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들의 종류와 의미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17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캔들 해석하기 (양봉과 음봉)

연구과제 상세정보

레이코프와 존슨(Lakoff/Johnson, 1980) 이후 은유표현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가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있었고 그 결과는 일상 언어생활 속에서 우리의 사고체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은유적인 표현은 비단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전문영역의 의사소통 .

레이코프와 존슨(Lakoff/Johnson, 1980) 이후 은유표현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가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있었고 그 결과는 일상 언어생활 속에서 우리의 사고체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은유적인 표현은 비단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전문영역의 의사소통에서도 적절히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식시장 분석에서 사용되는 은유표현들을 수집하여 전문영역의 지식과 은유세계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고 전문영역에 특화된 사고체계를 간접적으로 유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식시장 주가분석 중 특히 차트분석에서 사용되는 은유표현에 집중하면서 특정 전문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체계를 구체적으로 기술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증시분석 보고라는 특정 텍스트종류 내에 사용된 은유표현을 특징지었기 때문에 실증연구로 자리매김 되며 이로써 증시언어를 세분화하는 데도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이는 전문어연구 분야에 새로운 연구결과를 추가하기 때문에 전문어 전반적인 조망을 할 .

본 연구결과는 증시분석 보고라는 특정 텍스트종류 내에 사용된 은유표현을 특징지었기 때문에 실증연구로 자리매김 되며 이로써 증시언어를 세분화하는 데도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이는 전문어연구 분야에 새로운 연구결과를 추가하기 때문에 전문어 전반적인 조망을 할 때 실증적인 사례로 조망에 대한 설득력을 증대시킬 것이다. 방법론적으로 텍스트언어학과 의미론 분야의 이론을 실제 분석에 적용시키면서 이론과 실제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사례로도 자리매김 될 것이다.
여러 분야가 전문화되면서 사회공동체 내 구성원들 사이의 소통이 힘들어지고 있다. 특히 금융 분야에서는 선진기법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그만큼 사회구성원들 사이의 소통에 있어 단절이 심화되고 있다. 그런 만큼 의사소통문제를 연구하는 언어학자는 관련분야 기초연구를 통해 단절의 깊이를 줄이는 데 일부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이점에서 어렵게만 느껴지는 증시분석의 일부를 일반인도 납득할 수 있게 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특히 은유적인 표현은 우리 체험세계에 기초하기 때문에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을 기반으로 전문지식에 접근할 수 있어 전문인과 비전문인 사이의 정보 갭을 줄이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결과는 또한 실용텍스트를 분석했기 때문에 교육을 통해 증시에서 이해관계자들의 텍스트이해력을 제고시키는 데 직접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전문가 집단의 텍스트이해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필요하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안이다. 이해관계자집단의 구성과 교육할 내용의 범위에 따라 맞춤식 교육도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둘째, 통·번역 업무종사자에게도 참고자료 내지 교육프로그램 자료로 본 연구 결과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어, 한국어에 국한시켰지만 교류지역은 필요에 따라 보충연구를 통해 더 확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국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세계금융시장에서의 사건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국내 이해관계자들에게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체계를 수립하는데 일조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본시장에서 캔들의 종류와 의미 전문가와 비전문가 사이의 의사소통장벽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자본시장을 분석하는 도구인 기술적 분석에서 나타나는 은유표현의 체계를 기술하면서 전문가들의 사고체계를 간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고 이를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본시장에서 전문가와 비전문가 캔들의 종류와 의미 캔들의 종류와 의미 사이의 의사소통장벽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자본시장을 분석하는 도구인 기술적 분석에서 나타나는 은유표현의 체계를 기술하면서 전문가들의 사고체계를 간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호 이해수준을 높여 본 연구의 목적에 이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내용으로는 연구자료 확보와 연구주제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이어서 연구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주가의 기술적 분석에 관한 자료는 크게 단행본, 보고서 및 증권상담사가 제공하는 상담내용 등에서 고루 수집될 수 있다. 이들 자료는 독일 및 한국의 경우 모두 쉽게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수집상에 어려움은 없다. 이들 자료원으로부터 예문들을 발췌하여 연구 자료로 삼고 이들 자료를 참고로 연구주제들을 다룰 것이다. 예문발췌에는 텍스트종류와의 관련을 확인하기 위해서 일회성보다는 빈도수가 높은 은유표현을 고려할 것이다.
