경하지 않는 경우 6번 설정으로 인하여 최초 탐지된 플랫폼과 노드타입이 확인된 정보로 유지됩니다. 노드의 플랫폼,타입이 기존과 다르게 탐지되는 정보는 관리 > 현황&필터 > 변경관리 메뉴와 플랫폼을 선택하고 대시보드 위젯 노드 변경관리 에서 모니터링 가능합니다.

플랫폼 오탐으로 노드가 잘못된 정책을 할당받는 문제¶

위 조건하에 예외정책을 할당받고 있던 노드가 네트워크센서에서 수행하는 주기적 노드 스캔으로 인하여 기존에 탐지된 정보보다 수집된 정보가 많거나 적은경우 아닌 다른 플랫폼으로 탐지.

플랫폼 오탐과 함께 노드타입도 예외처리된 노드타입이 아닌 차단정책을 할당받는 노드타입으로 변경되며 예외정책을 할당 받지 못하여 네트워크 차단.

해결 방법¶

감지된 노드타입,노드플랫폼은 간헐적으로 오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감지된 노드타입 이라는 조건은 예외처리 정책의 조건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예외처리에 노드타입 조건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노드타입-확인된 노드타입 , 노드타입-감지방법-관리자지정 과 같은 조건을 사용해야 합니다.

방법1: 노드타입 - 확인된 노드타입 조건 으로 예외그룹 조건을 사용하는 방법 (권장)

  1. Web콘솔 > 관리 > 현황&필터 > 노드타입 으로 이동하여 예외처리 할 노드타입을 선택합니다.
  2. 우측 리스트화면 좌측 상단 체크박스를 선택하여 리스트에 표시된 모든 노드의 체크박스에 체크합니다.
  3. 작업선택 > 노드 및 장비 > 노드 속성 변경 을 선택합니다.
  4. 관리자가 노드타입을 확인합니다. 항목과 관리자가 플랫폼을 확인합니다. 항목에 플랫폼을 선택하고 체크하고 하단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5. 예외처리 할 다른 노드타입도 동일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6. 설정 > 환경설정 > 노드관리 > 노드정보 검색 항목에서 최초플랫폼정보 자동확인 옵션을 On 으로 변경합니다.
  7. 제어정책 메뉴로 이동하여 예외처리 정책의 노드그룹 조건을 노드타입 > 확인된 노드타입이 같으면 조건을 선택하여 예외처리 할 노드타입을 추가합니다.
  8. 노드타입을 모두 추가하였다면 수정 버튼을 클릭하고 화면 상단 변경정책 적용 버튼을 클릭하여 정책을 적용합니다.

Attention

확인된 노드타입과 플랫폼은 관리자가 확인한 정보라는 의미의 필드값으로 현황&필터 > 변경관리 항목에서 관리자가 직접 확인처리하여 변경하거나 노드 상세정보 화면에서 관리자가 변경하지 않는 경우 6번 설정으로 인하여 최초 탐지된 플랫폼과 노드타입이 확인된 정보로 유지됩니다.

노드의 플랫폼,타입이 기존과 다르게 탐지되는 정보는 관리 > 현황&필터 > 변경관리 메뉴와 대시보드 위젯 노드 변경관리 에서 모니터링 가능합니다.

방법2: 노드타입 - 감지방법 - 관리자지정 조건 으로 예외그룹 조건을 사용하는 방법

  1. Web콘솔 > 관리 > 현황&필터 > 노드타입 으로 이동하여 예외처리 할 노드타입을 선택합니다.
  2. 우측 리스트화면 좌측 상단 체크박스를 선택하여 리스트에 표시된 모든 노드의 체크박스에 체크합니다.
  3. 작업선택 > 노드 및 장비 > 노드 속성 변경 을 선택합니다.
  4. 노드타입을 변경(지정)합니다. 항목을 체크, 지정할 노드타입을 선택하고 하단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5. 예외처리 할 다른 노드타입도 동일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6. 제어정책 메뉴로 이동하여 예외처리 정책의 노드그룹 조건을 노드타입 > 감지방법 > 관리자지정 조건을 추가하고 수정 버튼을 클릭, 화면 상단 변경정책 적용 버튼을 클릭하여 정책을 적용합니다.

Attention

감지방법을 관리자지정 조건을 사용할 경우 별도의 노드타입별로 지정이 되지 않아 만약 예외처리할 노드타입이 아닌 다른노드의 노드타입을 지정한 경우 해당 노드도 예외처리 정책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노드타입을 변경(지정) 하는 경우, 스캐닝으로 인한 갱신시 다른 노드 타입으로 변경되지 않아 기존과 동일하게 감지된 노드타입 조건 으로도 정책설정이 가능합니다.

신규로 등록되는 예외처리 노드도 모니터링하여 노드타입을 변경(지정) 해야 예외처리 누락이 되지 않습니다.

방법3: 예외 노드그룹 조건을 기존대로 사용 + 노드스캐닝 검사 OFF

  1. Web콘솔 > 관리 > 현황&필터 > 노드타입 으로 이동하여 예외처리 할 노드타입을 선택합니다.
  2. 우측 리스트화면 좌측 상단 체크박스를 선택하여 리스트에 표시된 모든 노드의 체크박스에 체크합니다.
  3. 작업선택 > 노드 및 장비 > 노드 관리 설정 을 선택합니다.
  4. 노드정보 검사 항목을 체크하고 Off 옵션을 선택, 하단 저장버튼을 클릭합니다.

Attention

노드스캐닝 검사 OFF 설정을 하게 되면, 해당 노드로의 스캔작업이 수행되지 않습니다. 그로 인해 노드 탐지 정보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노드타입이 변경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새로 추가된 예외노드에도 지속적으로 해당 설정을 수행해야합니다.

