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할 거래 예제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26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본 연구는 계좌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주식시장에서 개인투자자인 HFT 투자자가 실행하는 전략을 유형화하고, 투자전략의 수익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투자자인 HFT 투자자는 두 가지 유형의 투자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첫 번째는 1초 이내 간격으로 소량의 주문을 지속적으로 제출하면서 이익을 추구하는 유형이었다. 이는 유의미한 투자전략이었으나, 수익 규모는 크지 않았다. 두 번째는 호재성 공시가 발표된 직후 1초 이내에 공시 종목을 매수하면서 이익을 추구하는 유형이었다. 이 전략의 수익규모는 크지 않았으나, 스프레드가 작고, 변동성이 큰 종목에서 상대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HFT의 역할과 비중이 커져가는 국내외 증시 환경 속에서 투자금액이 소규모인 개인투자자들도 프로그램 능력과 API를 이용한다면 HFT 투자자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HFT 투자전략의 유의성을 볼 때, 개인투자자인 HFT 투자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소량주문에 의한 고빈도거래가 인위적으로 가격을 왜곡한다면 금융 감독 당국은 시세조종에 대한 개연성을 조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국내 HFT 투자자에 대한 현황과 더불어 HFT 투자자에 대한 이해를 높일 것으로 판단된다

분할 거래 예제

2008.02.01 42 409

무역계약서는 통일된 양식이나 형식이 없다. 그리고 계약체결 방법도 서면이나 구두 방식 등

어느 것을 채택하여도 무방하며 정해진 절차가 있는 것도 아니다. 무역계약은 국제간 거래의

특성을 갖는 한편 상법상의 매매계약에 규율되고 있으며, 그 특성으로는 불요식 계약이고, 유상계약이면서, 쌍무계약이고, Seller의 Offer(청약)와 Buyer의 Acceptance(승락) 또는 Buyer의 Order(주문)와 Seller의 Acknowledgement(주문승락)이 결합되는 낙성계약(諾成契約)이라는 법률적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무역계약에 있어서 계약을 이루는 중심이 되는 사항은 계약물품의 품질, 수량, 가격 및

포장조건과 관련된 사항이고, 그러한 계약의 이행조건의 중심이 되는 사항은 선적, 결제, 보험, 검사 및 클레임에 대한 사항 등이다.

2. 무역계약의 기본사항

가. 계약당사자 간의 확정 및 계약성립의 확인

We as Seller confirm selling the following goods to Buyer on the terms and

conditions as stated below and on the back hereof.

This Contract is made this [1st] day of [March, 2007] by and between [ABC

Corp.], with its registered office at [140 West 51st Street New York, N. Y., U.S.A] (“Buyer”) and [HAN KOOK Co., Ltd.], with its registered office at [159, Samsung-dong,

Kangnam-ku, Seoul, Korea] (“Seller”):

-품질결정방법 ; 견본매매(sale by sample), 표준품매매(FAQ or GMQ), 규격매매(sale by

type or grade), 상표매매(sale by brand), 명세서 매매(sale by specification)


→통상 견본매매에 의하는데 이 경우 Quality to be as per sample과 같이 견본과 「비슷한」 수준으로 약정하는 것이 좋다.

The Specification of the Goods shall be prescribed and specified in specification

-품질결정시기:선적품질조건(Shipped Quality Terms)과 양륙품질조건(Landed Quality

② 수량조건(Terms of Quantity)

-일반적으로 중량(Weight)에 의하여 분할 거래 예제 분할 거래 예제 약정된다.

-과부족용인약관(More or Less Clause):신용장(UCP 500) 거래시 산물이나 대량화물일

때 동조항이 없더라도 5%의 과부족은 허용됨

-Approximate Quantity(About, Circa, Approximately):신용장 거래시 10% 범위 안에서 과부족을 허용함.

Quantity shall be subject to a variation of 3% plus or minus at seller's option.

③ 가격조건(Terms of Price)


-적출지 인도조건(Shipment Contracts:예) EXW, FAS, FOB, CIF, CIP 등


-양륙지 인도조건(Arrival Contracts:예) DAF, DES, DDP 등

④ 포장조건(Terms of Packing)

-화인(Shipping Mark)의 표시:Main Mark에다 목적항, 개수, 중량, 용적, 생산국 등을 표시한다.

-포장의 견고성에 대한 의무는 매매조건의 여하에도 불구하고 매도인에게 부과된다.