연구주제는 차트분석에서 나타나는 봉 및 이평선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은유표현들과 차트분석에 고유한 사고체계 사이의 관계를 유추하는 것이다. 추가로 차트분석 중에 함께 나타나는 다른 은유적인 표현도 텍스트형성에 기여하는 정도에 따라 주제로 다룰 것이다. 최종적으로 연구결과는 차트분석 텍스트로 구성된 텍스트종류의 특징 속에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이로써 은유표현의 목록과 여기서 유추될 수 있는 사고체계에 대한 연구결과는 텍스트종류의 제한 조건을 함께 고려할 때 그 설명력을 더욱 높일 것이다.
이런 연구주제들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레이코프/존슨(Lakoff/Johnson, 1980)의 개념적 은유와 브링커(Brinker, 1992)의 텍스트종류 분석모델에 기초한다.
레이코프/존슨의 개념적 은유모델은 소개된 지 현재기준으로 30여년이 지났지만 은유표현을 기술하는데 여전히 설득력을 갖는 유용한 모델이다. 레이코프/존슨은 초판발행 이후 캔들의 종류와 의미 20여년이 지난 2003년 수정판을 내면서도 내용 변화는 거의 없고 저자 후기만을 추가하였다. 이들은 개념적 은유모델에 대한 여러 분야에서의 후속연구를 소개하면서 개념적 은유의 증거를 확신했다. 우리의 근본적인 개념의 대부분은 은유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구성되고 이 은유는 우리의 체험에 기초한다고 보았다. 레이코프/존슨은 개념적 은유를 다시 구조적 은유(structural metaphors), 지향적 은유(orientational metaphors), 존재론적 은유(ontological metaphors)로 세분화했다. 이런 세분화는 은유표현을 개체와 체계 및 방향의 관점에서 좀 더 유연하게 해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은유표현에 대해서도 개체로서 혹은 하나의 체계 속에서 또한 방향의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분석을 시도하면서 최선의 결론을 도출할 것이다.
브링커(Brinker, 1992, 126-143)는 텍스트종류 분석모델로 상황, 기능 및 구조 등의 층위를 동시에 고려하는 통합모델을 소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자료가 추출된 텍스트를 특히 상황과 기능의 층위에 따라 기술하고 구조층위에서는 은유표현 분석에서 나온 결과가 상황과 기능에 적절하게 조응하는 지에 더 관심을 둘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식시장의 기술적 분석에 자주 나타나는 은유표현을 수집하고 분류하면서 이 분석 텍스트에 특화된 은유표현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로써 관련 텍스트를 좀 더 효율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가는 종종 생명체에 비유되어 살아나다 .

본 연구에서는 주식시장의 기술적 분석에 자주 나타나는 은유표현을 수집하고 분류하면서 이 분석 텍스트에 특화된 은유표현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로써 관련 텍스트를 좀 더 효율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가는 종종 생명체에 비유되어 살아나다, 캔들의 종류와 의미 죽다 등 은유적으로 표현되며 주가세력 간의 힘겨루기는 매도세와 매수세 간의 전쟁에 비유되기도 한다. 캔들 패턴명칭도 주가의 이런 속성을 반영하여 생명체와 전쟁 등에 비유된다. 사물의 모양에 비유되기도 한다. 은유적인 캔들 패턴명칭은 소통수단으로 상당히 유용하며 이에 인식기능까지도 더하여 주가 예측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which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by the technical analysis of stock market. Hereby, it’s expected to understand the related text more efficiently. Stock prices are often liken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which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by the technical analysis of stock market. Hereby, it’s expected to understand the related text more efficiently. Stock prices are often likened to living things and expressed metaphorically like to revive or to die. The weights and the counterweights of the seller and the buyer are also likened to the war. Similar to the metaphorical property of stock prices, the name of the candlestick patterns is likened to the living things and the war. It is also likened to the things. The metaphorical name of the candlestick patterns is quite useful as a means of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is,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metaphorical names is judged to contribut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ediction for the stock prices.