사용자에게 전하는 메시지

비즈니스 연속성을 유지해야 하는 글로벌 기업이든 지역 사회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정부 기관이든 원격으로 학생을 교육하는 학교 교사이든 사교 모임을 자제하면서도 즐거운 시간을 보내려는 친구이든 모두 현재 세계 보건 위기가 불러온 고유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Zoom은 사회적으로 거리를 두는 동안 여러분이 연결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드릴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또한 많은 책임감을 느낍니다. 하룻밤 사이에 Zoom 사용이 급증하여 2월 말 처음 도움을 드리고자 했을 때 예상했던 수준을 훨씬 뛰어넘었습니다. 현재 20개국의 90,000개 이상의 학교에서 원격으로 학생들의 교육을 계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Zoom의 제안을 받아들였습니다. 이러한 성장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작년 12월 말 기준으로 Zoom에서 실시한 일일 미팅 참가자의 최대 수는 무료와 유료를 합해 약 1,000만 명이었습니다. 그런데 올해 3월에는 무료와 유료를 합한 일일 미팅 참가자 수가 2억 명을 넘었습니다. Zoom은 크고 작은 규모의 사용자, 신규 및 기존 사용자 등 모든 사용자가 연결되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24시간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난 몇 주 동안 이러한 사용자 유입을 지원하는 것은 엄청난 업무이자 유일한 목표였습니다. Zoom은 플랫폼의 안전과 개인정보 보호, 보안을 보장하는 동시에 전 세계 플랫폼을 선택하고 기업에서 비디오 회의 플랫폼으로 Zoom을 선택한 이유였던 사용자 친화적인 경험과 중단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러나 커뮤니티 및 Zoom의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에 있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깊이 사과드리며 현재 상황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배경에 대해 말씀드리면 Zoom은 완벽한 IT 지원을 갖춘 대규모 조직, 즉 대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구축된 플랫폼입니다. 세계 최대 금융 서비스 기업에서 유명 통신업체, 정부 기관, 대학, 병원, 원격 의료기관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전 세계 수천 개의 기업에서 사용자,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계층에 대한 보안을 철저히 검토한 후 전체 배포를 위해 자신 있게 Zoom을 선택했습니다.

하지만 몇 주 만에 전 세계의 모든 사람이 집에서 일하고 공부하며 어울릴 것이라는 예상 하에 플랫폼을 고안한 것은 아닙니다. 현재 예상치 못한 수많은 방법으로 저희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면서 플랫폼을 고안할 때 예상하지 못했던 문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소비자 사용 사례를 통해 예상치 못한 플랫폼의 문제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전문 기자와 보안 플랫폼을 선택하고 연구원 역시 기존의 문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Zoom의 서비스 작동 방식, 인프라 및 용량,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정책에 대한 세심한 검토와 질문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이러한 질문은 Zoom이 더 나은 기업으로 성장하고 모든 사용자를 위해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저희는 질문을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하나하나 조사하고 가능한 한 신속하게 처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배우고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먼저 지금까지의 진행 상황을 알려드리고 개선 방향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지금까지의 진행 상황

신규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계정의 기능과 최선의 플랫폼 활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 도구, 지원을 제공하는 부분에서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 Zoom은 무료 대화식 일일 웨비나는 물론 교육 세션과 튜토리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Zoom 사용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이러한 자료를 적극적으로 발송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금까지 제기된 특정 문제와 질문을 적극적이고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3월 20일 자 블로그 게시물을 통해 대기실, 비밀번호, 음소거 컨트롤, 화면 공유 제한 등과 같이 괴롭힘을 방지하는 보호 기능을 알림으로써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괴롭힘 사건(소위 “Zoombombing(Zoom 폭격)”)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원래초대받지않은참가자를“불청객”으로지칭한블로그게시물의이름과내용도변경했습니다.지금까지등장한심각하고악의적인공격유형을감안하면표현으로는부족합니다. Zoom이와같은유형의공격을강력하게비난하는바이며이러한방식으로회의에방해를받은모든분들에게진심으로깊은위로를전합니다.)
  • 3월 27일에는 iOS 클라이언트에서 Facebook SDK를 제거하는 조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불필요한 장치 정보를 수집하지 않도록 재구성했습니다.
  • 3월 29일에는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업데이트하여 저희는 사용자 데이터를 판매하지 않고, 과거에도 사용자 데이터를 판매한 적이 전혀 없으며, 앞으로도 사용자 데이터를 판매할 의사가 없음을 명시하고 데이터 수집 및 사용 방법을 더욱 명확하고 투명하게 수정했습니다.
  • 교육 사용자를 위하여:
      에 관한 관리자 가이드를 공개했습니다. 에 대한 가이드를 마련했습니다.
    • 초중고 전용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마련했습니다.
    • 가상 대기실이 기본적으로 켜져 있도록 초중고 프로그램에 등록한 교육 사용자의 설정을 변경했습니다.
    • 기본적으로 교사만 수업 중에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초중고 프로그램에 등록한 교육 사용자의 설정을 변경했습니다.
    • 혼란을 인정하고 사과하며 플랫폼 암호화에 관한 사실을 명확히 하기 위해 블로그를 게시했습니다.
    • 참석자 주의 추적기 기능을 제거했습니다.
    • Patrick Wardle이 제기한 Mac 관련 문제의 수정 사항을 공개했습니다.
    • UNC 링크 문제의 수정 사항을 공개했습니다.
    • LinkedIn Sales Navigator 앱 기능에 의한 불필요한 데이터 공개를 확인한 후 이 앱을 제거했습니다.

    향후 예정 사항

    앞으로 90일간 적극적으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며 수정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을 투입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이 과정에서 투명하게 처리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고객의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진행할 예정입니다.

