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관리
당사의 전문가들은 상업적 공간의 소유주들에게 자산 가치를 늘리고 운영비를 최소화하고 고객 서비스를 효율화 하는 부동산 관리 계획을 제공합니다.
투자자들과 소유자들의 단·장기 목표에 초점을 맞춰서 자산 관리 계획을 설계합니다.
- 자산 관리. 성장에 초점을 맞춘 자산 관리 계획을 설계 및 제공함으로써, 임차인들의 만족도를 보장하는 동시에 자산의 자산관리 가치를 높여줍니다.
- 비용 관리 및 위험 완화. 당사의 전문가들은 운영비 절감, 운영 향상, 기술 활용을 통한 전체 가치 증대를 지원합니다.
- 투자 관련 자료. 전세계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정확한 통찰을 제공하면서 올바른 투자 결정을 지원합니다.
여러분의 자산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저희와 함께 자산 관리 전략을 의논해보세요.
관련 서비스
Supply Chain & Logistics Advisory
Our advisory and consulting team delivers end-to-end supply chain transformation for your business with the objective of achieving responsive and consistent customer service, increased bottom-line and improved return on capital for you.
Supply Chain & Logistics Advisory
Our advisory and consulting team delivers end-to-end supply chain transformation for your business with the objective of achieving responsive and consistent customer service, increased bottom-line and improved return on capital for you.
분석 센터
관련 이야기
타노스(주) 대구지점, (주)테인 대구지점 • 전문적인 서비스
자세히 알아보기
타노스(주) 대구지점, (주)테인 대구지점 • 전문적인 서비스
자세히 알아보기
타노스(주) 대구지점, (주)테인 대구지점 • 전문적인 서비스
자세히 알아보기
관련 보고서
Article • Retail
온라인 브랜드가 오프라인으로 활발히 진출하고 있습니다. 최근 디지털 네이티브 브랜드(온라인 기반 브랜드)는 전통적인 리테일 대비 낮은 진입 장벽과 벤처 캐피탈의 투자를 등에 업고 극적인 성장을 이뤘습니다.
Insights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글로벌 데이터 센터 시장 비교에 따르면, 데이터 센터는 이제 정보 경제의 초석이 되었으며 지난 10 년 동안 해당 자산군에 1,000 억 달러가 훨씬 넘게 투자되었습니다.
원하는 결과를 찾지 못하셨나요?
여러분의 승인 하에 당사는 웹사이트가 예상대로 작동하도록 보장하고, 제품을 개발 및 개선하며, 광고 및 통찰을 목적으로 고유 식별자 및 표준 정보와 같은 개인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쿠키를 사용하고자 합니다.
또는 [추가 선택사항]을 누른 후 동의를 제공하거나 거부하기 전에 기본 설정을 선택하십시오. 개인 데이터의 일부 처리에는 사용자의 동의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여러분은 이러한 처리에 반대할 권리가 있습니다.
언제든지 이 사이트로 돌아가거나 개인 정보 & 쿠키를 클릭하여 기본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쿠키를 통해 당사 웹사이트는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사용자 이름, 언어, 지역 등)을 기억하고 향상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쿠키는 광고에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인터넷에서 사용자가 어디에 있었는지 기억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쿠키를 통해 당사는 마케팅 파트너와 협력하여 여러분이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전에 클릭하신 광고 또는 링크를 파악하거나 당사의 광고가 여러분에게 보다 관련이 있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성공하는 자산관리, 섣부른 예측보다 대응하는 힘을 길러라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부동산수석전문위원
기사입력시간 18-01-18 13:00
최종업데이트 20-06-22 10:08
10년만에 금융 위기 악몽 되살아난 원장
충남 중소 도시에서 작은 의원을 어렵게 꾸려가는 이경수(가명, 57세) 씨는 지난 2008년 가을을 잊지 못한다. 당시 그가 운영하던 제법 잘나가던 병원이 금융 경색에 따른 자금난으로 부도가 났다. 병원을 크게 확장하면서 무리하게 자금을 끌어다 쓴 게 화근이었다. 2008년 초만 해도 금융 시장이 비교적 평온했기에 병원의 부채 비율이 다소 높다고 하더라도 난관에 빠질 가능성은 크지 않았다.
위기는 갑자기 찾아왔다. 미국발 금융 위기가 그해 10월 터지더니 금융 시장은 돌변, 꽁꽁 얼어붙었다. 급전을 빌리기 위해 백방으로 뛰었지만 소용없었다. 글로벌 금융 위기는 미국 경제와는 전혀 상관없을 것 같던 태평양 너머의 극동, 그것도 지방 중소 도시의 작은 병원까지 무너뜨렸다. 미국 금융 위기가 글로벌 위기로 번진 결과다. 그는 “여름철 갑자기 내린 폭우로 계곡 급류에 휩쓸린 기분이었다”라고 고통스러운 기억을 떠올렸다. 그로서는 1998년 외환 위기 때도 경영난을 겪은 터라 충격이 더 클 수밖에 없었다. 그는 “잘나가다가도 회오리 한 번에 훅 가는 게 작은 회사의 운명인데, 인생도 비슷하다”라고 말했다.