본 연구에서는 주식시장의 기술적 분석에 자주 나타나는 은유표현을 수집하고 분류하면서 이 분석 텍스트에 특화된 은유표현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로써 관련 텍스트를 좀 더 효율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런 은유표현은 발원지인 영어권을 중심 .

본 연구에서는 주식시장의 기술적 분석에 자주 나타나는 은유표현을 수집하고 분류하면서 이 분석 텍스트에 특화된 은유표현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로써 관련 텍스트를 좀 더 효율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런 은유표현은 발원지인 영어권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어와 독일어에서 어떻게 수용되는지도 비교하면서 주식시장에서 통용되는 은유표현의 글로벌 시각과 지역적인 특수성도 알아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수집된 캔들 패턴명칭을 유사하거나 대칭이 되는 캔들 패턴에 따라 분류하고 이들 분류를 중심으로 캔들 패턴과 명칭 사이의 관계를 유추하면서 은유적인 의미와 역할을 논의한다. 은유의 역할로는 의사소통 기능과 인식의 기능을 생각할 수 있다. 은유표현을 찾아내는 방법으로는 레이코프/존슨(Lakoff/Johnson, 1980)의 개념적 은유가 유용하다.

캔들 하나에는 시가, 종가, 고가, 저가와 같은 정보를 내포하고 있어 일정기간의 주가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캔들의 연결은 이런 주가의 변동을 감지하는 데 유용하다. 주가의 변동은 크게 상승과 하락, 횡보 등으로 요약할 수 있는 데 상승에서는 저점이 계속 높아 .

캔들 하나에는 시가, 종가, 고가, 저가와 같은 정보를 내포하고 있어 일정기간의 주가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캔들의 연결은 이런 주가의 변동을 감지하는 데 유용하다. 주가의 변동은 크게 상승과 하락, 횡보 등으로 요약할 수 있는 데 상승에서는 저점이 계속 높아지는 것으로 하락에서는 고점이 계속 낮아지며 횡보에서는 변동이 거의 없는 것에서 추세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주가는 종종 생명체에 비유되어 살아나다, 죽다 등 은유적으로 표현되며 주가세력 간의 힘겨루기는 매도세와 매수세 간의 전쟁에 비유되기도 한다. 캔들 패턴명칭도 주가의 이런 속성을 반영하여 생명체와 전쟁 등에 비유된다. 다만 주가가 상승전환 할 때와 하락전환 할 때 캔들 패턴이 같은 데도 다른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망치형과 교수형, 역망치형과 유성형이 그렇다. 교수형은 죽음을 유성형도 급속히 하락하면서 죽는 장면을 연상시킨다. 이런 은유적인 표현을 통하여 하락반전을 확실하게 각인시키고 있다. 캔들이 연속되어 만들어지는 복합 캔들에서는 양봉과 음봉의 위치가 서로 바뀌면서 상승반전과 하락반전에서 서로 대칭의 모습을 갖는다. 이때에도 서로 다른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샛별형과 석별형, 관통형과 흑운형이 그 예이다. 샛별은 아침에 뜨면서 빛의 세계로 석별은 밤에 뜨면서 어둠의 세계로 들어가기 때문에 각각 삶과 죽음으로서 주가의 상승반전과 하락반전을 은유적으로 암시한다. 이외에도 캔들 패턴명칭은 단순히 사물의 모양에 비유되기도 한다. 캔들 패턴명칭은 각 상황에 맞게 은유적인 표현을 활용하면서 소통수단으로 상당히 유용하며 인식기능까지도 더하여 주가 예측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은유의 원천이 타 언어권에서 어떤 방식으로 수용되어야 하는지 규범적으로 규정할 수는 없다. 캔들 패턴명칭은 언어공동체 구성원이 자연스럽게 수용하는 방식으로 점차 정착되어 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언어공동체가 수용하는 캔들 패턴명칭은 기술적으로 추적할 수 밖에 없다.
주가의 기술적 분석에서 캔들 패턴명칭은 주가의 변동을 파악하고 전달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다만 이를 기계적으로 암기해서 습득하는 것은 캔들 패턴을 분석의 도구로 활용하는 데 바람직하지 못하다. 암기된 지식만으로 실제 분석에서 잘 적용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캔들 패턴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명칭의 의미를 함께 익힐 때 학습효과도 증진될 것이다. 캔들 패턴과 그 명칭의 관계는 본 연구에서 다루었던 캔들 패턴명칭의 은유적인 배경을 활용하면 더 친근하게 학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식 차트 해석과 캔들 기초 지식 정리 (양봉, 음봉, 시가, 종가, 이동평균선, 거래량)