    • 이 시점부터 다른 기능에 관한 업무는 중단하고 Zoom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신뢰, 안전성, 개인정보 보호 문제에 집중하도록 엔지니어링 인력 전원을 전환하겠습니다.
    • 모든 새로운 소비자 사용 사례의 보안을 이해하고 지킬 수 있도록 타사 전문가 및 사용자 대표와 종합적인 검토를 실시하겠습니다.
    • 데이터, 기록, 콘텐츠 요청과 관련된 정보를 상세히 설명하는 투명성 보고서를 준비하겠습니다.
    • 현재 취약점 제보 프로그램을 강화하겠습니다.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모범 사례에 대한 지속적 대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업계를 대표하는 CISO와 협력하여 CISO 심의회를 운영하겠습니다.
    • 문제를 더욱 깊이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일련의 동시 화이트 박스 침투 시험을 실시하겠습니다.
    • 다음 주 수요일 오전 10시(태평양 표준시)에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 업데이트 사항을 커뮤니티에 알리는 주간 웨비나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투명성은 항상 Zoom 기업 문화의 핵심입니다. Zoom 플랫폼을 강화하고 사용자가 자신을 보호하면서 플랫폼을 잘 활용하는 사항에 대해서라면 열린 마음으로 솔직하게 대처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면 질문해 주시고 의견이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Zoom은 항상 사용자의 만족과. 플랫폼의 안전성, 개인정보 보호, 보안을 보장하여 사용자의 신뢰에 보답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생각합니다.

    [콴다인 집중탐구] 글로벌 플랫폼을 향한 iOS 개발자들의 여정

    이번 [콴다인 집중탐구] 편에서는 글로벌 플랫폼 콴다의 iOS개발을 책임지고 있는 iOS팀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오늘 만나본 세 플랫폼을 선택하고 시니어 개발자들은 콴다를 iOS에 최적화된 서비스로 만들기 위해 밤낮으로 노력하고 있는데요, 이들이 콴다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또 이들은 어떻게 일하고 있을까요? Clayton, Stanley, Dewey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세요!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려요!

    Clayton: 안녕하세요. 콴다 iOS팀의 리드를 맡고 있는 Clayton 입니다. 총 8명으로 구성된 콴다의 iOS팀을 이끌고 있어요.

    Dewey: 안녕하세요. 콴다에서 iOS개발을 하고 있는 Dewey라고 합니다. 8년차 개발자이고요, 작년 9월부터 콴다에 합류해서 일하고 있어요.

    Stanley: 안녕하세요. iOS개발자인 Stanley입니다. 2009년부터 개발 일을 해오고 있고요, 아이 둘과 고양이 한 마리를 키우고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커리어 여정을 소개해주세요!

    Clayton: 저는 학생창업으로 시작했어요. 스냅챗과 비슷한 SNS를 만들어서 중소기업청에서 투자도 받고, 대회에서 상도 받고 했는데 오래 가지는 못했어요. 그 후에 이런 걸 또 하고 싶으면 직장생활을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작은 벤처에서 첫 커리어를 시작했어요. 20명 내외의 기업용 SNS를 만드는 회사였는데 슬랙이나, 노션 같은 협업툴을 서비스해주는 곳이였죠. 그러다가 좀 더 큰 회사에서 일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벅스라는 음원 스트리밍 회사에 입사했어요.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였는데 음악 서비스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음악 플레이어, 플레이리스트 이런 것들을 전담하면서 다양한 경험도 하고 많이 배울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Dewey: 저는 다음에서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인 ‘마이피플’을 만드는 것으로 개발을 시작했어요. 다음이 카카오로 합병된 이후, 팀을 이동해서 티스토리와 브런치를 개발하는 일을 했죠. 그러다 인도네시아로 가게 됐어요. 인도네시아에서는 path 라는 SNS 앱을 개발했는데, 그때 Stanley를 만나서 지금까지 같이 일하게 되었죠. 그 이후에 다시 카카오로 돌아와서 ‘콘’이라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일을 했습니다. 그러다가 다시 베트남 배민으로 이동을 해서 2년가량 일하다가 지금은 콴다에서 iOS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Stanley: 저는 2009년부터 개발을 시작했어요. 첫 회사는 조금 작은 회사였는데 그때는 스마트폰이 나오기 전이라 WIPI 플랫폼을 선택하고 가 탑재된 피쳐폰에서 구동되는 브라우저를 개발했었죠. 2012년에 카카오로 이직해서 여러 신규 프로젝트들을 담당했고요, 카카오스토리에 잠깐 있다가 인도네시아로 갔어요. 한국에서는 신규 프로젝트들만 해오다 보니까 조금 더 글로벌 서비스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렇게 인도네시아에서 Dewey를 만나서 ‘path’, 한국으로 돌아와서 ‘콘’이라는 서비스도 같이 개발을 하고, 결국 배민에서 일하며 베트남까지 같이 가게 됐죠. 베트남 배민에서는 iOS개발을 한 건 아니고 리액트 네이티브를 개발하는 일을 했습니다. 그러다가 함께 콴다에까지 합류하게 되었네요.

    그렇다면 세 분이 콴다에 합류하시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Clayton: 전 회사에서 일을 하면서 많이 배웠지만, 시장 점유율이 낮아서 성장에 대한 갈망이 있었어요. 그때 이직에 대한 세 가지 조건을 세웠죠. 첫째, ‘J자 커브를 플랫폼을 선택하고 그리고 있느냐’, 둘째 ‘글로벌 서비스를 하고 있느냐’, 셋째는 제 신념과도 같은 건데 ‘주도적으로 일을 할 수 있느냐’ 였어요. 이 세가지 기준에 맞는 회사를 찾았는데 우연히 술자리에서 저희 팀의 PO인 Noah를 만났어요. 제 친한 직장 후배의 동기였거든요. 그런데 Noah가 “우리 회사 되게 좋아요. 이 세 가지가 딱 맞네요.” 라고 홍보를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Noah의 추천으로 입사를 해서 지금은 iOS 팀 리드를 맡고 있습니다.