Packing shall be export standard carton packing

⑤ 선적조건(Terms of Shipment)

-선적일:서류발행일이 아니라 실제 선적일을 기준으로 함.(UCP 500)

-분할선적 / 환적(Partial Shipment / Transshipment)

-선적·양하의 제비용(Free In, Free Out, Free In & Out)

The date of bill of lading shall be accepted as conclusive date of shipment. Partial

sipment and / or transhipment shall be permitted.

⑥ 보험조건(Terms of Insurance)

In case of CIF basis, 110% of the invoice amount will be insured by the seller.

⑦ 결제조건(Terms of Payment)

-선급(advance payment), 즉시불 또는 일람불(at sight), 연불(deferred payment), 분할지급(installment payment)

-서류상환지급(CAD:Cash Against Documents), 물품인도시 지급(COD:Cash On

-신용장에 의한 지급(At sight L/C, Usance L/C 등)

-D/P(Documents Against Payment), D/A(Documents Against Acceptance)

-화환어음에 관한 약정:어음의 기간, 부속 선적서류의 인도조건, 어음의 결제지 All

the payment for the goods shall be made in US Dollars by an irrevocable letter of credit

in favor of the seller. The letter of credit shall be established by the buyer at least 2

months prior to stipulated shipping date.

⑧ 불가항력(Force Majeure) 및 권리침해

Buyer shall hold Seller harmless from liability for any infringement with regard to patent,

trade mark, design and/or copyright orginated or chosen by Buyer

⑨ 클레임 및 중재조항(Arbitration Clause)


-클레임조항:클레임 제기기간, 제기방법(서면) 등


-중재조항, 중재기관, 중재장소, 준거법(Governing Law)

Any claims by Buyer of whatever nature arising under this contract shall be made by

cable within [thirty (30) days] after arrival of the goods at the destination specified in the

bills of lading. Full particulars of such claim shall be made in writing, and forwarded by

registered mail to Seller within [fifteen (15) days] after cabling. Buyer must submit with

particulars sworn surveyor's reports when the quality or quantity of the goods delivered

All disputes, controversies, or differences which may arise between the parties, out of

or in relation to or in 분할 거래 예제 connection with this contract or for the breach thereof, shall be

finally settled by arbitration in Seoul,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Commercial

Arbitration Rules of The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and under the Law of

Korea. The award rendered by the arbitrator(s) shall be final and binding upon both

분할 거래 예제

1.
글 제목을 하나의 단어로 표현하는 알고리즘매매입니다. CD주문이나 분할호가가 알고리즘매매의 특성이나 개인HFT의 정의도 아닙니다. 다만 주문형태로 놓고 보면 ‘시장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문수량은 최소화하고 주문건수는 늘리는’ 현상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소개하고자 하는 논문 두편을 공통저자는 한국거래소 시장감시부에 근무하는 우민철씨입니다. 시장감시부라고 하면 한국자본시장을 손바닥 눈금보듯이 볼 수 있는 곳입니다. 우민철씨는 끝나지 않는 논쟁, 이제 시작하는 논쟁에서 소개하였던 ELW시장의 고빈도매매자 분석논문을 쓰신 분이기도 합니다.

본 연구는 계좌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주식시장에서 개인투자자인 HFT 투자자가 실행하는 전략을 유형화하고, 투자전략의 수익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투자자인 HFT 투자자는 두 가지 유형의 투자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첫 번째는 분할 거래 예제 1초 이내 간격으로 소량의 주문을 지속적으로 제출하면서 이익을 추구하는 유형이었다. 이는 유의미한 투자전략이었으나, 수익 규모는 크지 않았다. 두 번째는 호재성 공시가 발표된 직후 1초 이내에 공시 종목을 매수하면서 이익을 추구하는 유형이었다. 이 전략의 수익규모는 크지 않았으나, 스프레드가 작고, 변동성이 큰 종목에서 상대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HFT의 역할과 비중이 커져가는 국내외 증시 분할 거래 예제 환경 속에서 투자금액이 소규모인 개인투자자들도 프로그램 능력과 API를 이용한다면 HFT 투자자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HFT 투자전략의 유의성을 볼 때, 개인투자자인 HFT 투자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소량주문에 의한 고빈도거래가 인위적으로 가격을 왜곡한다면 금융 감독 당국은 시세조종에 대한 개연성을 조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국내 HFT 투자자에 대한 현황과 더불어 HFT 투자자에 대한 이해를 높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 논문의 가치는 유가증권시장의 HFT를 다루고 있는 점입니다. 그동안 나왔던 논문을 ELW와 지수선물이나 옵션시장을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물론 ELW는 유가증권시장으로 분류하지만… 제가 기억하는 한 유가증권시장을 다룬 최초의 논문이 아닐까 합니다.