차트는 수십~수백만 건의 거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봉 하나에 말이죠. 이 아이디어를 구현한 사람은 천재인 듯 합니다. 숫자가 아니고, 그림이라 직관적입니다. 하지만, 주식을 처음하는 주린이 입장에서는 캔들을 이해하는게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정보가 담겨있기 때문이죠. 아래 이미지를 통해 보겠습니다.

캔들 보는 법, 양봉, 음봉

캔들 해석하기 (양봉과 음봉)

A. 양봉과 음봉

가장 기본적으로 빨강색은 양봉(+)이라고 부르며, 파랑색은 음봉(-)이라고 부릅니다.

양봉은 가격이 올랐다는 것을 의미하며, 음봉은 가격이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올랐거나 떨어졌다는 기준점은 어디일까요?

바로 그 기준점을 시가라고 부릅니다.

B. 시가와 종가

시가는 주식시장이 9:00 정각에 딱 개장하였을 때 가격입니다.

그리고 이와 대비되어, 주식시장이 딱 마감하였을 때 가격은 종가라고 부릅니다.

시작가와 종결가라고 이해하시고, 줄여서 시가, 종가라고 부르시면 됩니다.

사진에서 왼쪽의 빨강색 양봉의 경우, 주식시장이 캔들의 종류와 의미 열릴 때 가격을 4,000원으로 시작했는데, 종료되었을 때 가격이 6,000원이어서 개장 이후, 가격이 시가보다 상승한 상태로 종료되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빨강색 양봉으로 표시 됩니다.

반대로 오른쪽의 파란색 음봉은, 주식시장 개장 시에 가격이 6,000원이었는데 장마감 할 때는 4,000원 이어서 개장 이후 가격이 시가보다 하락한 주가로 마감되었으므로 파랑색 음봉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저 가느라선 선은 뭔가요?

C. 고가와 저가 (윗꼬리, 아랫꼬리)

캔들에서 가느다란 선은 흔적으로 보시면 됩니다. 가격이 캔들의 종류와 의미 가느다란 선 끝지점의 가격까지 갔다가 돌아왔다고 이해해 주시면 됩니다. 즉 장이 개장하고 마감할 때까지 그 시간 사이에 주식 가격이 위쪽 가는 선(윗 꼬리)의 끝부분 만큼 가격이 높아졌었고, 그걸 고가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반대로 아래쪽으로 가는 선(아랫 꼬리)는 그만큼 가격이 하락했다가 올라온 것을 뜻합니다.