    Stanley: 저는 신규 서비스도 많이 해봤고, 글로벌 서비스라고 볼 수 있는 서비스들도 해외에서 많이 맡아왔어요. 그런데 사실 인도네시아에서 소셜미디어 서비스나 베트남에서 O2O 서비스를 했던 것들이 사실은 또 다른 나라의 로컬 서비스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한국의 진짜 글로벌한 플랫폼 업체에서 일해보고 싶다고 생각했고, 그런 기업은 콴다가 거의 유일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콴다에 합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또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처럼 미국에서 나오지 않은 서비스가 글로벌한 플랫폼으로 성장한 사례가 거의 없어요. 하지만 교육에는 특수성이 있기 때문에 미국 서비스가 파고들지 못하는 정서적인 부분이 있다고 생각해요. 교육 플랫폼 쪽에서 콴다가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기도 했습니다.

    사실 제가 베트남에 있을 때 저희 콴다의 CTO인 Elon에게 이직 제의를 받았는데요, 그 얘기를 Dewey에게 하지 않았어요. 그런데 함께 출근하는 길에 Dewey가 저에게 먼저 콴다 괜찮은 것 같다는 이야기를 꺼내더라고요.

    Dewey: Stanley는 Elon하고 이야기가 오고 가던 중이었는데 제가 그걸 모르고 콴다 좋은 것 같다고 이야기를 꺼낸거죠. 저는 Stanley보다 2달 늦게 콴다에 합류했는데요, 물론 Stanley 때문에 이직한 것도 있지만 글로벌 서비스에서 큰 매력을 느꼈어요. 한국에서 서비스를 하면 한국 사람들만을 대상으로 생각을 하고 개발하게 돼요. 그런데 인도네시아에서 일하면서 한국의 생각으로 개발을 했더니 서비스적 측면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글로벌한 관점에서 사고하고 고민하다 보니 생각의 범위가 확실히 넓어지는 걸 느꼈어요. 이런 것들을 계속하다 보면 한국에만 갇혀 있지 않은 개발자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글로벌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회사인 콴다를 선택했습니다.

    세 분이 iOS 개발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무엇일까요?

    Clayton: 저는 학생 때부터 지금까지 쭉 iOS 개발만을 해왔어요. iOS는 굉장히 화면도 예쁘고, 속도도 빠르고 직관적이어서 마음에 들었죠. 한가지 문제가 있다면 맥북이 없으면 개발을 할 수 없다는 점이었는데 학교에서 저한테 맥북을 사주더라고요. ‘어 그럼 맥북이 있으니까 당연히 iOS를 해야겠는데?’ 하면서 자연스럽게 시작하게 된 것 같아요. 사실 그 때 당시에는 주위에 iOS개발을 하는 사람이 많지는 않았어요. 그런데 저는 대학생 입장에서 제 핸드폰에 바로바로 반영되는 게 너무 재미있어서 iOS를 선택했어요. 소개팅을 할 때 제가 만든 앱을 보여드리면서 “이거 제가 만들었는데 한번 보실래요?” 했던 기억도 있네요. (웃음)

    Dewey: 저는 대학원에서 음성 신호 처리를 공부했어요. 그래서 졸업 후 다음의 마이피플에서 음성 통화 쪽을 담당해서 일을 시작했어요. 그런데 이게 앱에 들어가는 시스템이다보니 자연스럽게 앱 관련 코드를 보게 되고 관련된 분들과 이야기도 많이 나누고 앱을 개발하시는 모습을 접하게 되었죠.
    당시에 저에게 개발 툴이라고 하면 굉장히 불친절하고 개발자들만 이해할 수 있는 그런 세계였는데 iOS개발자 분들이 Xcode를 사용하는걸 보고 놀랐었어요. 개발툴이 직관적으로 유저 친화적인 UX, UI 이런 것들이 구현이 되어 있었거든요. 또 코딩을 하면 바로 앱에 화면이 그려지는 앱개발이 재미있어 보이기도 해서 ‘이렇게도 코드를 짜고 개발할 수 있구나’ 라는 생각을 가졌죠. 때마침 운좋게 주위 분들이 개발을 해보라는 제안도 주시고 도와주셔서 ios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죠.

    Stanley: 사실 저는 개발을 전공하지는 않았어요. 원래 통신공학, 그러니까 하드웨어 부분을 전공했는데 학교 다니면서 책 읽는 걸 좋아했어요. 강남 교보문고에 가보니까 개발 서적 코너가 엄청 크더라고요. 소위 ‘간지’나는 그런 책들도 많았고요. (웃음) 그래서 개발 일을 하게 되면 평생 책을 읽으면서 일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개발자가 되었어요.

    그렇게 일을 계속하다가 처음 아이폰이 나오고 iOS를 공부했을 때 좀 충격을 받았어요. 제가 그 당시 브라우저 만드는 회사에서 일하고 있었는데, iOS는 그런 브라우저를 앱 상에서 띄울 수 있는 기본 기능이 있는 거예요. 기본 iOS환경에 웹 뷰라는게 기본적으로 포함이 되어 있어서 저희가 만드는 브라우저보다 훨씬 더 좋은 성능의 것들이 코드 한 줄이면 그냥 끝나는 상태였던 거죠. 그래서 이 곳에 미래가 있겠다 하는 생각이 들어서 저 혼자 열심히 공부도 하고 외부 프로젝트도 맡아서 하면서 iOS 개발쪽에 발을 들이게 되었습니다.

    콴다 iOS 팀의 구성은 어떻게 되어있나요?

    Clayton: 팀 리드인 저를 포함해서 Dewey, Stanley까지 시니어 개발자가 3명이 있고요, 주니어 개발자 4명에 이제 곧 신입 개발자 한 분이 더 합류하실 예정입니다. 총 8명으로 구성되어 있고요, 세부적으로는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어요. 시니어 개발자인 저와 Dewey, Stanley가 각 그룹을 맡아서 함께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조금 더 가까이에서 피드백도 주고받으면서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콴다 팀에 조인한 후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이 무엇인가요?