본 연구는 기관투자자 및 외국인투자자가 분할호가를 제출하는 목적에 대해 위탁매매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대다수의 연구들은 이들이 제출한 분할호가의 분석에 있어서 그 목적을 은닉거래
(Stealth Trading) 측면에서 접근하여 왔다. 이러한 분석에 있어서 기존 연구들이 호가의 주체와 주문의
주체를 동일시하는 점을 보완하여, 본 논문은 호가의 주체 입장에서 분할호가의 목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분할호가의 제출 목적을 기관 및 외국인투자자가 증권사에 위탁한 주문가격과 매매를 위탁받은
증권사 트레이더의 평균 체결가격 간 차이에서 발생하는 트레이더의 운영위험을 줄이기 위함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트레이더가 호가를 분할할수록 괴리율이
감소함으로써 트레이더 운영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트레이더가 중규모 주문을 분할할 때
괴리율 감소가 가장 크고, 소규모 주문을 분할하는 경우의 괴리율 감소가 가장 작다. 셋째, 트레이더는
고객이 기관투자자인 때보다 고객이 외국인투자자인 경우에 분할호가 전략을 통해 괴리율을 더 크게
감소시키고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분할호가의 목적이 투자자 측면뿐만 아니라 증권사
트레이더 입장에서도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들이 분할호가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분할의 실질주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투자자의 투자전략 측면이
아니라 주문을 집행하는 트레이더의 집행전략 측면에서 주식시장을 분석한 최초의 분할 거래 예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증권사의 OMS를 통한 주문중 많은 부분이 CD주문으로 이루어집니다. 알고리즘전략을 적용한 경우는 아직 많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가증권시장의 참여자중 큰 몫을 담당하는 트레이덩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지 않을까 합니다.

주제는 다르지만 유가증권시장에서 떠오르는 채널인 모바일매매를 분석한 논문입니다. 역시 우민철씨가 공저자로 참여하였습니다.

HTS 이용자가 모멘템투자전략의 특성을 보이는 반면, 모바일 이용자는 역행투자전략의 특성을 보인다.

2.
마지막으로 해외논문입니다. 방향은 다릅니다만 고빈도매매가 지배하는 시장의 변화를 연구한 논문입니다.

요약을 보면 이런 설명이 있습니다.

In an out-of-sample analysis, we investigate an exogenous technological change to the 분할 거래 예제 trading environment on the Tokyo Stock Exchange that dramatically reduces latency and allows co-location of servers. This shock also results in prices more closely resembling a random walk, and a sharp decline in the cost of trading.

ScienceON Chatbot

(A) study on liquidity increase effect and stock return response upon stock split

주식액면분할은 이론적으로 주식의 액면금액을 낮추는 것으로 주식의 수만 증가시킬 뿐, 기업 대차대조표상의 자본계정항목인 자본금, 이익잉여금 등의 항목이나 미래 현금흐름에는 변화를 주지 않는 것으로, 그 자체로는 기업의 가치창조나 파괴와 무관한 사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의 주식시장에서는 액면분할 공시일과 분할일을 전후로 하여 유의적인 유동성 증가나 초과수익율이 존재할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1999년 이후부터 2001년 9월까지 주식액면분할을 실시한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 및 코스닥 등록 기업 중 표본의 선정기준에.