주가가 높아지려면, 윗꼬리는 짧고 아랫꼬리는 길게 뽑히는 양상이 좋습니다. 윗 꼬리가 짧다는 것은 가격이 높아졌다가 다시 내려오지 않고 높은 상태를 유지하거나 계속 상승을 했다는 것을 뜻합니다. 아랫 꼬리가 긴 것은 가격이 저 아래까지 하락을 했지만, 매수하는 사람이 많아서 그 꼬리의 길이만큼 회복 상승을 했다는 것이므로, 해당 주식에 매수신호가 붙어다는 것을 감지하는 시그널로 볼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 보는 법

주식 차트를 분석 할 때 또 하나 많은 사람들이 보는 지표가 바로 이동평균선 입니다. 이동평균선은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평균을 점으로 찍어서 이은 선입니다. 캔들은 봉 하나하나가 여러 가지 정보를 담고 있지만, 이동평균선은 하나의 곡선으로 담겨있는 정보량은 캔들보다 못하지만 한눈에 더 직관적인 추세나 패턴을 보기 위해서 참고용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동평균선 자체만으로 공식에 기법에 별의별 이름을 다 갖다붙여서 화려한 분석과 강의를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찾아보세요.

이동평균선이 그려지는 원리는 간단합니다. 며칠 이동평균선이냐에 따라 다른데, 20일 이동평균선, 60일 이동평균선 이런 식으로 며칠을 평균내어 점 하나를 찍을 것인지 기준이 필요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짧게 3일 이동평균선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보겠습니다.

8/2(월) 8/3(화) 8/4(수) 8/5(목) 8/6(금) 8/9(월) 8/10(화) 8/11(수)
주가 1,000원 1,100원 1,200원 1,300원 1,600원 2,000원 1,400원 900원
이동평균선 3D 1,100원 1,200원 1,367원 1,633원 1,667원 1,443원

8/4 시점의 3일 이동평균선 점은 8/2~8/4까지 3일치 주가의 평균인 1,100원 됩니다.

마찬가지로 8/5 시점의 3일 이동평균선 점은 8/3~8/5 동안의 주가 평균인 1,200원이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3일치 주가의 평균 점을 주욱 구하고 하나의 선으로 이으면 이동평균선이 됩니다.

이동평균선 보는 법

초록색과 빨간색의 이동평균선들

A. 골든크로스

이동평균선을 논할 때 골든크로스라는 개념을 접하게 됩니다. 낮은 기간의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을 아래에서 위로 뚫고 지나갈 때에 골든 크로스라고 부릅니다. 골든 이라는 단어가 붙은 것처럼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합니다. 장기적인 추세와 평균보다 갑자기 단기간에 가격이 상승했다는 캔들의 종류와 의미 뜻입니다. 1,000원, 1,010원, 1,020원 장기적으로 이런 +10원의 속도와 추세로 변화하던 주가가 갑자기 +500원, 1000원씩 급등하게 된다면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돌파하여 골든 크로스라고 부르며, 급등 현상을 보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B. 데드크로스

아래에서 위로 돌파가 있으면, 반대로 위에서 아래로 뚫고 내려가는 것도 있습니다. 이것을 데드크로스라고 부릅니다. 그동안의 추세보다 단기적으로 더 좋은 수식을 내고 있었는데 갑자기 급락하게 되는 상황을 맞이하면 단기적인 평균값들이 같이 급락하면서 하락장을 보게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을 많이들 합니다.

슬픈 나의 투자 실패기, 짜증나는 세상

언제쯤 나는 돈을 버는 개인투자자가 될 수 있을까? 언제쯤 이라니. 사회에서는 가만히 기다린다고 학창 시절처럼 다음 학년으로 진급되는 게 아니다. 성적이 나쁘면 현재 학년도 유지 못하고

트레이딩 이론 : 싸움의 흔적 도지 캔들 (Doji candle)

저자는 차트란 시장을 바라보는 심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산물이라고 생각한다. 동일한 하나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심리가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하나의 데이터가 되고 또 그것이 하나의 역사가 된다.

오늘 다룰 내용은 매수심리와 매도심리가 팽팽하게 싸우는 흔적이 되는 도지캔들 이다.