    Clayton: 저는 개발팀 리드모임이 기억에 남아요. 한 달에 한 번 정도 AI팀, Product development 팀 등 다른 팀 개발 리드분들과 자리를 가지는데 이야기를 들어보면 다들 정말 열심히 일하세요. 각자 팀에서 “우리는 이런 것도 했다”라고 자랑하기도 하시고요. 그래서 그런 이야기들을 들으면서 진짜 콴다에는 열심히 일하시는 분들이 많구나 자극도 받고 많이 배우기도 하는 것 같아요.

    Dewey: 저는 빌드 자동화를 만들어낸게 가장 기억에 남는 것 같아요.
    개발자들이 앱을 출시하거나 배포할 때 기존에는 각각 자기 컴퓨터에서 빌드를 돌리고 그걸 각자가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이뤄졌었어요.
    이제는 자동화를 통해 서버에서 빌드를 생성하고 배포함으로써 해당 과정에서 발생되는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없에고, 버전관리 같은 수동으로 처리했던 부분들도 자동화를 시켜 빌드 배포관련해서 개발자 사용했던 시간들을 많이 세이브 하고 개발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만들었어요. 이 빌드 자동화에 관해서는 저희 팀 Stat이 블로그 글을 작성하기도 했어요.

    대기업에서는 이런 것들을 관리하는 팀이 있고 자동으로 구축이 되어 있는 곳도 있어요. 저는 그런 편리함을 알고 있기 때문에 빌드 자동화가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이 들어 Clayton에게 자동화를 한번 해보겠다고 이야기하고 진행했어요. 제가 직접 제안을 해서 구현까지 이뤄냈기 때문에 기억에 남아요.

    Stanley: 저는 작년 8월에 팀에 합류해서 쭉 콴다과외 쪽을 맡아서 진행했어요. 그래서 아이패드용 앱을 출시했는데, 중간에 아이패드 수량이 부족해지면서 android 앱을 출시해야 하는 상황이 있었어요. 그때 한 달 만에 react native를 통해서 하나의 코드 베이스를 가지고 안드로이드 앱을 출시했죠. 저는 react native 기술이 비효율을 줄여주는 방향이라고 생각을 해요. 그래서 CTO나 PO 분에게도 계속 제안했고, 그 기술을 채택해서 안드로이드와 iOS가 하나의 코드 베이스로 돌아가게 수정을 했습니다. 콴다는 제가 어떤 기술을 선택함에 있어서 저의 판단이 합리적이라면 충분히 밀어붙일 수 있는 자유가 있는 곳이에요. 팀과 환경, 상황에 가장 맞는 기술을 주도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회사와는 다른 콴다만의 장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Clayton: 콴다는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인 만큼 해볼 수 있는 일들도 많고, 풀어야 할 과제도 많은 곳이에요. 대다수의 iOS 개발자들이 단순히 UI를 변경하는 업무가 많은 것 같아요. 하지만 콴다에서는 조금 더 주도적으로 높은 수준의 기술적인 도전을 해볼 수 있고, 열심히 한다면 성과도 가져갈 수 있는 그런 것들이 장점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Stanley: 콴다는 정말 젊은 조직인 것 같아요. 성장에 대한 열망도 크고 새로운 것들을 빠른 속도로 흡수해요. 새로운 것들을 받아들이는 데에 거리낌이 없기 때문에 신기술들을 정말 많이 접하고 적용해볼 수 있어요. 또 열정적인 분들 사이에서 일을 처음 시작했을 때의 그 마음, 순수한 열정을 잃지 않고 일할 수 있는 곳이라고 생각해요. 시니어 개발자로서 일을 하면서는 제 경험이 어떻게 이 곳에서 도움이 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많이 스스로 하게 되는 것 같아요.

    Dewey: 저도 Stanley와 비슷한 생각이에요. 여러 환경에서 일하며 많은 동료들을 만나왔지만 모두가 열정적이진 않았어요. 주어진 일만 하는 사람들도 많았는데, 콴다 팀의 멤버들은 정말 모두가 열정적인 것 같아요. 저도 어느덧 연차가 8년 차가 되었더라고요. 오래 일을 하다보면 초반의 열정이 사라지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열정이 없으면 안 될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들 정도예요. 그런 사람들 속에서 일하다 보니 끊임없이 더 공부하고 스스로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게 되는 것 같아요.

    iOS 팀의 퍼포먼스를 높이기 위해서 하시고 계시는 일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Dewey: 팀 내에서 그룹을 만들어서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어요. 신입이든 시니어든 함께 주제를 정해서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함께 공부하면서 알아가려고 하고 있어요. 대부분 스터디는 그냥 ‘공부한다’ 하고 끝나는 부분이 많아요. 하지만 저희는 주제 선정부터 정말 저희가 모르는 부분을 선택하고, 공부에서 끝나지 않고 ‘우리 서비스에 어떤 것들을 적용할 수 있을까’ 고민해요. 그냥 스터디에 그치는 게 아니라 이걸 이용해서 실제 성과까지 낼 수 플랫폼을 선택하고 있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 코드리뷰도 활발하게 진행하는데요, 이런 논의들을 부끄러움 없이, 탓하지 않고 문제를 공유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찾으려고 하고 있어요.

    콴다에서 이루고 싶은 목표가 있을까요?

    Clayton: 저는 콴다가 iOS 개발에서 선두 주자가 되는 서비스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목표가 있어요. 새로운 기능이 출시되었을 때, 누구보다 빠르게 적용해보고 유저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하는 스피디하고 iOS 최적화된 조직을 만들고 싶습니다. 또 WWDC (WorldWide Developers Conference)라고 애플에서 매년 개최하는 개발자들을 위한 컨퍼런스가 있어요. 그런 곳에 콴다가 best case로 소개되고, 애플 본사와도 협업해서 일하는 경험들을 해보고 싶어요. 사실 작년에 애플 측에서 저희에게 협업 제안을 보냈는데 여러 가지 상황상 진행하지는 못했지만 앞으로 꼭 진행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네요.