주식액면분할은 이론적으로 주식의 액면금액을 낮추는 것으로 주식의 수만 증가시킬 뿐, 기업 대차대조표상의 자본계정항목인 자본금, 이익잉여금 등의 항목이나 미래 현금흐름에는 변화를 주지 않는 것으로, 그 자체로는 기업의 가치창조나 파괴와 무관한 사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의 주식시장에서는 액면분할 공시일과 분할일을 전후로 하여 유의적인 유동성 증가나 초과수익율이 존재할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1999년 이후부터 2001년 9월까지 주식액면분할을 실시한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 및 코스닥 등록 기업 중 표본의 선정기준에 의해서 선정된 기업 즉,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중에서는 개인투자자의 시장참여가 어려운 고가주를 중심으로, 코스닥 등록기업 중에서는 상장주식수가 적은 기업을 중심으로 주식액면 분할일을 사건일로 하여 사건일 전후의 유동성 증가 효과와 주가반응에 대하여 실증분석한 것이다. 또한 액면분할이 이루어진 기업과 액면분할을 하지 않은 기업군으로 그룹을 나누어서 비교 검증 하였으며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중 액면분할을 실시한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액면분할 비율에 따른 기업군으로 구분, 분할비율에 따른 분할일 전후의 유동성증가 효과 및 주가반응에 대해서도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사건일(분할 거래 예제 event day, 0)을 기준으로 -30일에서 +30일까지의 60일을 분석대상 사건기간으로 설정하였으며 주가반응을 살펴보기 위한 비정상수익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180일에서 -31일까지의 150일을 추정기간으로 설정하였다. 주식 액면분할에 따른 유동성 증가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별주식의 거래량 및 거래량 회전율을 이용하였으며 시장전체 거래량 회전율과의 차이, 즉 시장초과 일별거래량 회전율에 유의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식 액면분할에 따른 주가의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후적 시장모형을 이용하여 정상수익률을 구한 후 각 표본기업의 평균 비정상수익률과 누적 평균 비정상 수익률을 구하였으며 초과수익률이 귀무가설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가를 검정통계량을 설정,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식 액면분할일을 기준으로 한 유동성증가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시장초과 거래량 회전율을 측정한 결과, 분할일에서의 시장초과 거래량 회전율은 거래소 시장과 코스닥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비교기업의 경우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주식 액면분할 이후의 가격이 10,000원 이하인 경우가 가장 효과가 컸으며 상장주식수가 적은 기업을 중심으로 살펴 본 코스닥의 경우에는 액면분할후의 주식수가 가장 많은 기업그룹에서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식분할의 주된 동기가 주가를 적정범위내에 존재하도록 하여 주식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최적 거래가격 범위 가설을 어느 정도 지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주식 액면분할 실시일을 기준으로 주가반응을 살펴본 결과, 거래소 시장의 경우 주식액면 분할일의 평균 비정상 수익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비교기업 그룹의 통계랑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코스닥 시장의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주식 액면분할은 주식 액면분할 실시일을 기준으로 살펴볼 때 주가반응에 정의 효과를 가져오지 못함을 보여주었다. 셋째, 액면분할 비율에 따른 거래소 상장 액면분할 기업의 유동성 증가 효과와 주가반응을 살펴본 결과, 주가의 반응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분할기업간에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유동성 증가 효과에 있어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특히 액면분할 비율이 높은 기업그룹이 가장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결과를 분할 거래 예제 보여 주었다. 한편, 본 연구의 표본 선정기간 중 2000년 이후의 시장상황이 하락 추세를 보임에 따라 표본기업이 특정 기간에 집중되어 신뢰성과 대표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어 추후에 좀더 많은 표본을 확보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유동성 증가 효과의 측정에 있어서도 거래량 시장 모형등 다양한 측정 방법을 이용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 또한 일별자료의 연구 특성상 주가 수익률의 정규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앞으로 주별 수익률이나 주별 거래량 회전율을 이용한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empirically the liquidity increase effect and stock return response upon stock split. For study, I made a sample selection according to the sample selection standard, namely the Exchange listed high price stocks and KOSDAQ enlisted small capital stocks, spli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empirically the liquidity increase effect and stock return response upon stock split. For study, I made a sample selection according to the sample selection standard, namely the Exchange listed high price stocks and KOSDAQ enlisted small capital stocks, split from the beginning of 1999 to September 2000, which individual investors are not easy to invest. Additionally, I analysed empirically the comparative lipuidity increase effect and stock return response by stock split ratios for the Exchange listed sto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t first, market exceeding abnormal volume turn-over ratios of split Exchange listed stocks and KOSDAQ listed stock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stock split event day. Comparatively, in the case of non-split compared stocks the effect of the empirical analysis regarding the liquidity increase did not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which means stock split has positive effect on liquidity increase. For the second, after examining the stock return response on the stock split event date, I ascertained that the cumulative average abnormal return of Exchange listed stocks compared to the market model did not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statistical data of compared non-split stock group was not significant. In regards to the KOSDAQ enlisted split stocks, stock split did not have positive effect on stock return response also. Next, I could not find discriminating stock return response between different stock split ratio groups that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every group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regarding liquidity increase effect and the highest split ratio group revealed the most statistical significance. Finally, the sample stock data clustered in 1999 making analysis work could have weakness in reliability and representation meaning additional study would be necessary based on more sample stock split data. And, additional study using weekly stock return and turnover ratio is expected because daily stock return and turnover 분할 거래 예제 ratio may lack normality.