도지(どうじ)는 동시에 라는 의미를 가지는 일본어로써 동시, 같은 때, 같은 시각을 표현하는 명사이다. 즉, 도지캔들은 시가와 종가가 거의 일치하는 캔들을 말하는 것이다.

십자가모양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시가가 종가가 일치한다는 것은 위아래꼬리(고가, 저가)안에서 각기 다른 방향을 가진 두 세력의 힘이 균형을 이루며 서로 밀고 밀리며 대립했다는 증거가 된다.

도지캔들은 등장하는 위치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하고 그에 따른 접근방법도 다양해 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동의 하단부에서도 등장하는 도지캔들은 매도심리와 지지선을 지키려는 매수심리가 대립한 흔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파동의 하단부인만큼 매도심리가 우위를 점하며 내려왔기 때문에 도지캔들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면 지지하는 세력이 강하다는 심리가 나타나게 된다.

그렇다면 새로운 매수심리가 개입될 가능성이 생기고 투자자는 이를 매수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위와 반대로 도지캔들이 등장한다면 반대로 해석이 가능하다.

파동의 상단부에서 등장한다면 매수심리와 저항선을 지키려는 매도심리가 대립한 흔적이고, 파동의 상단부이기에 매수심리가 우위를 점하며 상승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저항선 부근에 도지캔들이 여러번 등장한다면 파동의 상단부를 강한 저항선이라고 생각하는 심리가 늘어날 것이고, 그렇다면 기존의 매수했던 세력은 수익을 실현하려는 새로운 심리가 지배적일 것이고 투자자는 이것을 매도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도지캔들의 종류

도지캔들은 한가지의 모양이 아닌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그 중 첫 번째가 긴십자형도지 캔들(Long-legged Doji Candle)이다.

긴십자형 도지캔들은 일반적인 형태의 도지캔들과 시가 종가차이는 같으나 고가와 저가의 차이가 일반 도지캔들에 비해서 큰 폭으로 발생한 캔들로 일반 도지캔들보다 두 세력이 큰 싸움을 벌였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등장위치에 따른 접근방법은 일반 도지캔들과 동일하게 해석할 수 있으나 긴십자형캔들은 일반 도지캔들 보다 추세전환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도지캔들의 두 번째 형태는 잠자리형 도지 캔들(Dragonfly Doji Candle)이다.

잠자리형 도지 캔들은 아래꼬리만 길게 만들어진 형태의 캔들로 시가와 종가가 최고가와 같은 형태의 캔들이다.

잠자리형 도지 캔들은 두 심리가 대립했으나, 힘의 균형이 매수심리쪽으로 기울어졌다고 볼 수 있다.

파동의 하단부분 즉, 바닥권에서 등장한다면 상승추세로 전환된 확률이 일반적인 도지캔들 보다 높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추후에 방향이 상승가능성이 높은 쪽으로 무게가 실리게 된다.

도지캔들의 세 번째 형태는 비석형 도지 캔들(Grave Stone Doji Candle)이다.

비석형 도지캔들은 위와 반대로 시가와 종가가 최저가와 같은 형태의 캔들로 등장위치에 따른 접근방법도 잠자리형 도지캔들과 반대로 해석해야 한다.

두 세력이 대립했다고 볼 수 있지만 매도심리가 우위를 점하고 있는 형태로써 저항의 힘이 하락의 힘보다 강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럴 경우 파동의 상단에서 등장하는 비석형 도지캔들은 일반적인 도지캔들의 비해서 조금 더 강한 매도신호로 해석 할 수 있다.

도지캔들의 마지막 형태는 흔히 나타나는 형태는 아닌 일자형 도지캔들(Four Price Doji Candle)이다.

일자형 도지캔들은 하나의 캔들이 가지고 있는 네 가지의 가격인 시가, 종가, 고가, 저가가 모두 일치하는 캔들로써 흔히 찾아볼수 있는 캔들은 아니다.