흔히 작은 위기는 수시로, 큰 위기는 10년마다 찾아온다고 한다. 물론 10년 위기설은 1998년, 2008년 두 차례 찾아온 외환 위기와 글로벌 금융 위기에 근거한 경험치에서 나온다. 예지력을 지닌 미래학자가 아닌 필자로서는 이번에도 10년 위기설이 현실화할지 예단할 수는 없다. 하지만 타이밍(Timing)이 적중한들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10년 주기가 아니라 15년, 아니 20년 주기든 노후 자산 재설계하는 입장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역사는 동일하게 반복되지는 않지만 일정한 리듬은 탄다고 하지 않는가. 시차만 있을 뿐 위기는 또 찾아올 것이다. 오히려 불쑥 찾아오는 불규칙한 위기가 더 위험하다.
예고된 위기는 어느 정도 준비가 가능해 충격이 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측면에서 자산 재설계는 10년이 아닌 20년, 30년, 아니 40년 이상의 포트폴리오로 짜야 한다. 10년 위기에서 벗어났다고 방심하는 순간, 또 다른 위기가 불쑥 찾아와 당신을 덮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시로 당신을 덮치는 양털 깎기에서 살아남아라. 순간순간 일희일비할 게 아니라 멀리 보고 차분히 계획을 세우는 것이 현명하다는 얘기다.
사실 경제의 글로벌화가 광범위하게 진행되면서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는 바다 위에 떠 있는 돛단배 신세다. 세계 각국과 무역을 통해 먹고사는 대외 개방형 한국 경제는 외풍이 불 때마다 살얼음판 걷듯 조마조마해진다. 배 운항 기술이 아무리 뛰어나도 돛단배는 항해 중 기습 폭풍우를 만나면 언제든지 난파될 수 있다. 바다는 평상시에는 사슴처럼 온화하지만 언제든지 포악한 늑대로 돌변한다. 미리 방비하지 않는다면 흉포한 늑대 앞에서 당신은 꼼짝없이 당할 수밖에 없다. 무슨 일을 하든 항상 최악의 시나리오를 상정하는 것이 좋다. 큰 위기를 잘 넘겨야 생존 게임에서 최후의 승자가 될 수 있는 법이다. 인생은 앞으로도 길다. 긴 여정인 만큼 극단적인 상황이 오더라도 살아남을 수 있는 슬기가 필요하다. 병원을 운영하는 원장이든, 회사를 운영하는 최고 경영자든, 개인이든 비상시에 대비한 유보금을 항상 넉넉히 쌓아놓는 지혜를 갖춰야 한다. 유보금은 위기에 대응하는 일종의 생존 자금이자, 충격을 누그러뜨리는 완충 기제다.
아마추어 수영 선수가 강물에 빠져 죽는 이유
간단한 퀴즈. 깊이가 평균 1.4m인 강을 건너던 사람이 물에 빠져 죽었다. 그 이유는 뭘까? 바로 강 깊이가 일정하게 1.4m라고 생각하는 ‘평균의 함정’에 빠졌기 때문이다. 강물의 깊이는 위치에 따라 천양지차다. 수치를 단순히 평균할 때 인식의 오류가 발생한다. 강 가장자리의 깊이는 고작 10cm에 불과할 수 있지만, 강 중앙은 사람 키를 훌쩍 뛰어넘어, 깊은 곳은 3~4m에 이를 수 있다.
강폭이 넓으면 아마추어 입장에서는 더욱 치명적이다. 강을 건너느라 체력이 소진되면서 그만큼 익사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기간이 짧으면 평균의 함정을 운 좋게 비껴갈 수 있지만, 기간이 길어지면 요행으로 나올 수 없다는 얘기다. 행운은 무한대로 반복되지 않는다. 내 앞에서 펼쳐지는 일이 평균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함과 섣부른 낙관은 반드시 사고를 부른다. 그 안일함과 낙관이 지나칠 때 자만심과 오만으로 이어지고, 결국 자신의 목숨을 위태롭게 할 것이다. 시쳇말로 잘나가던 사람을 낭떠러지로 떨어지게 하는 가장 큰 원인은 자만심과 오만이다.