    Stanley: 제 목표는 콴다에 합류하게 된 이유와도 연결되어 있는 것 같아요. 저는 그동안 신규 서비스들을 많이 맡아서 일해왔고, 글로벌에서 어느 정도 성공한 서비스도 만들어 봤어요. 그렇지만 콴다에 합류하면서 세웠던 목표는 이거에요.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국이 고향인 글로벌 플랫폼 서비스를 꼭 성공시켜보고 싶어요.

    콴다의 비전이 왜 세분에게 중요한가요?

    Clayton: 저는 착한 비즈니스로 성공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어요. 콴다에는 선한 비전에 공감해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착한 사람들이 많이 있더라고요. 모두에게 평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자는 좋은 목표를 가지고 좋은 사람들과 이런 비즈니스를 성공시킨다면 오래오래 즐겁게 일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있어요.

    Dewey: 저는 동남아시아에서 일하면서 정말 열악한 교육환경들을 많이 봐왔어요. 사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가장 큰 차이는 교육환경에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질 좋은 교육을 받음으로써 더 다양한 사고를 할 수 있고 선택의 폭도 넓어지는데, 동남아에서는 제대로 된 교육의 기회조차 제대로 받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이 있더라고요. 콴다는 이런 문제들을 없앨 수 있는 회사인 것 같아요. 제가 이곳에서 일하면서 콴다의 비전을 성공시키면 그런 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어요.

    Stanley: 저는 저희 아이들이 생각이 나더라고요. 한국의 여러 고착화된 교육 방식들에 대해서 조금 불만이 있었는데, 저희 아이들이 받게 되는 교육의 환경을 바꾸는데 내가 하는 일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마지막으로 콴다 iOS 팀에 관심이 있는 예비 지원자들에게 한마디 부탁드려요.

    Clayton: 저희 iOS 팀에 오시면 프로젝트의 진행 속도에 놀라실 거에요. 합리적이기만 하다면 복잡한 절차나 보고 없이 바로 추진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습니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행하기로 마음을 먹는다면 바로 추진해볼 수 있는 기회가 분명히 있을 거에요. 또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회사인 만큼 개발적으로 성장하고 싶으신 분들, 다양한 경험을 하고 싶은 분들이 오신다면 많은 것들을 직접 제안해보고 경험해볼 수 있는 곳인 것 같습니다.

    Dewey: 콴다는 글로벌한 회사로 아직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것 같아요. 정말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고, 그 성장에 맞춰서 회사도 개발적으로 굉장히 많은 지원을 해 주고 있어요. 또 함께 일하는 동료분들도 모두 너무 열정적이시기 때문에 회사의 성장에 발맞추어 나 또한 함께 성장할 수 있을 거라고 확신합니다.

    Stanley: 한국 안에서 글로벌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고, 또 진정한 글로벌 경험을 할 수 있는 회사는 개인적으로 콴다가 유일하다고 생각해요. 콴다에서 일하면서 오히려 제가 해외에 나가 일을 했을 때보다도 더 글로벌한 경험을 하고 있다고 플랫폼을 선택하고 느껴요. 콴다는 글로벌한 마켓에서 넓은 시야를 가지고 서비스를 운영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플랫폼을 선택하고

    새로운 장정에 대분발丨산동을 선택클라우드 플랫폼을 잘 이용 대외 개방의 새로운 고지를 창조하도록 추진(2부)

    来源:대중망· 포스터 뉴스 2021-03-09 11:10

    图片1.png

    '산둥을 선택' 클라우드 플랫폼 글로벌 홍보대사 포스터

    "세계 60만 기업인이 참가하는 온라인 세미나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다!"오스트리아와 중국의 상업협회 및 유럽중문화교육과학협회 회장인 조지 장거 교수는 '산둥을 선택하자'는 국제 경제무역 협력 클라우드 로드쇼를 극찬했다.이 중에 2020년 클라우드 플랫폼은 양질의 협력사업 138개로 '10대 산업'이 53%, 외국인 투자사업이 37개로 26.8%를 차지했다.

    "서비스를 정교하게 처리하여 광범위한 중외 상인들의 투자 중 골칫거리, 난점을 잘 해결하는 것이 우리 업무의 중점과 관건이다."김소봉 성 국제투자촉진센터장이 말했다.2020년에는 클라우드 플랫폼 사업 전담반원들이 910여 차례에 걸쳐 화상·전화로 프로젝트를 추진했고,310여 명을 오프라인으로 배치해 중점사업 19개를 추진했고, 6건의 계약을 추진했으며 60억여 위안을 투자했다.

    " '산동을 선택' 유치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왕홍은 기자 회견에서 '14.5'(제14차 5개년 계획) 기간에는 '산동을 선택' 글로벌 시리즈 소개 활동을 조직하여 실시해야 하고,중점 투자 유치 국가와 지역을 선정해 특집을 열고, 산둥성의 투자 유치 브랜드 이미지를 형상화한다고 말했다.

    김소봉은 기자에게 어떻게 쌍끌이 작업을 잘하여 "산둥을 선택" 클라우드 플랫폼의 탑재체와 브랜드 우위를 발휘할 수 있는지 알려주었다. '14.5'(제14차 5개년 계획) 기간 클라우드 플랫폼은 닻을 높은 품질로 발전시켜 높은 수준의 대외 개방을 할 수 있게 하고, 대한일 투자 유치 역량 강화에 힘쓰고,자원 통합, 국제 보급, 프로젝트 연계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끊임없이 깊이 갈고,산둥성의 투자 유치하고 인재를 불러모으는 '가속도'를 뛰어넘는 것을 조력한다.