#주식 액면분할 유동성 증가 효과 주가 반응 액면분할 비율 시장초과 거래량 회전율 시장 모형 초과 수익률 최적 거래가격 stock split liquidity increase effect stock return 분할 거래 예제 response stock split ratio abnormal volume turn-over market model cumulative average abnormal return;

원장 분할 (wonjang bunhal) Meaning in English - English Translation

Examples of using 원장 분할 in a sentence and their translations

Any transactions after the August 1st ledger split are completely separate between Bitcoin and Bitcoin Cash.

Any transactions following the August 1st ledger split are completely independent between Bitcoin and Bitcoin Funds.

Yan CTO는 “solution process 공정은 원장 분할 없이 공정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Gen 10.5에서 75 inch 패널 생산이 용이할 것”이라며 “뿐만 아니라 전면 발광 방식의

to produce full-emission RGB OLED TVs.” However he emphasized that the compatibility of materials and equipment and the development of ink forming process technology should be done.

See also

Word by word translation

Phrases in alphabetical order

Korean - English

English - Korean

Conjugation Contact About Privacy Policy Tr-ex.me 에서 한국어 Thanks

and required to achieve the purposes illustrated in the cookie policy. If you want to know more or withdraw your consent to all or some of the cookies, please refer to the cookie policy .
By closing this banner, scrolling this page, clicking a link or continuing to browse otherwise, you agree to the use of cookies.

Opt-Out of the sale of personal information
We won't sell your personal information to inform the ads you see. You may still see interest-based ads if your information is sold by other companies or was sold previously. Opt-Out Dismiss

POWER OF ATTORNEY FOR COLLECTION OF CLAIMS

Creditor fully understands the contents of the Debt Collection Standard Contract and agrees that the said Debt Collection Standard Contract is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 Debt Collection Authorization Agreement, and the authorization of debt collection is given as follows:

* 영문으로 작성하십시오

1. Creditor and Debtor

Creditor and Debtor 표 - Debtor(채무자), Creditor(채권자)로 구성
Debtor(채무자) Creditor(채권자)
Name 수입자 상호명 Name 수출자 상호명
Address 국가명까지 작성 Address 내용없음
Officer in Charge 본건 담당자명 Officer in Charge 본건 담당자명
Tel 내용없음 Tel 내용없음
Fax 내용없음 Fax 내용없음
E-mail 내용없음 E-mail 내용없음

2. Particulars of Claims(채권사항)

Particulars of Claims(채권사항) 표 - Date of Agreement(계약일자), Date of Delivery(선적일자), Conditions of Payment(지불조건), Name of Bank with which Debtor transacts(채무자 거래은행), Original Amount(선적원금), Due Date(결제만기일), Amounts Paid(결제금액), Balanced Amounts(채권잔액), Default Interest(연체이자), Amounts to be Collected(추심대상금액), Client's Reference Number(관리번호)로 구성
Date of Agreement
(계약일자)
계약서 or P/O 일자 Date of Delivery
(선적일자)
선적횟수가 여러 번일 경우, 미수가 발생한 최초건의 선적일자와 결제만기일 기입
Conditions of Payment
(분할 거래 예제 지불조건)
내용없음 Name of Bank with which Debtor transacts
(채무자 거래은행)
없거나 모를 경우 기입하지 마십시오
① Original Amount
(선적원금)
총 선적금액 Due Date
(결제만기일)
선적횟수가 여러 번일 경우, 미수가 발생한 최초건의 선적일자와 결제만기일 기입
② Amounts Paid
(결제금액)
결제된 금액이 있을 경우 그 금액 ③ Balanced Amounts
(채권잔액)
① - ②
(선적금액-결제금액)
④ Default Interest
(연체이자)
계약서에 ‘연체이자’에 관한 사항을 명시한 경우, 연체이자율 Amounts to be Collected
(추심대상금액)
③ + ④
Client's Reference Number
(관리번호)
없을 경우 기입하지 마십시오

* Particulars(세부내용) * 선적횟수가 여러번일 경우 건별로 작성하십시오. 횟수가 3회이상일 경우 별지에 작성, 첨부하십시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