주위를 둘러보라. 승승장구하던 연예인이나 정치인이 갑자기 퇴출당하는 경우를 종종 목격할 것이다. 부동산 불법 거래, 논문 표절, 사기, 문란한 사생활….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은 다르나 자기 관리에 실패한 것은 공통점이다. 자기 관리는 어떤 유혹에도 자신의 삶이 나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스스로 도덕적·윤리적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엄격하게 관리하는 것이다. 즉, 비정상적인 삶이 되지 않도록 자기를 통제하는 것이다. 하지만 자기 관리 잘하기는 말만 쉽지, 행동은 어렵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자신이 만든 가이드라인이 쉽게 허물어진다. “누가 보는 것도 아닌데, 잠시 일탈 행위를 한다고 해서 나중에 문제야 되겠어?” 운이 좋으면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일탈 행위가 한 번이 아니고 반복될 때 반드시 꼬리를 밟힌다. 요행은 영원히 나를 지켜주지 않기 때문이다.
자산 관리도 마찬가지다. 요행으로 잠시 큰 이득을 챙길 수 있으나 오래가지 못한다. 오히려 나중에 자신을 파멸하는 부메랑이 될 수 있다. 로또 당첨자의 자산관리 불운을 보라. 자산 관리는 말 그대로 자산을 뻥튀기하는 게 아니라 잃어버리지 않도록 잘 관리하는 것이다.
나의 미래를 알면 행복할까
요즘 이런 상상을 해본다. 나의 미래를 알면 행복할까. 만약 내 아들이 고시나 대기업 입사 시험에 당당히 합격하거나, 결혼해서 토끼 같은 손자를 얻는 소식을 10년 전에 미리 안다면 안도와 함께 기쁨이 넘쳐날 것이다. 행복의 반대편에는 불행이 있다. 만약 아들과 손자 앞에 돌이킬 수 없는 불행이 있음을 미리 안다면 오히려 모르는 게 나을 것이다.
불행과 행복이 같은 질량일 때 인간은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까. 행복은 과소평가하고 불행은 과대평가하지 않을까. 이럴 경우 행복은 불행에 묻힐 것이다. 행복과 불행 셈법은 ‘1+1=2’식의 단순 계산이 아니다. 숫자 이면에 인간의 주관적인 감정이 개입되기 때문이다. 자신의 미래를 아는 사람은 결코 행복하지 못할 것 같다. 곧 닥칠 불행에 대한 불안으로 밤잠을 설칠 테니까. 그러니 자신의 미래를 미리 알기 위해 애쓰지 마라. 점술가의 힘을 빌려 알려고 해도 정확히 맞히기 어려울 뿐 아니라, 안다고 해도 행복에 별 도움이 되지 않아서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미래를 점치기보다는 불확실성을 대비하는 힘이다.
미국 주식 투자의 전설적인 인물인 제시 리버모어(Jesse Livermore)는 “태양계에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따금 날벼락을 맞게 된다”라고 말했다. 세상을 살다 보면 예상 밖의 일로 큰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요즘 경제 신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팻테일 리스크’(Fat Tail Risk: 두꺼운 꼬리 위험)’나 ‘블랙 스완(Black Swan: 흑고니)’과 비슷한 개념이다. 팻테일 리스크나 블랙스완은 극단적인 사건이 확률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은 낮지만, 일단 발생하면 엄청난 충격을 던지는 것을 말한다.
팻테일 리스크는 통계학에서 파생한 용어다. 가령 평균값을 중심으로 종(Bell) 모양으로 배치된 정규 분포를 보면 가운데는 두껍고 꼬리 부분은 가늘다. 꼬리 부분은 발생 빈도가 극히 낮은 극단 값이다. 꼬리 부분이 두껍다는 것은 생각지 못한 일이 의외로 많이 일어난다는 뜻이다. 또 블랙 스완은 일반적으로 찾아보기 힘든 흑조(黑鳥)로, ‘도저히 일어날 것 같지 않은 일’의 은유적 표현이다. 하지만 글로벌 자산관리 금융 시장의 블랙 스완은 평균 4.1년을 주기로 발생했다. 블랙 스완이나 팻테일 리스크는 예기치 못한 사건이라는 점에서 일종의 ‘우연성’이다. 지금 당장 재산 불리기보다 미래에 언젠가는 닥칠 우연성을 대비하라. 요컨대 섣부른 예측보다 여러 가능성을 열어놓는 오픈 마인드, 그리고 기민하게 대응하는 힘이 중요한 것이다. 자산 관리의 장기적인 성공을 좌우하는 것은 예측력보다는 대응력이다.
인구 쇼크, 어떻게 받아들일까
인구는 한 나라 경제의 펀더멘털(Fundamental)이다. 유효 수요를 측정하는 가장 신뢰도 높은 도구인 인구는 거부할 수 없는 도도한 물결처럼 경제를 움직이는 강력한 기제로 작용한다. 인구가 늘어나지 않고서는 장기적으로 집값도, 땅값도 오를 수 없다. 인구 구조의 변화는 국내 부동산 시장의 지형도를 바꿀 것이다. 인구는 항해 선박을 인도하는 등대처럼 부동산 시장의 향후 방향을 제시한다. 인구의 흐름을 읽어야 부동산 시장의 중장기 트렌드도 내다볼 수 있다는 말이다.