    김소봉이 "최적화된 클라우드 플랫폼의 기능 섹터를 끊임없이 보완하는 기초로, 전 성의 투자 촉진 기구의 연동 메커니즘을 모색하고 관련 자원을 통합하고,각 구성원 단위 간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여 성, 시, 현에서 공단 투자 촉진 기구에 이르는 연락 통로를 뚫고,산둥성의 투자 유치하고 인재를 불러모으는 '가속도'를 뛰어넘는 것을 조력해 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성공적으로 체결됨에 따라서 산동성에 RCEP 지방 경제무역 합작 선행구 건설 계획이 앞당겨졌고,중·유럽 투자협정, '일대일로' 공동건설, 한·중·일 지역경제무역협력 시범지구 등 굵직한 호재가 쏟아진 것은 더 나아가 '산동을 선택' 클라우드 플랫폼은 글로벌 시야를 강화하고, 글로벌 판도를 넓힐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산동을 선택' 클라우드 플랫폼은 올해 차세대 정보기술·스마트제조·스마트오션·바이오의약품·의료건강·신소재 등 산업 사슬의 합작 루틴을 출시하겠다.이 중 3월 말에는 '차세대 정보기술 산업체인 온라인 협력회'가 개최할 것이고,세계 500대 기업 및 선도기업, 국제상협회, 산동중점기업 등을 초청해 산둥성의 차세대 정보기술 산업 신고지를 육성하는 것이다.

    김소봉은 또 항목 도킹에 대해 클라우드 플랫폼은 스마트제조업 등 중점산업을 중심으로 '산둥을 선택' 특화 단지 내 정교한 투자 유치 시리즈를 개최하고,산업 사슬의 상하류 기업을 초청하여 소개와 도킹을 하고,산업 사슬의 정교한 조명을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거센 바람 물결 헤칠 그날은 꼭 오려니, 구름 같은 돛을 달고 창해를 건너린다.제14차 5개년 계획의 새로운 출발점에 서서,'높은 수준의 개방을 전면 확대해 대외 개방의 새 고지를 만들겠다'는 청사진은 치루 대지에서 펼쳐지고 있는다.

    어트리뷰션 플랫폼을 선택하는 방법 (그리고 잘못 선택하는 경우의 위험성)

    백년이 더 지났지만, 상황은 지금도 그리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오늘날 마케터는 그 어느 때보다 많은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지만, 오히려 이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쓰레기가 들어가면 쓰레기가 나옵니다. 마케팅 BI와 팀이 얼마나 능숙한지는 상관없습니다. 의사 결정 입력 파라미터가 잘못되면 의사 결정의 결과도 잘못되게 됩니다.”결과적으로, 마케터는 본인도 알지 못한 채 나쁜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날 마케팅에서 데이터 어트리뷰션은 모든 결정의 기반입니다. 마케터도 이를 알고 있지만, 어트리뷰션 플랫폼이 제품 안정성, 보안, 지속성, 사용자 프라이버시라는 형태로 회사 전체에 거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는 마케터는 많지 않습니다.

    “쓰레기를 넣으면 쓰레기가 나옵니다. 마케팅 팀이 얼마나 똑똑하든 상관 없습니다. 의사 결정을 위한 측정 지표가 잘못되면, 의사결정 결과도 잘못됩니다.”

    어트리뷰션 플랫폼과 같이 마케팅에 필수적인 도구를 선택할 때에는 다섯 가지 요소를 유념해야 합니다.

    1. 핵심 요소: 보안, 프라이버시, 안정성
    2. 데이터 정확성: 과잉 어트리뷰션 및 Fraud 방지
    3. 혁신, 시장 선도 여부 및 핵심 기능
    4. 경험
    5. 제품 로드맵 및 비전

    1. 핵심 요소: 보안, 프라이버시, 안정성

    어트리뷰션 플랫폼에 문제가 생기면 모든 일에 문제가 생깁니다. 이메일, 웹사이트, SMS 프로모션에 포함된 상품 링크를 비롯해 연관된 캠페인 전반이 불능 상태가 되어버립니다. 이는 마케팅을 전개하는 회사들에 재앙과 같은 상황입니다.

    게다가 어트리뷰션 플랫폼은 엔드 유저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플랫폼에서 보안 위반사항이나 잠재적 취약점이 발생하면 이를 활용하는 회사와 고객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습니다. 제품 보안 및 프라이버시 컴플라이언스의 강력함은 어트리뷰션 플랫폼의 능력에 비례합니다. 즉, 어트리뷰션을 현명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그리고 어트리뷰션 제공업체 측에서 보안 관련 이슈가 일어난다면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제품의 보안과 개인정보보호 수준은 사용하는 어트리뷰션 플랫폼 수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안, 프라이버시, 안정성은 모두 매우 중요하며, 고객 데이터에 접근하는 모든 관계사에 대해 정기적 실사를 수행하는 등 극도의 주의를 기울여 대응해야 합니다. 특히, 어트리뷰션 파트너가 정말로 독립적이고 비편향적인지 ,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의 일부로 여러분의 데이터를 거래하고 있지는 않은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앱스플라이어는 이러한 핵심 영역에 지속적으로 투자해왔으며, 가장 엄격한 수준의 보안과 프라이버시 인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SOC2 type 2, TRUSTe, ePrivacy, GDPR, ISO27001, ISO27017, ISO27018, CSA STAR(레벨 1) 등이 있으며, 추가로 COPPA 요건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어트리뷰션 제공업체 보안 및 프라이버시 컴플라이언스

    2. 데이터 정확성: 과잉 어트리뷰션 및 프로드(fraud) 방지

    마케팅팀이 부정확한 데이터 에 기반해 가장 핵심적인 결정을 내리고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인식조차 못한 채 잘못된 곳에 마케팅 비용을 쓰고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저는 과거 Fruad와 과잉 어트리뷰션의 맥락에서 마케팅 비용 악순환에 관한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머신 러닝과 AI는 프로드와 싸울 때 반드시 필요하지만, 알고리즘 훈련과 새 Fraud 형태 탐지에 필수적인 대규모 데이터가 없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면서 확실히 자리를 잡은 성숙한 플랫폼과 협력해야 Fraud 방지 측면에서 시장 전반의 인텔리전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드가 야기하는 죄수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앱스플라이어는 프로드 없는 생태계를 만드는 데 전념하고 있으며, 플랫폼에서 악의를 가진 주체를 제거하고 있습니다. 이는 4천 개 이상의 연동 파트너에게도 똑같이 적용되며, 이들 역시 프로드에 대해 우리만큼 심각하게 대응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저희의 파트너사들 역시 앱스플라이어 고객에게 특별히 주의를 기울이게 됩니다.