통상적으로 펌프 앤 덤프가 발생한 차트에서 간간히 보이는 캔들이고 거래량이 제로이거나 트레이딩 종목으로 처음 등장했을 때 차트에서 볼 수 있는 캔들이다.

comment

트레이딩 이론에 대한 연구와 수익이 항상 정비례하지는 않는다. 만약 그랬다면 세계 탑권의 부호는 워렌 버핏이 아니라 차티스트였을 것이다. 그러나 이론에 대한 연구가 투자를 위한 첫번째 스텝인 것은 분명하다.

주식 캔들 보는법 쉽게 설명하기 - 모양 및 종류 소개(3)

지난 글에 이어서 이번에도 캔들 모양에 따른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캔들의 종류와 의미 통해 주식 캔들 보는법을 익혀보세요.

- 유성형

상승추세 중 위꼬리 달린 음봉의 출현은 하락 추세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많이 상승한 종목에서 이와 같은 모양이 나타나고 거래량이 증가하면 고점 징후로 판단한다. 하락 추세 중에서는 추가 하락을 암시하며, 바닥권 매집 초기 단계에서 자주 나타나는 캔들이다.

고가권에서 거래량을 수반한 유성형 캔들은 본격적인 주가 하락을 예고하므로 가격을 무시하고 무조건 팔아야 한다는 의미로 분석된다.

- 비석형(추세전환 신호)

장중 고가까지 상승 후 되밀려 시가에서 마감된 흐름으로 시가와 종가가 같고 위꼬리를 만든 모양이다. 장 초반에는 사려는 사람이 많아 상승하다가 후반으로 가면서 팔려는 사람이 많아져 시초가까지 밀린 형태다. 비석형은 주가의 위치에 따라 정반대로 해석되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바닥권에서는 위꼬리를 보이는 캔들이 연속 출현하며 최근 3개월 동안 저점을 이탈하지 않는다면 매집이 진행 중이라고 해석된다. 당장 매수에 가담하지 않더라도 관심을 갖고 지켜본다. 고점에서 음봉으로 된 비석형 캔들이 발생할 때에는 상투가 임박했음을 알려주는 신호로 급격한 하락을 경고한다. 즉, 강력하게 상승하던 주식에서 음봉의 비석형 캔들이 출현했다면 신규 매수는 금지하고 보유자는 일단 매도하는 전략이 좋다.

비석형 캔들은 고가권에서 출현할 경우 강력 매도신호이고, 바닥권에서는 초기 매집과정이라 할 수 있다.

-잠자리형

위꼬리 달린 비석형과 반대로 장중 저가까지 하락 후 다시 상승하여 시가로 마감한 흐름으로 아래꼬리를 만든 모양이다. 고가권에서 발생할 경우에는 하락반전의 신호로 해석되며 상승 초기 종목이라면 저가에 사려는 매수세가 여전히 건재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상승 초기 종목에서 많이 발생되는 이유는 세력들이 대기 매수세의 강도를 확인하려 할 때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상승 중에는 아래꼬리가 짧을수록 추가 상승에 대한 신뢰도가 높고, 저점에서 출현 시에는 강한 상승 전환의 신호가 된다.

잠자리형 캔들은 주가가 고가권에서 발생하면 하락반전의 신호이며 바닥권에서 출현 시에는 강한 상승전환의 신호로 해석된다.

- 십자형(추세전환 신호)

장중 등락을 반복하다가 위꼬리와 아래꼬리를 만들고 시가로 마감한 흐름이다. 매수세와 매도세의 힘이 균형을 이룬 상태로 추세전환의 신호로 작용한다. 상승추세 중 십자형의 출현은 다음 날 캔들을 확인해야 하며 하락 중에 출현했다면 상승추세로의 전환을 암시한다.