인구가 부동산 시장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누구도 부정하지 않을 것이다. 고령화•저출산이 촉발할 인구 쇼크는 미래 우리 경제를 짓누르는 중대한 위협이다. 다만, 인구 쇼크가 현실화하는 ‘시점(Time)’과 ‘강도(Strength)’에 대해서는 좀 더 깊게 논의해야 한다. 부동산 시장에서 거론하는 인구 쇼크의 오류 2가지를 지적하고 싶다.
먼저 인구의 큰 흐름을 받아들이는 것은 좋지만, 너무 깊게 빠지면 또 다른 위험을 부른다. 인구는 먼 미래를 바라보는 망원경이다. 망원경을 꺼내 돋보기로 사용해보라. 바로 앞의 사물을 보려고 하면 초점이 흐릿해 잘 보이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자신이 보고 싶은 대로 해석하는 함정에 빠질 수 있다. 특히 지금 당장 일어나는 부동산 문제를 모두 인구 잣대로만 바라보면 안 된다. 단기적으로는 인구보다는 정책이나 금리 등 다른 변수가 더 크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집값이 떨어진다는 신문 기사만 봐도 혹시 국내 부동산 시장이 일본 버블 붕괴 방식으로 무너지지 않을까 걱정이 앞선다. 호떡집에 불난 듯 호들갑 떨지 마라. 20~30년 뒤에 일어날지 모르는 일을 2~3년 뒤에 곧 닥칠 것처럼 조급증에 빠지는 것은 정신 건강에도 좋지 않다.
그리고 인구 위기론의 또 다른 맹점은 지나친 공포를 유발한다는 점이다. 고령화•저출산의 위기는 언젠가는 우리 앞에 닥칠 것이다. 그러나 인구 위기는 새벽안개처럼 스멀스멀 다가온다. 새벽안개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옷이 젖는 것처럼 고령화•저출산의 위기는 우리나라 경제를 서서히 옥죌 것이다. 그런데도 많은 사람이 인구 위기를 단기간에 확 쏟아지는 한여름의 소나기로 잘못 생각한다. 그래서 인구 얘기만 꺼내도 세상이 금세 끝날 것처럼 종말론적인 우울 증세를 보인다.
요즘 전문가까지도 아직 찾아오지도 않은 ‘인구 감소 시대’를 벌써부터 꺼낸다. 우리나라 총인구는 앞으로도 2031년까지, 가구는 그 이후까지 각각 늘어난다. 물론 생산 가능 인구(만 15∼64세)는 2017년부터 줄어든다. 한창 일할 사람이 줄어들면 경제 체력은 떨어질 것이다. 하지만 총인구와 가구가 늘어나는 한, 부동산 가격이 인구 요인에 의해 갑자기 붕괴되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나라보다 훨씬 빨리 고령 사회에 도달한 스웨덴 등 일부 유럽 국가에서 최근 집값이 크게 올랐다. 인구 요인보다 마이너스 금리 효과 때문이다. 인구는 부동산 가격을 결정하는 유일한 요인이 아니라 중요한 요인일 뿐이다. 그런데도 많은 사람이 인구에 집착하는 오류를 범한다. 고령 국가인 일본이라는 나라가 지리적으로 너무 가까운 탓이다.
공포보다는 현실적인 대안 찾기
문제는 평범한 사람이 인구 쇼크에서 나 홀로 탈출할 방법이 있겠느냐는 점이다. 방법을 안다고 하더라도 실제 행동으로 옮기기는 어려운 일이다. 인구 쇼크를 피하기 위해 젊은 인구가 많은 베트남 등 동남아로 이민을 할 수도 없지 않은가. 대부분 이런저런 걱정을 하면서 지금 거주지에서 꾸역꾸역 살아갈 것이다. 역사의 큰 물결 앞에서 소시민이 할 수 있는 일은 의외로 많지 않다. 한국에 살면서 인구 쇼크로부터 나 혼자 벗어나겠다는 것은 비바람 치는 날 한강 다리를 걸으면서 ‘우산을 썼으니 비를 안 맞겠지’라고 생각하는 것과 같다. 일부 비를 덜 맞을 뿐이지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잘 구분하는 것도 현명한 일이다. 어쩔 수 없는 일이라면 마음을 접는 게 속이 편하다. 두려움에 떠는 것보다는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스스로 이겨내는 힘을 기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막연한 이상론보다 차라리 현실적인 대안을 찾는 것도 좋다.