    3. 핵심 프로덕트

    핵심 프로덕트나 인사이트가 부족한 경우, 이는 잘못된 의사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세분화된 데이터멀티터치 어트리뷰션 이 활용 불가능하다면 유저가 앱을 발견하기까지의 여정을 제대로 알지 못하여 잘못된 결정을 내릴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모바일 앱라이브 얼럿(Live Alerts) 기능이 없다면 즉각적인 주의를 요하는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 유효성 검증(Validation Rules) 기능이 없으면 지불 대상에 대한 유효성을 자동으로 검증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적절한 딥링킹 이 없으면 사용자의 웹-투-앱 여정을 개선하기 어렵고, 리인게이지먼트 캠페인 실행을 할 수 없게 됩니다.
    • 실시간 데이터 가 부족하면 디퍼드 딥링킹을 실행할 수 없으며, 이는 열악한 UX와 수익 낭비로 이어집니다.
    • 오디언스 세그멘테이션 이 부재하면 유사한 오디언스 생성과 데이터 활용을 통한 리인게이지먼트 캠페인을 전개할 수 없습니다.
    • 앱 삭제 측정 기술이 부족하면 잘못 유입되는 캠페인/크리에이티브, 열악한 UX나 사용자의 앱 삭제를 야기하는 기타 심각한 문제들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게 됩니다.
    • 피봇(Pivot)커스텀 대시보드 가 없으면 주요 이해 관계자들과 다양한 층위의 리포트 밑 분석을 공유하기 어렵습니다.
    • 광고 수익 측정 을 하지 않으면 실제 수익 및 ROI 측정이 어려워 올바른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없습니다.
    • 클릭 및 임프레션 룩백 윈도우 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없으면 캠페인 목표 설정이 어렵고, 이는 손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예약 보고서 기능이 없으면 팀원들의 시간을 낭비하고 업무만 늘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현재로서는 TV 캠페인을 시작할 계획이 없더라도, TV 어트리뷰션 기능이 아예 없다면 가능성조차 탐색하지 못할 것입니다.
    • 옴니채널 LTV 분석이 불가한 경우 캠페인의 실제 ROI 측정이 어렵습니다.

    앱스플라이어가 실시한 내부 조사에 따르면, 다른 어트리뷰션 서비스 제공업체를 통해 집행된 마케팅 예산 중 20~50%가 위에 나열된 이유 때문에 낭비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4. 경험

    마케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철저하고 전문적인 온보딩 프로세스와 우수한 서비스가 중요하며, 이는 성공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진행 과정에서 무언가가 잘못 구현되면 막대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해결하기까지의 과정이 길고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특히 어트리뷰션 플랫폼은 그 성격상 한 번 사용하기 시작하면 오랫동안 이를 유지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내린 결정이 좋든 나쁘든 향후 몇년 동안 개인과 팀, 비즈니스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고객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회사로서 고객에게 앱스플라이어 경험 을 제공하는 것은 우리의 핵심 가치입니다. 앱스플라이어 고객 성공 매니저와 서포트 엔지니어는 고객의 성공을 돕는 데 전적으로 매진합니다. 앱스플라이어는 끊임없이 고객, 파트너, 시장, 친구, 가족, 사회를 놀라게 할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앱스플라이어 경험이 우리에게 의미하는 바입니다.

    5. 제품 로드맵 및 비전

    고객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는 것은 앱스플라이어가 언제나 장기적인 측면을 고려하며, 지속적으로 시장을 선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케터들의 최우선 플랫폼으로서 앱스플라이어는 고객, 파트너 및 시장 전반에 대한 의견 청취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의견 반영이 없다면 고객을 위한 최상의 제품을 (심지어 그 고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기도 전에) 만들어낼 수 없을 것입니다.

    많은 기업들이 앱스플라이어를 선택하는 이유 중 하나는 앱스플라이어가가 모든 단계에서 맞춤식 기술을 제공하고, 혁신하고, 기대를 뛰어넘는 성과를 내줄 것이라는 불문율 같은 약속 때문입니다.

    앱스플라이어의 최우선 순위는 마케터가 언제나 시장의 첨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2019년 2월 19일에 앱스플라이어는 마케터가 대중 앞에 부상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요약: 위험 및 보상

    위험을 감수하면서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는 균형점을 잡아야 합니다. 업계 1위의 어트리뷰션 플랫폼을 선택하여 안전한 경로와 높은 수익을 보장할 수 있는 상황에서 불확실한 수익과 불필요한 위험을 감수하시겠습니까?

    리스크가 높을수록 기대 수익도 높아집니다. 룰렛 게임에서는 빨강/검정 내기와 같은 ~½ 확률 게임에서 2배의 수익을 기대하고, ~1/36 확률 게임에서 36배의 수익을 기대합니다.

    도박에서는 확률을 극복할 수 없지만, 비즈니스와 커리어에서는 도박꾼이 아니라 집처럼 생각해야 합니다.

    앱스플라이어는 언제든지 여러분에게 더 유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어트리뷰션의 미래를 건설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2월 19일에 다시 방문하여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Oren Kaniel

    오렌 카니엘은 앱스플라이어의 공동 설립자 겸 CEO 입니다. 모바일과 관련된 것이라면 무엇이든 좋아하며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경청하고, 발언하는 사람입니다. 이스라엘 테크니온(Technion) 공과대학교 컴퓨터 공학과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Cum Laude)한 후, 펜실베니아 대학 와튼 경영대학원 교환학생으로 IDC(현 Reichman University)에서 MBA 학위를 받았습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