십자형 캔들은 추세전환의 신호다. 고가권에서 발생 시에는 하락추세로 전환될 것을 의미하고 저가권에서 출현은 상승전환을 예고한다. 십자형이 출현한 다음 날 캔들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갭

전일의 고가보다 금일의 시가가 높은 경우 또는 전일의 저가보다 금일의 시가가 낮은 경우를 갭이라 한다. 전자를 상승갭 후자를 하락갭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갭은 파워라고 볼 수 있다. 갭은 일시적인 호재와 악재로 인하여 매수세와 매도세 중 한쪽 방향으로 힘이 크게 집중되면서 수급상의 불균형을 나타내는 경우 발생한다. 상승갭은 매수세가 강함을 의미하고 하락갭은 매도세가 강함을 의미한다.

캔들의 이해 (190419 해외선물 매매일지 휴장)

따라서 매매일지는 생략하고, 해외선물 기술적 분석의 기본인 차트 분석에 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차트는 그래프를 읽을 수 있고, 주가를 예측/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특히 기본 요소인 캔들(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캔들은 크게 2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붉은색의 양봉, 푸른색의 음봉입니다.

시장이 매수세가 강하다는 것은 사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으로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캔들은 붉은 색의 양봉이 만들어집니다. 반대로 매도세가 강하면 팔려는 사람이 많으므로 가격은 하락하게 되고 푸른 색의 음봉이 만들어집니다.

캔들은 몸통과 꼬리로 나뉘며 또 꼬리는 위꼬리와 아래꼬리로 나뉩니다.

1) 몸통 : 시가와 종가로 구성된 부분

2) 위꼬리 : 시가와 종가를 벗어난 부분 중 높았던 가격 부분

3) 아래꼬리 : 시가와 종가를 벗어난 부분 중 낮았던 가격 부분

그리고 캔들은 4가지로 구성되어있습니다.

1) 시가 : 시장이 시작하였을 때 거래된 첫 가격

2) 종가 : 시장이 완료될 때 거래된 최종 가격

3) 고가 : 장 중에 거래된 가장 높은 가격

4) 저가 : 장 중에 거래된 가장 낮은 가격

양봉, 음봉 모두 고가와 저가는 동일 위치이지만 시가와 캔들의 종류와 의미 캔들의 종류와 의미 종가는 반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캔들의 구성

우리는 이러한 캔들을 확인하여 매수세가 강한지, 매도세가 강한지를 파악합니다. 그리고 강한 쪽에 투자를 한다면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양봉이라고 매수다, 음봉이라고 매도다 하는 판단은 조금 섣부를 수 있습니다. 캔들의 종류와 그 의미에 대해서 더욱 심화적인 해석이 필요합니다. 특히 우리는 꼬리가 긴 캔들에 대해서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아래꼬리 긴 양봉 : 시가에서 강한 매도세력으로 저가를 찍었지만, 매수세력이 들어와 고가에서 종가 마감

2) 위꼬리 긴 양봉 : 시가에서 강한 매수세력으로 고가를 찍었지만, 매도세력이 들어와 시가 근처에서 종가 마감

3) 아래꼬리 긴 음봉 : 시가에서 강한 매도세력으로 저가를 찍었지만, 매수세력이 들어와 시가 근처에서 종가 마감

4) 위꼬리 긴 음봉 : 시가에서 강한 매수세력으로 고가를 찍었지만, 매도 세력이 들어와 저가에서 종가마감

꼬리 긴 캔들

여기까지 캔들의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우리는 단순히 캔들의 하나를 보고 해석하는 것이 아닌 앞뒤로 연결되는 여러 개의 캔들을 보고 시장의 방향을 판단하는 것이 더 정확하고 확률이 높을 것입니다. 이러한 캔들들의 구성이 추세를 만든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크루드 오일의 차트를 보며 설명하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캔들로 구성된 차트를 보며 현재 상승세인지 하락세인지 또는 횡보 장인 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그 추세대로 매매를 한다면 수익 내는데 유리한 고지에 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언제나 상승이고 하락일 수 없습니다. 상승과 하락은 항상 반복되기 때문에 항상 유동적으로 시장을 바라봐야 할 것입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