부동산 문제로 좁혀보자. 인구 쇼크를 피할 방법은 없을까. 한국을 벗어나지 않는 한 인구 쇼크의 무풍지대는 없다. 절대적 안전지대보다는 상대적 안전지대를 찾는 게 지혜로운 해법이다. 부동산을 교외보다는 도심 중심으로 재설계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인 것 같다. 도심이 인구 쇼크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고, 손해를 보더라도 덜 보기 때문이다.
자산 관리 소프트웨어
IT 자산 검색 및 관리는 자산관리 IT 팀의 힘든 업무 중 하나입니다—(특히 IT 인벤토리를 관리할 때). IT 전문가는 자산 관리 소프트웨어의 지원을 받아 IT 인프라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산을 자산 검색, 추적 및 보고하는 프로세스를 자동화해야 합니다. 호스트 이름, 제조사, 모델, 일련번호, 하드 드라이브, 메모리, 설치된 소프트웨어 등의 정보를 비롯하여 컴퓨터’의 하드웨어 자산관리 및 소프트웨어 자산을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IT 자산 인벤토리 세부 정보를 IT 자산 추적 소프트웨어로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SolarWinds Web Help Desk 가 원격 제어 도구와 통합되어 IT 전문가는 자산 인벤토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에 대한 원격 세션을 직접 시작할 수 있습니다. 한 번의 클릭으로 원격 데스크톱을 이용한 화면 공유 세션을 생성하여 다음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IT 자산을 자동으로 검색하고 IT 자산의 상태 추적
- IT 인벤토리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IT 자산 보고 일정 예약
- IT 재고 계획 및 조달 예측 최적화
- IT 자산을 문제 티켓과 연결하여 자산의 문제 이력 추적
- 레거시 자산 인벤토리를 헬프 데스크 자산 리포지토리로 가져오기
구매 주문 관리
구매 주문 관리
SolarWinds Web Help Desk 를 통해 초기 요청부터 승인 및 최종 구매에 이르기까지 자산을 추적하고 인벤토리에 기재합니다. 자산 구매 주문 정보를 입력하기만 하면 Web Help Desk에서 하드웨어의 보증 및 임대 종료 날짜와 소프트웨어 인벤토리의 라이선스 만료 날짜를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파트 및 청구 관리
파트 및 청구 관리
IT 자산 관리 소프트웨어는 파트 인벤토리 관리 기능을 제공하므로 재고가 지정된 최소 수준에 도달하면 경고를 전송하도록 자동 이메일 인벤토리 경고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 파트 및 요금을 사용자 지정 송장과 견적서의 라인 항목으로 추적하고 인건비, 서비스 및 인벤토리와 같은 자산관리 청구 가능한 티켓 세부 정보를 PDF 형식의 송장이나 견적서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기본으로 제공되는 Technician Note Editor를 사용하면 노트별과 기술자별로 작업 시간을 쉽게 할당할 수 있습니다.
- What is asset management?
- What is asset management?
Asset management is the act of managing the inventory, health, and 자산관리 status of the assets in an IT environment. To understand asset management, it’s important to first define what an asset is. An asset is essentially any item owned by a company. In IT, these can further be categorized as either “hard” or “soft” assets. “Hard” assets, called hardware, can include any physical item, such as servers, workstations, laptops, monitors, routers, A/V equipment, and a variety of related devices. “Soft” assets, called software, typically include any programs and applications installed on hardware.
IT asset management leverages a set of processes used to track the deployment, use, and maintenance of hardware and software assets. IT technicians involved in asset management must always keep a finger on the pulse of every asset within their organization, which often means they’re charged with tracking the whereabouts of dozens, hundreds, or even thousands of assets at any given time. How IT teams track assets can depend on many factors, such as budget, business size, and amount of assets to track. Keeping track of all these assets—as well as who’s using them, their health, and when warranties, leases, and licenses for these assets will expire—is no easy task.
While some may choose to manually track assets using spreadsheets, this solution can lead to inventory information quickly becoming outdated and unreliable. Many organizations prefer to streamline their asset management strategy using asset discovery tools to import third-party asset inventory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catalog all the assets into one centralized repository. With the ability to quickly search inventory records, identify when an asset was last checked out (and when it’s due back), as well as when it’s time to renew your warranty, lease, or license for an asset, asset management tools and their built-in alerting systems can help automate many of the manual tasks often overlooked or disregarded when using spreadsheets to track assets. Asset management software can include the ability to email notifications when inventories fall below pre-determined thresholds, when an asset due date has arrived, and when it’s time to renew your asset contracts. Through detailed engineering and in-depth dashboards, asset management IT solutions can help streamline and alleviate many manual asset management efforts.
Asset management is important because it consolidates all the hardware and software assets across your organization, enabling you to easily and consistently manage the health and status of your company’s IT assets—from laptops and servers, to monitors and software licenses. Through asset management, you can visualize the full asset lifecycle and even link your assets to service tickets. For example, by attaching an asset to a service request, the ticket can include an extensible and searchable history of the asset that can be reviewed at any time. This level of in-depth insight into an asset’s history will equip support teams with the information needed to make smarter business decisions, like whether to replace a single hard drive or an entire server, saving you from manually sifting through incident reports. Asset management is also important because, with the right asset management tools, you’ll never fall behind on warranty, lease, or licensing agreements.
Asset management software helps manage dozens, hundreds, or even thousands of hardware and software assets through one, centralized digital hub. Gone are the days of having to rely on a spreadsheet to track your assets. With an asset management system in hand, you’ll have the information you need at your fingertips—the exact amount of software licenses you hold, how many functioning laptops you have on hand, the health and status of those assets, and more. No more wondering who was the last one to borrow a monitor or when it will be returned. You’ll also be equipped with the information you need to keep licenses and warranties up to date, so you can provide upper management with robust, accurate budget proposals and never fall behind on the renewal of a critical asset. The right automated asset management tools can save your team time and resources.
Web Help Desk asset management software leverages a built-in scanning engine to discover your network systems based on subnet or IP range. Using scheduled WMI discovery, Web Help Desk can periodically poll endpoints to update hardware and software inventory information, including host name, model, serial number, operating system, hard drive, memory, and software installed. The platform also allows you to import asset inventory information from third-party asset discovery tools, spreadsheet records, and network management systems.
Web Help Desk integrates with third-party asset discovery tools, such as Casper and Microsoft System Center Configuration Manager (SCCM). And if you’re running SolarWinds Network Performance Monitor, Server & Application Monitor, or Network Configuration Manager, you can even synchronize your Web Help Desk node and asset discovery in your corporate network. All of this helps ensure all of your asset information lives in one, easy-to-access location.
Asset management is the act of managing the inventory, health, and status of the assets in an IT environment. To understand asset management, it’s important to first define what an asset is. An asset is essentially any item owned by a company. In IT, these can further be categorized as either “hard” or “soft” assets. “Hard” assets, called hardware, can include any physical item, such as servers, workstations, laptops, monitors, routers, A/V equipment, and a variety of related devices. “Soft” assets, called software, typically include any programs and applications installed on hardware.
IT asset management leverages a set of processes used to track the deployment, use, and maintenance of hardware and software assets. IT technicians involved in asset management must always keep a finger on the pulse of every asset within their organization, which often means they’re charged with tracking the whereabouts of dozens, hundreds, or even thousands of assets at any given time. How IT teams track assets can depend on many factors, such as budget, business size, and amount of assets to track. Keeping track of all these assets—as well as who’s using them, their health, and when warranties, leases, and licenses for these assets will expire—is no easy task.
While some may choose to manually track assets using spreadsheets, this solution can lead to inventory information quickly becoming outdated and unreliable. Many organizations prefer to streamline their asset management strategy using asset discovery tools to import third-party asset inventory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catalog all the assets 자산관리 into one centralized repository. With the ability to quickly search inventory records, identify when an asset was last checked out (and when it’s due back), as well as when it’s time to renew your warranty, lease, or license for an asset, asset management tools and their built-in alerting systems can help automate many of the manual tasks often overlooked or disregarded when using spreadsheets to track assets. Asset management software can include the ability to email notifications when inventories fall below pre-determined thresholds, when an asset due date has arrived, and when it’s time to renew your asset contracts. Through detailed engineering and in-depth dashboards, asset management IT solutions can help streamline and alleviate many manual asset management efforts.
Asset management is important because it consolidates all the hardware and software assets across your organization, enabling you to easily and consistently manage the health and status of your company’s IT assets—from laptops and servers, to monitors and software licenses. Through asset management, you can visualize the full asset lifecycle and even link your assets to service tickets. For example, by attaching an asset to a service request, the ticket can include an extensible and searchable history of the asset that can be reviewed at any time. This level of in-depth insight into an asset’s history will equip support teams with the information needed to make smarter business decisions, like whether to replace a single hard drive or an entire server, saving you from manually sifting through incident reports. Asset management is also important because, with the right asset management tools, you’ll never fall behind on warranty, lease, or licensing agreements.
Asset management software helps manage dozens, hundreds, or even thousands of hardware and software assets through one, centralized digital hub. Gone are the days of having to rely on a spreadsheet to track your assets. With an asset management system in hand, you’ll have the information you need at your fingertips—the exact amount of software licenses you hold, how many functioning laptops you have on hand, the health and status of those assets, and more. No more wondering who was the last one to borrow a monitor or when it will be returned. You’ll also be equipped with the information you need to keep licenses and warranties up to date, so you can provide upper management with robust, accurate budget proposals and never fall behind on the renewal of a critical asset. The right automated asset management tools can save your team time and resources.
Web Help Desk asset management software leverages a built-in scanning engine to discover your network systems based on subnet or IP range. Using scheduled WMI discovery, Web Help Desk can periodically poll endpoints to update hardware and software inventory information, including host name, model, serial number, operating system, hard drive, memory, and software installed. The platform also allows you to import asset inventory information from third-party asset discovery tools, spreadsheet records, and network management systems.
Web Help Desk integrates with third-party asset discovery tools, such as Casper and Microsoft System Center Configuration Manager (SCCM). And if you’re running SolarWinds Network Performance Monitor, Server & Application Monitor, or Network Configuration Manager, you can even synchronize your Web Help Desk node and asset discovery in your corporate network. All of this helps ensure all of your asset information lives in one, easy-to-access location.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5월 4일(현지 시간) 기준금리 0.5%p 인상을 단행한 데 이어 앞으로도 가파른 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이 외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세계 경제가 불안한 상황. 지난해 6월 3300선을 돌파했던 코스피는 5월 2500선까지 밀렸다가 간신히 반등 중이고, 암호화폐 시장은 ‘루나 사태’까지 겹쳐 폭락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인터넷에서는 재테크 실패로 인해 빠듯해진 주머니 사정 탓에 “배달 앱을 지웠다” “투잡을 시작했다” 등 자조 섞인 글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장기간 고물가와 저성장이 맞물리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예상되는 만큼 자산 관리와 투자에 고도의 전략과 신중함이 필요한 시기다. 이에 하나은행이 오랜 기간의 노하우를 축적한 자산 관리 서비스를 온오프라인에서 선보이고 있다.
가족 경제 상황 자산관리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머니 솔루션
최근 금융권에서는 은행, 증권, 카드 등 다양하게 흩어져 있는 고객의 금융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해 맞춤형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는 마이데이터 서비스 경쟁이 치열하다. 하나은행은 최근 관계사(하나은행, 하나금융투자, 하나카드, 핀크) 통합 마이데이터 서비스 ‘하나 합’에 가구별 자산과 지출을 집중 관리해주는 ‘합계부’ 기능을 추가했다.
이번에 추가된 합계부 기능은 개별 가구의 자산 규모와 지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 ‘자동차’ 항목은 물론 ‘자녀’ ‘반려동물’ 등 가족 구성원을 위한 지출 항목을 주요 테마로 묶어 제공하고, 각 테마별 통합 지출 관리와 함께 유용한 제휴 서비스까지 연결해준다.
합계부 서비스의 ‘주택’ 테마에서는 지정된 부동산의 시세 표시와 함께 △관리비 △통신/렌털 △구독/배송 △주택자금대출 원리금 상환 등의 지출 내역을 통합해 보여주고, 하나은행 모바일 앱 ‘하나원큐’에서 제공하는 △관리비/공과금 자동 납부 서비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계산기 △부동산 세금 계산기 등 다양한 부동산 제휴 서비스까지 받을 수 있다.
‘자동차’ 테마에서는 △주유/주차 △정비/수리 등 자동차 관련 지출 항목뿐 아니라 △할부/리스 △자동차보험 등 관련 금융 비용까지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오토론 △자동차 정비/매매 등 차량 관련 금융 서비스와 비금융 제휴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자녀’ 테마에 들어가면 △육아 △교육 △병원비 △용돈 항목을 관리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 테마에서는 △동물 병원 △펫 미용 등 지출 항목을 구분해 확인할 수 있다. 각 테마 화면에서 △아이부자 앱 △펫사랑 적금 같은 테마별 맞춤형 금융 상품 및 서비스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나 합 이용자들은 해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통해 테마별 자산·지출 내역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신과 비슷한 조건을 지닌 다른 가구의 통계 자료를 통해 자기 소비 패턴을 점검하고 향후 자산 관리 계획을 세우는 데 반영할 수도 있다.
하나은행 마이데이터유닛 함종권 유닛리더는 “이번 마이데이터 서비스 리뉴얼에 합계부를 추가했을 뿐 아니라 외국환 분야에서 국내 부동의 선두를 지키고 있는 하나은행의 노하우를 반영한 ‘환율 날씨’, 환율 관련 ‘재테크 팁’ 등도 더했다”며 “앞으로도 쉽고 유익한 디지털 자산 관리 서비스의 대중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하나은행은 6월 말까지 하나 합 서비스에서 3개 업권 이상 마이데이터 서비스 연결 및 이벤트 응모를 완료한 고객 중 5000명을 추첨해 대형마트·주유·외식 쿠폰 등을 제공한다.
초고액 자산가를 위한
‘하나 패밀리오피스 & 트러스트’ 서비스
돈의 흐름에 민감한 초고액 자산가 유치는 은행의 실력을 가늠하는 잣대가 되기도 한다. 하나은행은 1995년 국내 은행 가운데 처음으로 ‘프라이빗뱅킹(PB)’ 개념을 도입, 이 분야에서 오랜 노하우를 축적한 자산 관리의 명가. 최근에는 초고액 자산가 및 가문의 종합자산관리를 위한 ‘하나 패밀리오피스 & 트러스트’ 서비스를 출시했다.
하나 패밀리오피스 & 트러스트는 전통적 개념의 패밀리오피스 서비스와 신탁을 활용한 통합자산관리 서비스인 리빙트러스트를 결합해 만든 하나은행만의 차별화된 VVIP 서비스로, 하나은행의 프리미엄 PB 채널인 Club1(클럽원)을 통해 금융권 최고 수준의 종합자산관리 서비스를 지원한다.
자산 규모 300억원 이상의 초고액 자산가 및 가문을 대상으로 하며 △자산 증식 △가업의 유지와 승계 △자산의 안정적인 이전(상속)과 승계 △사회 공헌과 봉사 등 고객 눈높이에 맞춘 종합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라이프케어 전담팀’을 통해 자녀 세대의 교육 및 결혼부터 가족 모임, 여행 준비에 이르기까지 가문의 다양한 비재무적 니즈를 세심하게 관리한다. 이 밖에도 PB, 리빙트러스트 컨설턴트, 법률, 세무(회계), 부동산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산관리자문단’을 고객별로 운영하고, 자문단이 직접 고객을 찾아가는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개인형IRP 연금 개시 고객을 위한
사이버금융범죄 보상보험 무상지원
아울러 하나은행은 연금 수령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보이스피싱 등 사이버금융범죄가 사회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개인형 IRP 연금 개시 고객의 금융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사이버금융범죄 보상보험 무상지원 서비스’를 시행한다.
해당 서비스는 하나은행 개인형IRP 보유 고객 가운데 연금 개시를 신청한 이를 대상으로 무료 제공되며, 하나은행의 스마트폰뱅킹 대표 브랜드인 ‘하나원큐’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제공되는 무료 보험 서비스 상품은 하나금융그룹 관계사인 하나손해보험의 ‘하나 사이버금융범죄 보상보험’으로 보장 기간은 1년이며, 최대 1000만원 한도에서 실제 피해 금액의 70%까지 보상한다.
하나은행 연금사업본부 관계자는 “사이버금융범죄 보상보험 무상지원 서비스가 사이버금융범죄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고령의 연금 수급자 금융자산 보호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금융 소비자의 자산 및 권익 보호를 위한 다양한 노력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종합자산관리 서비스
PB센터 고객님을 대상으로 주식, 채권, 부동산 등의 투자 상품의 제공, 운용 자문, 사업승계 및 자산상속 등에 대한 업무 및
세무컨설팅으로부터 이에 부수되는 여러 절차의 대행까지 패키지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 전담 프라이빗 뱅커(PB)의 1:1 종합자산관리 서비스
- 개인별 특성과 성향에 맞는 최적의 포트 폴리오 제공
- 자산운용성과에 대한 리뷰
- 경제 및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자산 포트폴리오 조정
- 대출, 외환, 카드 등을 포함한 원스톱 서비스
자산관리 프로세스
- STEP1. 고객정보분석 재무상태진단
- STEP2. 고객성향파악 투자전략수립
- STEP3. 포트폴리오 제안 및 실행
- STEP4. 포트폴리오 평가 및 조정
- 진단 : 고객 투자성향 진단, 종합재무설계 및 재무진단, 투자상품 기본정보 제공 및 운용성과 분석, 유형별, 시장별 전망을 통한 진단서비스
- 처방 : 최적상품 추천, 1:1 포트폴리오 설계
- 투자성향 분석
- 자산배분
- 포트폴리오 설계
- 투자제안서 제공
- MONITORING : Rebalacing을 통한 포트폴리오 최적화, 정기적 Review 서비스 제공
종합자산관리 서비스 다이아그램
프라이빗 뱅크센터 고객 신탁,투신 서비스 : 회사형, 계약형 투신, 부동산 신탁, 해외펀드, 실물자산 투자컨설팅 등 증권 서비스 : 자산운용 컨설팅, 펀드 컨설팅, 증권인계예금 개설 자문 부동산서비스 : 부동산 컨설팅 감정,자문의뢰,부동산 투자 관리,모기지(부동산 담보 대출) 기타서비스 : 상속설계, 은퇴설계, 법률 상담, 세무상담 보험서비스 : 방카슈랑스, 연금보험 설계 은행서비스 : 예금, 적금, 대출, 신용카드, 일반 외환등 은행업무전반
0 개 댓글